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목차

표제지

목차

머리말 2

요약 15

제1장 서론 5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51

2. 연구 목적 및 범위 56

3. 연구 방법 및 구성 59

제2장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64

1. 디지털 전환의 의미와 특징 64

(1) 디지털 전환의 개념 64

(2) 산업적 관점의 디지털 전환 특징 68

2. 디지털 전환에 따른 ICTㆍ비ICT산업 구조와 수요의 변화 71

(1)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ICT 수요구조의 변화 71

(2) 디지털 전환과 비ICT산업 구조의 변화 76

(3)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공급구조의 변화 81

(4) 디지털 기술 기반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 대두 84

(5) 시사점 87

제3장 국내외 디지털 전환 현황 및 대응 전략 분석 90

1. 세계 주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사례 90

(1) ICT 분야의 디지털 전환 사례 91

(2) 비ICT 분야의 디지털 전환 사례 101

(3) 에너지 분야의 디지털 전환 사례 117

(4) 시사점 122

2. 국내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127

(1) ICT제조업 127

(2) 전자부품 136

(3) ICT서비스 139

(4) 비ICT제조업 149

(5) 시사점 169

3. 국내외 디지털 전환 대응 정책 172

(1)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 172

(2)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 203

(3) 정책적 시사점 218

제4장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분석 222

1. 실태조사 개요 222

(1) 조사 배경 222

(2) 조사 방법 223

2. 응답 기업의 현황 226

(1) 응답 기업의 개요 226

(2) 산업군별 주요 현황 230

3. 디지털 전환 조사 결과 237

(1)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인식 237

(2) 디지털 전환의 추진 현황과 성과 242

(3) 디지털 전환의 주요 기술 254

4. 요약 및 시사점 259

제5장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성과 분석 264

1.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역량에 대한 실증분석 264

(1) 분석 방법론 264

(2) 구조방정식 분석 268

(3)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276

2.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유형 분석 284

(1) 분석 개요 284

(2) 디지털 전환 추진 기업의 유형 분석과 시사점 287

(3) 신규 사업 추진 디지털 전환 기업의 유형 분석과 시사점 291

제6장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국내 ICT산업의 발전 방향과 전략 305

1. 기본 방향 305

2. 산업 특성과 기업 여건을 고려한 디지털 전환 추진 312

(1) 디지털 전환 관련 산업별 지원 정책 수요 312

(2) 산업별 특성과 기업 니즈를 고려한 디지털 전환 317

(3) 기업 여건과 역량을 고려한 맞춤형 디지털 전환 추진 331

3. ICT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 및 신성장전략 333

(1) 디지털 전환에 요구되는 차세대 기술 역량의 확보 336

(2)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 강화로 산업생태계 기반 확충 343

(3) 디지털 플랫폼 역량 강화 및 서비스화 혁신 지원 348

(4) 디지털 전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356

(5)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제도 혁신 361

참고문헌 367

[부록 1] 실증분석 내용 382

[부록 2] 설문조사지 391

Abstract 399

판권기 402

〈표 1-1〉 2020년 한국의 IMD 디지털 경쟁력 평가 55

〈표 1-2〉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범위 58

〈표 2-1〉 디지털 전환의 정의: 일부 예시 66

〈표 2-2〉 산업의 게임체인저로서의 디지털 전환 특징 70

〈표 2-3〉 온라인 서비스 및 홈코노미의 확산과 IT제품의 수요 변화 75

〈표 2-4〉 코로나19발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트렌드 변화에 따른 공급구조의 변화 특징 83

〈표 3-1〉 후지쯔의 일곱 가지 테크놀로지 비전 99

〈표 3-2〉 에너지 분야의 디지털화 적용 117

〈표 3-3〉 해외 주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사례 124

〈표 3-4〉 가전ㆍ전자산업의 디지털 전환 방향 128

〈표 3-5〉 삼성전자의 제품군별 디지털 전환 현황 131

〈표 3-6〉 LG전자의 사업 부문별 디지털 전환 현황 131

〈표 3-7〉 국내 가전ㆍ정보통신기기업계의 디지털 전환 주요 사례 135

〈표 3-8〉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기업의 디지털 전환 주요 사례 139

〈표 3-9〉 국내 산업별 빅데이터ㆍAI 활용률 140

〈표 3-10〉 ICT서비스 분야 국내 주요 기업의 디지털 전환 148

〈표 3-11〉 국내 바이오ㆍ제약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 사례 160

〈표 3-12〉 국내 조선업계의 디지털 전환 주요 사례 165

〈표 3-13〉 국내 자동차ㆍ조선ㆍ철강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 사례 168

