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1) OECD 스킬 전망 (Skills Outlook) 주요 내용

목차

표제지

목차

I. 평생학습의 근간 : 초기 유년기 학습 태도와 성향의 형성 3

II. 평생교육 궤적 : 의무교육에서 성인기로의 전환 5

III.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 코로나 19로 인한 평생학습 기회 감소 8

IV. 정책적 시사점 : 위기 극복과 횡단 역량 습득을 위한 평생학습 12

〈그림 1〉 교사 열정과 학생의 평생학습 태도와의 관계 (OECD 평균) 3

〈그림 2〉 15세 학생의 독서의 즐거움과 초등학교 시기 부모의 지원 4

〈그림 3〉 OECD 국가 평균 총 이수교육 연한(1896-1980) 5

〈그림 4〉 OECD 평균 연령별 문해력과 수리력 벼화 양상 (PIAAC 조사) 5

〈그림 5〉 국가별 만 15세와 27세의 평균 문해력 성취도 차이 6

〈그림 6〉 미래 직업 기회 탐색을 위해 인턴십을 이수한 학생 비율 : PISA 2018 결과 7

〈그림 7〉 국가별 성인학습 참여율(25-65세) 8

〈그림 8〉 국가별 비공식적/비의도적 학습 시간(주당) : 코로나-19 이전 9

〈그림 9〉 국가별 비공식/비의도적 학습 시간(주당) : 코로나-19 이후 10

〈그림 10〉 교육이수 수준에 따른 원격근무 가능 근로자 비율 11

〈그림 11〉 코로나 봉쇄 기간 교육 수준별 근로자 주당 학습시간 손실 11

〈그림 12〉 30가지의 중요한 횡단 역량 12

해시태그

#평생교육 #평생학습 #교육정책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1) OECD 스킬 전망 (Skills Outlook) 주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