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이동자 수는 615만 2천 명, 전년대비 14.7%(106만 1천 명) 감소함
□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2.0%, 전년대비 2.1%p 감소함
□ 순유입률은 세종(2.7%)과 인천(1.0%)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울산(-0.9%)과 경남(-0.6%) 순으로 높았음
(출처 : 통계청 홈페이지)
※ 2022년 국내인구이동 통계표 다운로드

목차
목차
2022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1
2022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요약) 4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6
2. 성 및 연령별 인구이동 8
3. 시도별 전입, 전출 및 순이동 10
4.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 13
5. 시도간 전입지 및 전출지 15
6. 전입사유별 인구이동 18
7. 권역별 인구이동 20
8. 수도권 인구이동 22
9. 시군구 인구이동 24
[통계표] 26
1. 성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22 28
2. 성ㆍ연령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2001-2022 30
3. 시도별 이동자 수 추이, 2001-2022 32
4. 시도ㆍ성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22 34
5. 시도 및 성ㆍ연령별 순이동자 수, 2022 36
6. 시도 전입ㆍ전출지 및 성별 이동자 수, 2022 38
7. 시도 전입ㆍ전출지 및 성별 순이동자 수, 2022 40
8. 수도권 이동자 수 추이, 1990~2022 42
9. 월별 인구이동 추이, 2020-2022 43
10. 시도 및 전입사유별 이동자 수, 2022 44
[참고표] 전입신고건 수 추이, 2001-2022 46
[부록] 국내인구이동통계 개요 47
[표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22 7
[표 2] 성ㆍ연령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12~2022 9
[표 3] 시도별 전입, 전출 및 순이동, 2012~2022 11
[표 4]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자 수와 순이동률, 2022 14
[표 5] 시도별 3대 전입지 및 전출지, 2022 15
[표 6] 전입사유별 이동자 수 및 구성비, 2021~2022 18
[표 7] 시도 전입사유별 순이동자 수, 2021~2022 19
[표 8]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12~2022 20
[표 9] 권역간 순이동자 수, 2022 21
[표 10] 권역ㆍ연령별 순이동자 수, 2022 21
[표 11] 수도권, 비수도권 이동자 수 추이, 2012~2022 22
[표 12] 시도별 수도권 인구이동, 2021~2022 23
[표 13] 시군구별 순이동률 순위, 2021~2022 24
[그림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22 6
[그림 2] 시도내ㆍ시도간 이동률 추이, 2012~2022 6
[그림 3] 연령별 이동률, 2021~2022 8
[그림 4] 총이동자 수 및 20~30대 이동자 수 추이, 2012~2022 8
[그림 5] 시도별 순이동률 및 순이동자 수, 2022 10
[그림 6] 시도별 순이동률 추이, 2012~2022 12
[그림 7]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률, 2022 13
[그림 8] 시도별 3대 전입지 및 전출지, 2022 16
[그림 9] 전입사유별 이동자 구성비, 2022 18
[그림 10]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12~2022 20
[그림 11] 권역간 순이동 21
[그림 12] 수도권 전입ㆍ전출자 수 추이, 2012~2022 22
[그림 13] 시도별 수도권 순이동, 2022 23
[그림 14] 시군구별 순이동률 및 순유입ㆍ순유출 상위 10개 시군구, 2022 25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