〈표 3-14〉 디지털 전환 정책목표별 우선순위 변화(2016~2019년) 173

〈표 3-15〉 OECD 디지털 전환 정책 프레임워크 7대 목표별 주요 정책 영역 174

〈표 3-16〉 국가 디지털 전략 추진상 도전 과제 174

〈표 3-17〉 국가 디지털 전략 거버넌스 단계별 실행 주체 참여 현황 176

〈표 3-18〉 OECD 회원국의 디지털 전환 정책 트렌드 179

〈표 3-19〉 2021년도 매뉴팩처링 USA 분야별 담당 법인체 및 주요 참여 기관 181

〈표 3-20〉 미국 인공지능국가안보위원회 개요 183

〈표 3-21〉 NSCAI 및 무한경계법의 핵심 첨단기술 선정 현황 184

〈표 3-22〉 독일 디지털 전략 2025의 10대 추진 과제 및 세부 내용 186

〈표 3-23〉 GAIA-X 적용 6대 부문 및 세부 분야 188

〈표 3-24〉 2021년 총선 이후 독일 주요 정당의 디지털 전환 정책 방향 189

〈표 3-25〉 중국제조 2025의 9대 목표, 10대 산업, 5대 중점 프로젝트 191

〈표 3-26〉 중국 스마트 제조 관련 주요 정책 및 내용 191

〈표 3-27〉 중국 디지털 전환 신경제 발전 육성 실시 방안의 목표와 정책 방향 195

〈표 3-28〉 일본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197

〈표 3-29〉 일본 민관 데이터 활용 추진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198

〈표 3-30〉 일본 제6기 과학기술ㆍ혁신기본계획의 정책 방향 202

〈표 3-31〉 주요 부처의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 현황 204

〈표 3-32〉 산업 디지털 전환 확산 전략의 주요 과제별 세부 추진 과제 207

〈표 3-33〉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주요 산업별 내용 210

〈표 3-34〉 과기부의 데이터 바우처 사업 데이터 상품 및 가공 서비스 수 213

〈표 3-35〉 스마트 제조 전략 및 추진 주무 부처의 경과 214

〈표 3-36〉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 혁신 전략의 4대 추진 방향 및 펀드 조성과 운영 개념도 216

〈표 3-37〉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정책 현황과 특징 및 시사점 220

〈표 4-1〉 설문조사 개요 223

〈표 4-2〉 조사 대상 산업의 범위와 응답 수 224

〈표 4-3〉 설문조사의 주요 내용 226

〈표 4-4〉 4개 산업군 및 15개 세부 산업별 응답 수 227

〈표 4-5〉 본 연구에서의 디지털 전환 단계 240

〈표 4-6〉 디지털 전환의 성과 현황 262

〈표 5-1〉 분석모형의 외생 잠재변수와 관측변수 270

〈표 5-2〉 분석모형의 내생 잠재변수와 관측변수 272

〈표 5-3〉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1 274

〈표 5-4〉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2 275

〈표 5-5〉 디지털 전환 경로 278

〈표 5-6〉 디지털 전환 혁신 분야 287

〈표 5-7〉 기업 특성별 디지털 전환 유형화 분석 288

〈표 5-8〉 신규 사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별ㆍ핵심 기술별 및 혁신 분야별 기업 현황 294

〈표 5-9〉 신규 사업의 디지털 전환 유형화 분석 결과 296

〈표 5-10〉 신규 사업의 디지털 전환 유형화 분석을 위한 기업 특성 분류 297

〈표 5-11〉 기업 특성별 신규 사업의 디지털 전환 유형화 분석 298

〈표 6-1〉 우리나라 경제ㆍ산업에서의 ICT산업 위상 307

〈표 6-2〉 디지털 전환 추진을 위한 정책 지원 우선순위 315

〈표 6-3〉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유형 분포 318

〈표 6-4〉 국내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추진 특징 및 저해 요인과 전략의 방향성 320

