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군 자율비행 무인항공기의 현황 및 획득 효율화 방안

주요 군사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자율 무기체계 확보에 대한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자율화 기술이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자율비행 무인항공기의 경우 장기간 소요되는 조종사의 훈련과정 및 항공기를 운용?통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력과 예산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인명손실 부담을 줄이고 임무 수행 중 보다 공격적이고 고도화된 전술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투 과정에서 실제 파손과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단기간에 전력보충이 가능하며 Observe-Orient-Decide-Act(관측-판단-결심-행동) 주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의사 결정권자에게 중요정보를 단시간 내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고에서는 자율비행 무인항공기의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주요국들과 한국군의 관련 기술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유·무인 협업체계(MUM-T)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서 개발되고 있는 한국군 자율화 기술의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요소별로 최소 2.7년에서 최대 4.8년)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황 분석을 토대로 미래 한국군의 자율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다음과 같은 효율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무인 무기체계의 효율적인 획득을 위해 국방 무인체계 공통 아키텍처 개념 적용이 필요하다. 미국은 국방 무인체계의 공통 아키텍처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 획득 지침서인 MOSA(Modular Open Systems Approach)를 적용하고 있다. 둘째, 자율 무기체계 획득 시 주요 획득단계별(요구정의/개발, 시험평가, 운용배치 단계 등) 중점 고려사항을 정립하여야 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요구정의/개발 단계에서는 자율 시스템 소프트웨어만을 위한 획득절차가 필요하고, 시험평가 단계에서는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자율 무기체계 관련 평가모델체계 발전 논의가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운용배치 단계에서는 자율 무인 시스템과 사람이 협업하는 상황을 고려한 포괄적인 교육과 훈련이 요구되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출처: 한국국방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주요국들의 자율비행 무인항공기의 현황 3

한국군 자율비행 무인항공기의 현황 7

한국군 자율비행 무인항공기의 획득 효율화 방안 10

맺음말 14

〈표 1〉 미국의 주요 자율비행 무인항공기 관련 추진사업 4

〈표 2〉 유ㆍ무인 협업체계 관련 세부 기술 9

〈표 3〉 한국군 공중 무기체계 자율비행 기술의 선진국 대비 수준 9

〈그림 1〉 미 국방부 MOSA 획득지침서의 프레임워크 개념 및 세부 구성요소 11

해시태그

#자율무기체계 # 무인항공기 # 무인무기체계 # 자율무인시스템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