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주요 결과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의 결과, 한국인 전체 평균의 전반적 행복감은 6.56점(응답 범위: 0~10점)으로 2020년도 6.83점을 기록했던 것에 비해 소폭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행복 수준이 낮아졌다.

전년도인 2020년과 비교할 때 전반적인 행복감을 비롯하여 전반적인 감정의 크기, 삶의 의미·성취감·인생 결정 자유 수준을 의미하는 유데모니아의 안녕감 수준,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 영역별 만족도 등 모든 행복 관련 영역에서 수치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는 코로나19 유행의 장기화의 부정적 영향(수입감소, 사회적 관계 위축 등)에 따른 국민 전체적인 행복의 감소로 추측할 수 있다.

특히, 행복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취약집단인 노인, 저학력, 낮은 경제 수준, 불안정한 종사 지위, 1인 가구, 불안정한 주거 여건에 처한 사람, 기초수급자 및 다문화 가정 등은 전년도 대비 행복 수준도 더 크게 감소하여 행복 불평등이 심화됨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에 허종호 센터장은 “향후 행복 취약집단의 행복 수준을 높이기 위한 행복 수준에 대한 다양한 결정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과 추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에 근거한 정책적, 입법적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끝.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I. 행복의 과학적ㆍ학술적 개념 및 측정 6

II. 「한국인의 행복조사」의 특징 8

III.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의 개요 10

IV.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의 주요 결과 10

1. 전반적 행복감: 6.56점 10

2. 정서 14

3. 유데모니아 안녕감: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15

4.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 16

5. 영역별 만족도 17

V. 결론 및 제언 18

참고문헌 19

판권기 2

[그림 1] 행복의 개념과 구성 7

[그림 2] 전반적 행복감 설문 결과(2021년도) 11

[그림 3] 전년도(2020년)와 비교한 전반적 행복감 설문 결과 11

[그림 4] 연령대에 따른 전반적 행복감 설문 결과(2021년도) 12

[그림 5] 학력(좌)과 직업 유무(우)에 따른 전반적 행복감의 격차(2021년도) 12

[그림 6] 종사상 지위(좌)와 고용형태(우)에 따른 전반적 행복감의 격차(2021년도) 13

[그림 7] 전년도(2020년)와 비교한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른 전반적 행복감의 격차 13

[그림 8] 가구원수(좌) 및 주거형태(우)에 따른 전반적 행복감의 격차(2021년도) 14

[그림 9] 어제의 감정에 대한 설문 결과(2021년도) 14

[그림 10] 어제의 감정에 대한 전년도(2020년) 결과와의 비교 15

[그림 11]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에 대한 2021년도 설문 결과 15

[그림 12]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문항에 대한 전년도와의 비교 16

[그림 13]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 및 5년 전후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2021년도 설문 결과 16

[그림 14]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 문항 결과에 대한 전년도와의 비교 17

[그림 15] 영역별 만족도에 대한 2021년도 설문 결과 17

[그림 16] 전년도와 비교한 영역별 만족도 결과 18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행복지수 # 행복조사 # 사회문제 # 삶의질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