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지방세연구원은 5월 4일, 「지자체 출산지원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함.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2월 0.78명으로 역대 최저 수치를 기록했고, 지방자치단체들은 출산장려금 지급, 돌봄센터와 같은 서비스·인프라 확대 등의 출산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이 중 현금정책이 지원방법에서 가장 큰 비중(72.7%)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서비스·인프라 예산액 비중이 높음(13.4%)

□ 보고서에 따르면 2009~2021년 226개 기초자치단체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출산장려금 100만원 지급 시 합계출산율은 0.03명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아동 1인당 인프라 예산액 100만원 상승 시 합계출산율은 0.098명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한국지방세연구원은 이에 대해 동일한 예산액 지출 시 인프라 예산 증가가 출산율을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함
□ 보고서는 현금지원 정책의 경우 개인이 현금을 받고 언제든 그 지역을 벗어나 이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무분별한 현금지원 정책은 지자체간의 과도한 현금경쟁만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함. 현재의 서비스·인프라 확대 정책이 주로 미취학 아동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데, 학령기에 대도시로 전출하는 가장 큰 이유가 교육 문제인 만큼 미취학 아동 중심의 육아 인프라 정책을 학령기까지 확장해 다양한 사업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고 있음
[출처] 한국지방세연구원
[참고자료] '장려금 100만원에 출산율 0.03명 ↑…인프라 늘면 0.098명 ↑' (2023.05.08.) / 연합뉴스

□ 보고서에 따르면 2009~2021년 226개 기초자치단체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출산장려금 100만원 지급 시 합계출산율은 0.03명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아동 1인당 인프라 예산액 100만원 상승 시 합계출산율은 0.098명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한국지방세연구원은 이에 대해 동일한 예산액 지출 시 인프라 예산 증가가 출산율을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함
□ 보고서는 현금지원 정책의 경우 개인이 현금을 받고 언제든 그 지역을 벗어나 이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무분별한 현금지원 정책은 지자체간의 과도한 현금경쟁만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함. 현재의 서비스·인프라 확대 정책이 주로 미취학 아동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데, 학령기에 대도시로 전출하는 가장 큰 이유가 교육 문제인 만큼 미취학 아동 중심의 육아 인프라 정책을 학령기까지 확장해 다양한 사업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고 있음
[출처] 한국지방세연구원
[참고자료] '장려금 100만원에 출산율 0.03명 ↑…인프라 늘면 0.098명 ↑' (2023.05.08.) / 연합뉴스
목차
1. 한국의 초저출산 현상 심화
2.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
3.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의 분석 결과
4.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인 출산지원정책을 위한 제언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지자체 출산지원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