〈표 6-5〉 ICT제조업의 비즈니스모델 진화 예시 323

〈표 6-6〉 기업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디지털 전환 추진 예시 332

〈표 6-7〉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과 디지털 전환 촉진 방안 334

〈표 6-8〉 해외 선도기업 대비 국내 기업의 디지털 기술 수준 평가 337

〈표 6-9〉 디지털 전환 시대 기술ㆍ제품 변화의 주요 키워드 338

〈표 6-10〉 디지털 전환에 요구되는 차세대 기술 역량 확보 342

〈표 6-11〉 중소벤처 역량 강화로 디지털 전환 산업생태계 확충 345

〈표 6-12〉 디지털 플랫폼 역량 강화 및 서비스화 혁신 지원 352

〈표 6-13〉 주요 산업의 유망 제품 변화 및 제조의 서비스화 354

〈표 6-14〉 디지털 전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360

〈표 6-15〉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제도 혁신 365

〈그림 1-1〉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52

〈그림 1-2〉 코로나19로 인한 소비 행위 변화 53

〈그림 1-3〉 코로나19 확산 이후 디지털 전환의 주요 영향 경로와 본 연구의 목적 57

〈그림 1-4〉 연구 방법 및 체계 62

〈그림 2-1〉 Digitization, Digitalization 및 Digital Transformation의 정의 65

〈그림 2-2〉 전 세계 주요 IT제품 시장(매출액 기준)의 성장률 전망 72

〈그림 2-3〉 세계 소비가전 판매채널 비중 전망 73

〈그림 2-4〉 미국과 중국의 주요 디지털 플랫폼의 수익 증대 추이 79

〈그림 2-5〉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산업구조 및 수요 변화 80

〈그림 2-6〉 기업 가치사슬에서의 대표적인 기술 85

〈그림 3-1〉 아마존의 디지털 전환 방향 93

〈그림 3-2〉 아마존의 디지털 전환 추진 전략과 성과 94

〈그림 3-3〉 GM 차량용 플랫폼 VIP 개요 102

〈그림 3-4〉 AR 기능의 이케아 플레이스 앱 108

〈그림 3-5〉 보쉬의 과거와 미래의 공장 개념 110

〈그림 3-6〉 GE의 디지털 전환 추진 전략 및 성과 120

〈그림 3-7〉 파노라마 디지털 커맨드 센터의 내부 121

〈그림 3-8〉 각 분야별 디지털 전환 전략의 특징 126

〈그림 3-9〉 KT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5G와 팩토리 메이커 플랫폼 연결성 142

〈그림 3-10〉 KT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산업표준 및 제조사별 에이전트 구축 143

〈그림 3-11〉 제약공정의 자동화 영역 150

〈그림 3-12〉 인공지능을 통한 신약 후보물질 탐색 152

〈그림 3-13〉 기존 의약품 제조ㆍ품질관리시스템과 QbD 시스템 154

〈그림 3-14〉 스마트공장과 QbD 시스템 154

〈그림 3-15〉 제약회사의 온라인 마케팅에 대한 인식 변화 157

〈그림 3-16〉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품목별 임상시험 승인 현황(2018~2020년) 158

