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포스트 코로나 시기, 신의주의 도시공간 변화와 북중관계 전망

이 글은 포스트 코로나 시기 북중교역의 대표 관문도시인 신의주의 도시공간 변화를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북중관계의 현재를 조망하고, 가까운 미래를 전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변화를 살핀다. 첫째, 2014년 신압록강대교가 완공된 이후 한동안 지체되었던 대교와 남신의주지구를 연결하는 도로의 완공을 주목한다. 둘째, 신압록강대교의 연결도로 완공과 맞물려 신의주의 도시발전 방향이 신의주지구를 중심으로 한 단극화된 발전계획에서 남신의주지구를 포함하는 다극화된 발전방향으로 바뀌게 되는 징후들을 확인한다. 셋째, 비상방역상황에서 중국발 물자를 받기 위한 하역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의주비행장이 다시 군사공항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상 세 가지 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단둥-신의주 접경지역에서 형성되는 아래로부터의 지경학적 역동성은 상위정치상에서 북중관계를 한층 두터운 동맹관계로 만들 촉매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한다.


(출처: 통일연구원(KINU))

목차

표제지

목차

변화 1: 신압록강대교 연결도로의 완공 2

변화 2: 신의주지구-남신의주지구 도시중심축의 개발 징후 4

변화 3: 하역장에서 군사공항으로의 전환 가능성 8

포스트 코로나 시기, 신의주의 변화를 통해 전망한 북중관계 9

〈그림 1〉 신의주시 일대의 위성사진 3

〈그림 2〉 신의주시건설총계획 모형 앞에 있는 김정은과 간부들 5

〈그림 3〉 신압록강대교 연결도로 인근에 신설된 물류창고 (좌: 건설 이전, 우: 건설 이후) 6

〈그림 4〉 신의주지구-남신의주지구 도시중심축에 건설된 호텔로 추정되는 건물 6

〈그림 5〉 의주비행장 활주로와 주변 공간의 변화 8

〈그림 6〉 산속에 건설된 지하격납고의 출입구 9

해시태그

#포스트코로나 # 북중교역 # 신의주도시공간 # 북중관계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기, 신의주의 도시공간 변화와 북중관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