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에너지 정책이 국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 연구(2/3)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8

제1장 서론 20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0

2. 연구의 목적 24

3. 보고서의 구조 27

제2장 모형의 개요 28

1. 에너지 수급 및 온실가스 배출 전망 28

1.1. 에너지 전망을 위한 주요 전제 작성 방법 28

1.2. 에너지 전망 방법 31

2. 에너지 수급과 경제 모형 34

2.1. 에너지 모형과 경제 모형의 주요 연계 변수 36

2.2. 모형 구축의 주요 이슈 37

3. 에너지 및 온실가스 정책 43

제3장 모형의 상세구조 48

1. 경제 모형 개요 48

2. 거시 모듈 50

2.1. 소득 블록 51

2.2. 지출 블록 55

2.3. 생산 블록 61

2.4. 물가 블록 65

3. 산업 모듈 69

3.1. 최종수요 블록 71

3.2. 투입/산출 블록 73

4. 모형의 평가 76

제4장 2022년 에너지 전망과 베이스라인 설정 결과 80

1. 2022년 에너지 전망 81

1.1. 주요 전제와 에너지 전망에너지를 비롯하여 주요 경제 전망은 인구 81

1.2. 에너지 설비 및 기기 보급과 에너지 효율 85

2. 베이스라인의 경제 전망 87

2.1. 거시 경제 변수 87

2.2. 산업 생산 변수 95

3. 베이스라인에서의 국민 삶의 질과 국가발전 지표 99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3

1. 연구의 주요 성과 103

2. 결론 및 시사점 106

참고문헌 109

판권기 112

〈표 1-1〉 국민 삶의 질 및 국가발전지표에서 정량화 가능 지표 25

〈표 2-1〉 에너지 모형에서 경제 모형으로 환류되는 변수 36

〈표 3-1〉 취업자 51

〈표 3-2〉 실질 임금 53

〈표 3-3〉 가계최종소비지출 55

〈표 3-4〉 정부총지출 57

〈표 3-5〉 건설투자 59

〈표 3-6〉 설비투자 59

〈표 3-7〉 지식재산생산물투자 60

〈표 3-8〉 고정자산소모 62

〈표 3-9〉 잠재 국내총생산 64

〈표 3-10〉 생산자물가 상승률 67

〈표 3-11〉 소비자물가 상승률 67

〈표 3-12〉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 68

〈표 3-13〉 거시 모듈 추정 적합도 77

〈표 3-14〉 산업 모듈 추정 적합도 (RMSPE, 2015~2021) 79

〈표 4-1〉 상품별 최종수요 전망 96

〈표 4-2〉 업종별 총산출 전망 비교 97

〈표 4-3〉 국민 삶의 질 및 국가 발전 지표 100

[그림 2-1] KEEI-EGMS 산업 부문의 에너지 수요 전망 흐름 32

[그림 2-2] KEEI-EGMS 에너지 수요 및 온실가스 배출 전망 흐름 35

[그림 2-3] 자본스톡/국내총생산과 고정자본소모/자본스톡 추이 40

[그림 2-4] 한계자본생산 추이 40

[그림 3-1] 거시 모듈의 연산 흐름 50

[그림 3-2] 정부처분가능소득, 정부총지출, 정부최종소비지출 추이 56

[그림 3-3] 고정자본형성 추이 58

[그림 3-4] 국내총생산 대비 자본스톡 추이 63

[그림 3-5]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 추이 66

[그림 3-6] 산업연관표 구조와 상품별 투입-산출 관계 69

[그림 3-7] 고정 투입산출계수와 전제 조정에 따른 2050년 중간수요의 변화 74

[그림 3-8] 에너지 전망 반영에 따른 2050년 중간투입의 변화 75

[그림 4-1] 국내총생산, 총에너지 수요, 온실가스 배출 전망 추이 (2018 = 100) 84

[그림 4-2] 에너지원단위 추이 84

[그림 4-3] 부문별 에너지원단위 추이 85

[그림 4-4] 기초 전제와 베이스라인의 잠재 국내총생산 성장률 비교 87

[그림 4-5] 고정자본형성 추이 88

[그림 4-6] 고정자본소모와 자본스톡 추이 89

[그림 4-7] 취업자, 실질임금, 피용자보수 추이 91

[그림 4-8] 최종소비지출 추이 92

[그림 4-9] 영업잉여 추이 92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에너지정책 # 에너지전망 # 에너지수급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