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3) 한국의 사회동향

□ 통계청은 12월 15일 「한국의 사회동향 2023」을 발표함.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2008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08~‘22년 사이 20대 남성은 30.0%p, 여성은 25.4%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사회동향 2023」 주요 내용

Ⅰ. 인구, 가구‧가족, 사회통합 영역

-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08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
- 20~30대의 동거와 무자녀에 대한 태도는 ’15~’20년 사이 부정적 인식보다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아졌으며, 비혼출산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인식이 54.4%로 높음
- 성적 소수자에 대한 사회의 포용 정도는 매우 낮으나 ’13년 대비 소폭 개선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의 포용 정도는 외국인 이민‧노동자보다 더 낮음

Ⅱ. 주거, 소득․소비․자산 영역
-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독거가구의 반지하/지하/옥상 거주 비율이 가장 높고, 주거환경 만족도도 낮은 편이나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
- ’18~’21년 기간 동안 20대 이하 가구주의 가구소득은 감소했고 부채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 자산 중 전월세 보증금 비중이 가장 높음

Ⅲ. 건강, 교육․훈련, 노동, 범죄․안전 영역
- 비수도권은 수도권에 비해 병원수와 병상수가 많지만 의사수와 간호사수는 적은 편이고,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비수도권이 적으며 수도권과의 격차가 확대되는 추세
- 디지털 정보화 이용 능력은 ‘접근’ 수준보다 ‘역량’ 수준에서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며, 고령층과 농어민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
- 연령별 산업재해 사망자는 40대 이하에서는 감소, 60대 이상에서는 증가 추세. 업무상 질병사망자는 ’17년부터 증가 추세이며, 사고사망자는 감소 추세 
- 낙상에 의한 사망률은 65세 이상에서 최근 증가 추세이며 고령일수록 더 심각함.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감소 추세이지만 다른 연령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임

Ⅵ. 여가, 주관적 웰빙 영역
- 코로나19 이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여가시간의 비중은 ’20년 증가한 이후 감소 추세이나, OTT를 통한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코로나19 시기 모바일 콘텐츠 시청, 드라이브, 원예, 골프 등의 여가활동 증가
- 코로나19 시기 악화된 삶의 만족도와 부정 정서 경험은 ’22년 점차 회복 중. 영업시간 감소를 경험한 비임금근로자의 삶의 만족도는 ’20~‘22년 지속적인 하락 추세

(출처: 통계청)

목차

□ 「한국의 사회동향 2023」요약

□  「한국의 사회동향 2023」 주요 결과
 Ⅰ. 인구, 가구․가족, 사회통합 영역
  1. 청년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태도와 특징  9
  2. 비혼 동거 가족의 특성 11
  3. 한국인의 소수자 포용에 대한 인식 12
 
 Ⅱ. 주거, 소득․소비․자산 영역
  4. 청년의 주거실태와 특징: 청년가구의 유형별, 지역별 차이를 중심으로 14
  5. 세대 간 소득‧자산 불평등 추이: 20~30대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16
 
 Ⅲ. 건강, 교육․훈련, 노동, 범죄․안전 영역
  6. 수도권과 지방 간의 의료시설 및 의료인력 불균형 18
  7. 디지털 전환 시대,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 20
  8. 지난 20년의 산업재해 발생 추이 및 구조  22
  9. 고령자 안전사고 추이와 실태  24

 Ⅳ. 여가, 주관적 웰빙 영역
  10. 팬데믹이 가져온 일상생활과 여가활동의 변화  26
  11. 코로나19와 주관적 웰빙: 삶의 만족, 정서 경험, 자녀양육과 경제활동의 변화 28

 □ 부록
 ◎ 「한국의 사회동향 2023」 영역별 논문제목 및 집필진 30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사회동향 #사회조사 #인구동향 #사회통계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