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란 ‘디지털화된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ASF, 2007)으로 정의되며, 전통적으로 라이프로깅/가상세계/거울세계/증강현실로 구성된 광범위한 영역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적 의미의 메타버스’는 주로 ‘3D Web’과 ‘확장현실(XR)’에 기반하고, ‘가상플랫폼’을 중심으로 ‘자체 경제시스템’을 가진 디지털 세계에 국한된 엄격한 의미로 재정의된다. 메타버스는 모바일 패러다임을 대체하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전통적 메타버스’(메타버스 1.0)에서 ‘현대적 메타버스’(메타버스 2.0)로의 지속적인 이행과정으로 볼 수 있다.
□ 메타버스는 경제·사회 영역과 연계로 산업생태계 형성…기업 간 기술지배력 경합
가상플랫폼에서는 다수의 참가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메타버스 세계에 진입해 경제적·사회적 활동을 수행하면서 고유한 생태계를 형성한다(예: 로블록스, 포트나이트, 제페토, 위버스, 옴니버스 등 다양한 유형의 플랫폼 존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메타버스 내 확장현실(XR)과 관련한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기기, 그리고 이들 디바이스에 결합하는 각종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등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의 핵심 요소인 XR 기기는 ‘고글형 HMD(Head Mounted Display) 디바이스’와 아직은 기술적 제약이 상대적으로 큰 증강현실(AR) 디바이스로 활용되는 ‘글래스형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로 구분되는데, 현재 글로벌기업 간 기술지배력을 획득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합 중이다. 소프트웨어는 콘텐츠 개발에 활용되는 3D 제작엔진, 인공지능, 데이터조합 등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디지털 휴먼’이나 ‘디지털 트윈’ 관련솔루션이 핵심 기술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 메타버스 서비스와 콘텐츠, 광범위하게 활용·소비되면서 산업적 연관을 형성해
확장현실 기기 및 SW를 통해 개발된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소비됨으로써 (산업적)연관을 형성한다. ‘경제적’으로는 게임이나 실감형 공연·전시, e-커머스, 의류·패션 외에, 스마트제조와 가상오피스, 관광, 모빌리티 등에서 활용되는 추세이다. ‘공적·사회적’으로도 소셜미디어(SNS)는 물론, 교육·훈련, 보건의료, 방재·안전, 국방 등 다양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산업적)연관은 ‘메타버스 기업에 대한 비즈니스 실태조사’1)에서도 확인되는 바, 메타버스 기업들은 다양한 부문의 업종들과 다중적인 거래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메타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적 구성요소, 그리고 이들 요소와의 (산업적)전방 연관에 의해 다양한 업종들로 구성되는 가운데, 2020년을 전후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는 메타버스 산업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
(출처: 서울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연구개요 19
1. 연구배경과 목적 20
1) 연구배경 20
2) 연구목적 22
2. 연구내용과 방법 23
1) 연구내용 23
2) 연구방법 24
02. 메타버스에 관한 이론적 논의 25
1. 왜 메타버스인가? 26
1)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26
2) 메타버스의 출현 배경 32
2. 메타버스에 관한 개념적 이해 38
3.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구성과 주요 내용 67
1) 산업생태계의 구성과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67
2)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지속가능성장 조건 71
