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기후연구단체(World weather attribution, WWA)는 기후위기가 북반구 건조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10월 5일(현지시간) 발표함. 연구진은 6월부터 8월까지 지표면과 식물 뿌리가 분포하는 토양층 내 수분 함량을 측정한 후, 20세기 상황과 비교함
□ 보고서에 따르면 열대지역을 제외한 북반구 지역의 가뭄 발생은 지구가열화 이전보다 지표층은 5배, 뿌리층은 20배 잦아졌으며, 건조한 토양은 북미·아시아·유럽 전역에서 발생한 폭염이 주요인으로, 강우량의 영향은 적었다고 분석함
□ 기후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기록적인 폭염은 400년에 1번 정도 발생하지만, 지구 기온 1.2℃ 상승으로 20년에 한 번 발생하게 되면서 폭염 발생 빈도가 20배 이상 잦아졌다고 분석함. 연구진들은 지구온난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가뭄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언급함
[출처] 기후위기, '기록적인 가뭄' 발생 20배 증가 (2022.10.06.) / 뉴스펭귄
□ 보고서에 따르면 열대지역을 제외한 북반구 지역의 가뭄 발생은 지구가열화 이전보다 지표층은 5배, 뿌리층은 20배 잦아졌으며, 건조한 토양은 북미·아시아·유럽 전역에서 발생한 폭염이 주요인으로, 강우량의 영향은 적었다고 분석함
□ 기후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기록적인 폭염은 400년에 1번 정도 발생하지만, 지구 기온 1.2℃ 상승으로 20년에 한 번 발생하게 되면서 폭염 발생 빈도가 20배 이상 잦아졌다고 분석함. 연구진들은 지구온난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가뭄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언급함
[출처] 기후위기, '기록적인 가뭄' 발생 20배 증가 (2022.10.06.) / 뉴스펭귄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High temperature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made 2022 Northern Hemisphere soil moisture droughts more likely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으로 2022년 북반구 가뭄 발생 가능성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