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 주요 내용
➢ 자녀 출산순위별 출산율 하락 요인
- 첫째 자녀 출산은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초등학교 사교육비의 영향을 크게 받음
- 둘째자녀 이상 출산은 주택매매가격, 전세가격과 함께 고등학교 사교육비의 영향을 크게 받음
➢ 주택가격 상승기 출산율 하락에 대한 기여도
- 주택가격 상승기에는 출산율 하락에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기여도가 높음
- 주택가격 상승기에는 첫째 자녀에 비해 둘째, 셋째 자녀 이상의 사교육비가 출산율 하락에 대해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특히 고등학교 사교육비의 기여도가 증가
➢ 미래 출산율에 대한 기여도
- 첫째 자녀의 미래 출산율은 전년도 첫째 자녀 출산율과 주택매매가격의 기여도가 높음
- 둘째 자녀 이상의 미래 출산율은 전년도 출산율의 기여도가 감소하고, 주택매매가격과 여성 경제활동 참여율의 기여도가 증가
➢ 주택가격과 출산율 하락구조의 전환
-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첫째와 둘째 자녀 출산율 하락에 대한 영향력이 강화된 반면, 셋째 자녀 이상에는 영향력이 크지 않음
(출처: 국토연구원)
➢ 자녀 출산순위별 출산율 하락 요인
- 첫째 자녀 출산은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초등학교 사교육비의 영향을 크게 받음
- 둘째자녀 이상 출산은 주택매매가격, 전세가격과 함께 고등학교 사교육비의 영향을 크게 받음
➢ 주택가격 상승기 출산율 하락에 대한 기여도
- 주택가격 상승기에는 출산율 하락에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기여도가 높음
- 주택가격 상승기에는 첫째 자녀에 비해 둘째, 셋째 자녀 이상의 사교육비가 출산율 하락에 대해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특히 고등학교 사교육비의 기여도가 증가
➢ 미래 출산율에 대한 기여도
- 첫째 자녀의 미래 출산율은 전년도 첫째 자녀 출산율과 주택매매가격의 기여도가 높음
- 둘째 자녀 이상의 미래 출산율은 전년도 출산율의 기여도가 감소하고, 주택매매가격과 여성 경제활동 참여율의 기여도가 증가
➢ 주택가격과 출산율 하락구조의 전환
-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첫째와 둘째 자녀 출산율 하락에 대한 영향력이 강화된 반면, 셋째 자녀 이상에는 영향력이 크지 않음
(출처: 국토연구원)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