03. 메타버스 산업의 주요 현황 79
1.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기초 현황 80
1) 표준산업분류에 의한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구성 80
2) 분석에 활용된 자료 85
3) 메타버스 산업의 국내외 동향과 전망 87
4)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기초 현황 94
2. 메타버스 기업 사례조사 분석 101
1) 사례조사 개요 101
2) 사례기업 1: 피앤씨솔루션(AR 글래스 제조 및 소프트웨어 개발) 102
3) 사례기업 2: 버넥트(산업용 XR 솔루션 개발 및 공급) 106
4) 사례기업 3: 제이에스씨(XR 실감형 체험 콘텐츠 개발) 111
5) 사례기업 4: 에이아이바(메타버스 패션 플랫폼) 116
6) 사례분석의 요약 및 시사점 119
3. 메타버스 산업 관련 주요 정책 현황 121
1) 관련 정책 및 계획의 추진 경과 121
2) 정부와 서울시의 핵심 전략 및 주요 사업 128
3) 서울시 133
04. 메타버스 산업 비즈니스 실태와 정책수요 141
1. 조사개요 142
1) 조사설계 142
2) 조사 대상 기업의 주요 현황 143
2. 실태조사 결과 주요 내용 147
1) 메타버스 기업에 대한 인식과 전망 147
2) 비즈니스 실태와 주요 현황 159
3) 육성 및 활성화 정책 수요 172
3. 요약과 시사점 183
05. 서울시 메타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 방안 185
1.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 186
1) 산업생태계 주요 현안 186
2) 향후 정책 방향 191
2. 전략적 방안 193
1) 전략 1: 산업생태계 육성 및 기업의 경쟁역량 강화 193
2) 전략 2: 서울경제를 선도하는 메타버스 산업 글로벌 거점 조성 203
3) 전략 3: 메타버스 산업활성화를 견인하는 정책 거버넌스 확립 210
참고문헌 215
[부록] 218
Abstract 239
판권기 242
[표 2-1] 1차~3차 산업혁명의 주요 내용 26
[표 2-2]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주요 기술 27
[표 2-3] 디지털 전환 관련 기술혁신 29
[표 2-4] 디지털 패러다임의 전환: 인터넷/모바일/메타버스 31
[표 2-5] 연도별 소셜미디어 이용현황 33
[표 2-6] 연령별 소셜미디어 이용현황 34
[표 2-7] 전 세계 인터넷 및 소셜미디어 이용현황 및 추세 35
[표 2-8] 국내 소셜미디어(SNS) 이용률 변화추이 36
[표 2-9] 온라인쇼핑 시장 규모: 판매 매체별 추이 37
[표 2-10]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4가지 유형(영역)의 주요 내용 42
[표 2-11] 메타버스 패러다임의 비교: 전통적 메타버스와 현대적 메타버스 43
[표 2-12] 가상플랫폼의 4가지 유형 46
[표 2-13] 주요 확장현실(XR) 기기의 현황 48
[표 2-14] 메타버스 구현을 뒷받침하는 핵심 기술들 52
[표 2-15]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피팅 주요 사례 60
[표 2-16]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교육서비스 66
[표 2-17] 최근 메타버스를 둘러싼 제기되는 예상 법제도적 쟁점 관련 국내 논의 78
[표 3-1]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개념적 구성체계 80
[표 3-2]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핵심산업 영역 표준산업분류 업종 매칭 83
[표 3-3]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1차 전방연관 영역의 표준산업분류 업종 매칭 84
[표 3-4]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2차 전방연관 영역의 표준산업분류 업종 매칭 84
[표 3-5] 조사분석에 활용한 자료원 86
[표 3-6] 현황 분석에 활용된 메타버스 관련 기업 리스트 86
[표 3-7] 메타버스 산업의 글로벌 고용 성장 추세 88
[표 3-8] 국내 VR/AR 시장 주요 현황(2020년) 89
[표 3-9]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핵심산업 영역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2019년) 95
[표 3-10]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전방연관 영역 사업체와 종사자 현황(2019년) 97
