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

01. 국제사회의 공적개발원조(ODA) 추진 현황 4

1.1. OECD ODA 지원 개황 4

1.2. 주요 공여국 농업 ODA와 농식품 및 전후방산업 수출 현황 8

02.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현황 및 수출 14

2.1. 우리나라 ODA 지원 현황 14

2.2. 우리나라 농업 ODA와 K-Food+ 수출 현황 17

03. 농업 ODA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19

3.1. 분석모형 및 데이터 19

3.2. 분석 결과 20

04. 요약 및 시사점 22

[부록] 24

참고문헌 26

판권기 2

표 1.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규모 4

표 2. OECD/DAC 회원국 지원 대상 상위 10대 수원국 5

표 3. OECD/DAC 회원국의 ODA 분야별 지원 현황 6

표 4. OECD/DAC 회원국의 ODA 농업 지원 현황 7

표 5. 우리나라 ODA 지원 상위 10대 수원국 15

표 6. 우리나라 양자성 ODA 분야별 지원 현황 16

표 7. 우리나라 농업 ODA 지원 현황 17

표 8. 주요 변수 설명 20

표 9. 기초통계량 20

표 10. 농업 ODA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21

그림 1. 공적개발원조(ODA) 공여 그룹 현황 5

그림 2. OECD/DAC 회원국별 2022년 ODA 지원 현황 7

그림 3. 미국의 농업 ODA 및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 현황 8

그림 4. 독일의 농업 ODA 및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 현황 9

그림 5. 프랑스의 농업 ODA 및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 현황 11

그림 6. 일본의 농업 ODA 및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 현황 12

그림 7. 영국의 농업 ODA 및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 현황 13

그림 8. 우리나라 ODA 전체 지원 추이 14

그림 9. 우리나라 소득 그룹별 ODA 지원 현황(양자성 ODA) 15

그림 10. 우리나라의 농업 ODA 및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 현황 18

부표 1. 주요 DAC 회원국의 농업 ODA 지출총액 24

부표 2. 전후방산업 관련 HS code 24

해시태그

#농업ODA # 농식품수출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