〈그림 3-17〉 포스코의 데이터가 결합된 AI 용광로 168

〈그림 3-18〉 국가 디지털 전략 추진의 거버넌스 구조 175

〈그림 3-19〉 GAIA-X 프로젝트의 기본 구조 187

〈그림 3-20〉 일본 생산성향상특별조치법의 데이터 활용 지원 시책 199

〈그림 3-21〉 일본 디지털 전환 자가 진단 결과 201

〈그림 3-22〉 산업 디지털 전환의 5단계 모델 206

〈그림 3-23〉 과기부의 빅데이터 플랫폼 추진 분야 212

〈그림 3-24〉 과기부의 데이터 바우처 사업 추진 체계 213

〈그림 3-25〉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안) 217

〈그림 4-1〉 기업규모별 응답 현황 229

〈그림 4-2〉 산업군별 평균 매출액 231

〈그림 4-3〉 산업군별 평균 영업이익액 232

〈그림 4-4〉 산업군별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액) 232

〈그림 4-5〉 산업군별 평균 R&D투자액 234

〈그림 4-6〉 산업군별 R&D 집중도(매출액 대비 R&D투자액) 234

〈그림 4-7〉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인력의 비중 236

〈그림 4-8〉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전담 조직의 비중 236

〈그림 4-9〉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 수준 237

〈그림 4-10〉 기업규모별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 수준 238

〈그림 4-11〉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 239

〈그림 4-12〉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단계 분포 현황 240

〈그림 4-13〉 15개 산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 241

〈그림 4-14〉 기업규모별 및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단계 242

〈그림 4-15〉 국내 ICT 및 비ICT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목적 243

〈그림 4-16〉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의 추진 목적 244

〈그림 4-17〉 국내 산업 전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경로 245

〈그림 4-18〉 15개 산업별 디지털 전환 추진 경로 246

〈그림 4-19〉 산업군 및 기업규모별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경로 247

〈그림 4-20〉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준비도 248

〈그림 4-21〉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준비도 249

〈그림 4-22〉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성과 250

〈그림 4-23〉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추진 성과 251

〈그림 4-24〉 기업규모별 디지털 전환 추진 성과 252

〈그림 4-25〉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성과 시현 또는 예측 시점 253

〈그림 4-26〉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도입 수준 전망 253

〈그림 4-27〉 산업군별 디지털 기술의 필요도 255

〈그림 4-28〉 산업군별 디지털 기술의 도입 기대 효과 256

〈그림 4-29〉 산업군별 디지털 기술의 경쟁력: 세계 선도기업 대비 258

〈그림 4-30〉 산업군별 디지털 기술의 경쟁력: 국내 선도기업 대비 259

〈그림 5-1〉 확인적 요인 분석 266

〈그림 5-2〉 경로 분석 267

〈그림 5-3〉 구조방정식 모형 268

〈그림 5-4〉 디지털 전환 추진에 미치는 요소와 성과에 미치는 경로 277

〈그림 5-5〉 디지털 전환 추진에 미치는 요소와 성과에 미치는 경로(ICT제조) 280

〈그림 5-6〉 디지털 전환 추진에 미치는 요소와 성과에 미치는 경로(비ICT제조) 280

〈그림 5-7〉 디지털 전환 추진에 미치는 요소와 성과에 미치는 경로(ICT서비스) 281

〈그림 5-8〉 디지털 전환 추진에 미치는 요소와 성과에 미치는 경로(비ICT서비스) 282

〈그림 5-9〉 산업군별 디지털 전환 유형 289

〈그림 5-10〉 기업규모별 디지털 전환 유형 289

〈그림 5-11〉 협력구조별 디지털 전환 유형 290

〈그림 5-12〉 산업별 신규 사업의 디지털 전환 유형 303

〈그림 5-13〉 기업규모별 신규 사업의 디지털 전환 유형 303

〈그림 5-14〉 협력구조별 신규 사업의 디지털 전환 유형 304

〈그림 6-1〉 세계 선도기업 대비 국내 디지털 기술경쟁력 수준 308

〈그림 6-2〉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별 디지털 전환 경로 309

〈그림 6-3〉 디지털 전환 추진 관련 애로 사항 정도 313

〈그림 6-4〉 지원 정책별 중요도 대비 현재 지원 수준이 부족한 정도 316

〈그림 6-5〉 기업 조사 및 해외 사례 등의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전환 촉진 정책 수요 도출 334

〈부표 1〉 설명변수 전환을 통한 다중공선성 검증(모형 1) 383

〈부표 2〉 설명변수 전환을 통한 다중공선성 검증(모형 2) 385

〈부표 3〉 모형 2의 요인적재도 387

〈부표 4〉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ICT제조 389

〈부표 5〉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비ICT제조 389

〈부표 6〉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ICT서비스 390

〈부표 7〉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비ICT서비스 390

부도목차

〈부도 1〉 구조방정식 모형 1 382

〈부도 2〉 구조방정식 모형 2 385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ICT산업 # 디지털전환 # 디지털전략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