[표 3-11] 메타버스 기업 DB 현황 99
[표 3-12] 전국 메타버스 기업의 지역별 분포 100
[표 3-13] 서울시 소재 메타버스 기업의 지역별 분포 100
[표 3-14] 피앤씨솔루션 기업 개요 102
[표 3-15] 버넥트 기업 개요 107
[표 3-16] 제이에스씨 기업 개요 112
[표 3-17] 에이아이바 기업 개요 116
[표 3-18] 정부의 주요 추진계획 상에서의 메타버스 관련 정책 변천 121
[표 3-19] 5대 선도 프로젝트(안) 122
[표 3-20] 가상융합경제 발전 전략 주요 내용 130
[표 3-21]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주요 내용 132
[표 3-22] 메타버스 서울 구현을 위한 추진과제 140
[표 4-1] 조사항목 143
[표 4-2] 조사 대상 기업의 주력 업종 144
[표 5-1] 메타버스 구현을 뒷받침하는 핵심기술 196
[그림 1-1] 메타버스의 구분과 활용영역 21
[그림 1-2] 주요 연구내용 23
[그림 2-1] 디지털 패러다임의 전환: 인터넷/모바일/메타버스 패러다임 31
[그림 2-2] 메타버스의 4가지 상호작용 방식 40
[그림 2-3] 메타버스 구성체계: 7개의 층위(layer) 44
[그림 2-4] 메타버스 산업 구성요소에 관한 2가지 관점 45
[그림 2-5]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7가지 요소 46
[그림 2-6] 주요 가상현실 디바이스 출시 일정 48
[그림 2-7]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메타버스 이미지: 디지털 휴먼(좌)과 디지털 트윈(우) 49
[그림 2-8] 디지털 자산의 종류 50
[그림 2-9] 메타버스 인프라: 클라우드와 엣지컴퓨팅 시스템 50
[그림 2-10] 로블록스의 사용자 지출과 환전액 추세 52
[그림 2-11] 메타버스의 경제사회적 영향 관계도 55
[그림 2-12] 메타버스 플랫폼과 게임: 로블록스/마인크래프트/제페토 57
[그림 2-13]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업무시스템 구성체계 59
[그림 2-14]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모델 정립을 위한 프레임워크 69
[그림 2-15]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70
[그림 3-1]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전망: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시장 87
[그림 3-2]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동향과 전망: 용도별 88
[그림 3-3] 국내 AR/VR 시장 전망: 2020~2024년(기술별) 90
[그림 3-4] 국내 AR/VR 시장 전망: 2020~2024년(분야별) 90
[그림 3-5] 글로벌 콘텐츠 시장 현황과 전망 91
[그림 3-6] 전 세계 디지털콘텐츠 시장규모와 전망(2020~2025년) 92
[그림 3-7] 디지털콘텐츠 분야별 시장규모와 전망(2020~2025년) 92
[그림 3-8]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규모 및 전망 93
[그림 3-9]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 전망 93
[그림 3-10] 메타버스 기업 DB의 종사자 수(좌)와 업력(우) 분포 99
[그림 3-11] 사례조사 대상기업 101
[그림 3-12] 피앤씨솔루션의 MR 글래스 104
[그림 3-13] 버넥트의 산업용 XR 솔루션 108
[그림 3-14] 버넥트의 View와 Make 109
[그림 3-15] 제이에스씨의 5G 기반 AR 통합 지휘통제 플랫폼 113
[그림 3-16] 제이에스씨의 핑거스토리 114
[그림 3-17] 에이아이바의 마이핏 3D 117
[그림 3-18] 에이아이바의 VEER 118
[그림 3-19] XR+α 프로젝트 개념도 124
[그림 3-20] 가상융합경제 발전 전략 124
[그림 3-21]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운영체계 125
[그림 3-22] 메타버스 사회혁신센터 운영(안) 126
[그림 3-23] 메타버스 서울의 비전 및 추진과제 128
[그림 3-24] 서울비전 2030에서 메타버스 서울 구축 관련 내용 134
[그림 3-25] S-MAP(에스맵) 화면 135
[그림 3-26] 서울XR실증센터 136
[그림 4-1] 메타버스 관련 사업참여 정도 144
[그림 4-2] 메타버스 기업(A형 기업군)의 주력사업 분야 145
[그림 4-3] 확장현실 관련 메타버스 기업의 주력사업 분야 146
[그림 4-4] 확장현실 메타버스 기업의 주력 디지털 자산 분야 146
[그림 4-5] 메타버스 인지도 147
[그림 4-6] 메타버스의 개념적 이해 148
[그림 4-7] 메타버스 연상 키워드 149
[그림 4-8] 최근의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 150
[그림 4-9] 회사 운영이나 생산활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화 요소 151
[그림 4-10]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단계 인식 152
[그림 4-11] 향후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는 메타버스 분야 153
[그림 4-12] 메타버스 활용도가 높은 예상 분야 154
[그림 4-13] 메타버스의 비즈니스 활용 가능성이 높은 부문 155
[그림 4-14] 메타버스 비즈니스의 활용 의향 156
[그림 4-15] 메타버스의 비즈니스 활용 사유 157
[그림 4-16] 메타버스의 비즈니스 도입ㆍ활용 시 고려 요소 158
[그림 4-17] 메타버스 기업의 주력사업 분야 159
[그림 4-18] 확장현실 기반 메타버스 기업들의 주력 분야 160
[그림 4-19] 기업의 주력사업 분야 핵심 기술요소 160
[그림 4-20] 메타버스 기업의 주된 사업 방식 161
[그림 4-21] 조사 대상 기업의 매출 규모 162
[그림 4-22] 조사 대상 기업의 주 거래 업종 163
[그림 4-23] 주요 거래 업종과 네트워크 맵 164
[그림 4-24] 거래(구매+판매)가 이루어지는 지리적 범위 165
[그림 4-25] 기업의 입지 요인 166
[그림 4-26] 현재 입지의 만족도 167
[그림 4-27] 본사 또는 연구소 이전 의향 167
[그림 4-28] 본사 또는 연구소 이전 희망 장소 167
[그림 4-29] 본사 또는 연구소 이전 희망 지역 168
[그림 4-30] 사업 과정에서 경험하는 주된 애로요인 169
[그림 4-31] 사업자금 조달 방법 170
[그림 4-32] 기업들의 인적자원 여건 171
[그림 4-33] 회사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핵심 요소 172
[그림 4-34] 향후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 전망(~2030년) 173
[그림 4-35]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 동인 174
[그림 4-36] 국내와 선진국의 메타버스 디바이스 경쟁역량 비교 175
[그림 4-37] 국내와 선진국의 메타버스 소프트웨어 경쟁역량 비교 175
[그림 4-38] 국내 메타버스 산업의 경쟁역량 평가 175
[그림 4-39] 메타버스 산업의 지속가능성장 조건 176
[그림 4-40] 메타버스 콘텐츠의 이용 활성화에 필요한 요소 177
[그림 4-41] 메타버스 산업 육성 및 활성화 정책선호 178
[그림 4-42] 메타버스 산업의 경쟁역량 확보에 필요한 핵심기술 179
[그림 4-43] 메타버스 인적자원 정책수요 180
[그림 4-44] 메타버스 산업의 지속 성장에 필요한 인적자원 수요 181
[그림 4-45] 메타버스 산업의 수요시장 창출에 관한 정책수요 182
[그림 5-1] 메타버스 관련 정부의 주요 산업발전전략 188
[그림 5-2]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단계 인식 189
[그림 5-3] 메타버스 산업의 지속가능성장 조건 189
[그림 5-4] 주요 거래 업종과 네트워크 맵 191
[그림 5-5] 서울시 메타버스 산업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 192
[그림 5-6]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193
[그림 5-7] 국내 메타버스 산업의 분야별 경쟁역량 194
[그림 5-8] 서울XR실증센터 운영사업의 정책 고도화 방안 196
[그림 5-9] 메타버스 전문인력 양성 및 알선 지원 방안 198
[그림 5-10] 메타버스 서울 플래그십 프로젝트Ⅰ, 〈(가칭)사회혁신을 선도하는 메타버스 서울〉 200
[그림 5-11] 6대 융합 신산업거점 조성 203
[그림 5-12]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종합지원체계 구축 205
[그림 5-13] 서울시 산업거점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209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디지털 전환기 서울시 메타버스산업 활성화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