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 16일 로봇산업정책심의회를 통해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을 확정했다고 밝혔음. 이번 기본계획은 '주요국의 로봇산업 전략', '로봇산업에 대한 분석 및 진단', 지난 12월 발표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 이행을 위한 세부 추진계획 등을 담고 있음
□ K-로봇경제 실현을 위해 정부는 ▲제조업, 농업, 물류, 서비스, 국방, 사회안전 등 전 산업·사회 영역에 2030년까지 100만대의 로봇 투입, ▲로봇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80%로 상향, ▲첨단로봇 보급 활성화에 필요한 51개 규제 개선, ▲2030년까지 로봇산업 인력 1만5천명 이상 양성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음
□ 전세계 로봇산업은 서비스 로봇을 중심으로 2021년 282억불에서 2030년 831억불로 3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국내 로봇산업의 경우 제조업 로봇밀도는 세계 1위이나, 핵심 부품 등의 해외 의존도가 높으며 서비스 로봇의 보급은 기대보다 낮은 상황임. 따라서 로봇산업의 시장 확대와 경제 혁신을 위한 ①제조·서비스로봇의 보급이 확대되어야 하며, ②기업간·국가간·지역간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③로봇 친화적인 제도 재설계를 통해 우호적인 산업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 추진방향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30년까지 100만 로봇 보급'…핵심 부품 국산화율 80% (2024.01.16.) / 헤럴드경제
□ K-로봇경제 실현을 위해 정부는 ▲제조업, 농업, 물류, 서비스, 국방, 사회안전 등 전 산업·사회 영역에 2030년까지 100만대의 로봇 투입, ▲로봇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80%로 상향, ▲첨단로봇 보급 활성화에 필요한 51개 규제 개선, ▲2030년까지 로봇산업 인력 1만5천명 이상 양성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음
□ 전세계 로봇산업은 서비스 로봇을 중심으로 2021년 282억불에서 2030년 831억불로 3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국내 로봇산업의 경우 제조업 로봇밀도는 세계 1위이나, 핵심 부품 등의 해외 의존도가 높으며 서비스 로봇의 보급은 기대보다 낮은 상황임. 따라서 로봇산업의 시장 확대와 경제 혁신을 위한 ①제조·서비스로봇의 보급이 확대되어야 하며, ②기업간·국가간·지역간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③로봇 친화적인 제도 재설계를 통해 우호적인 산업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 추진방향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30년까지 100만 로봇 보급'…핵심 부품 국산화율 80% (2024.01.16.) / 헤럴드경제
목차
표제지
목차
Ⅰ. K-Robot Economy 추진 배경 3
Ⅱ. 로봇산업 분석과 진단 5
Ⅲ. 추진방향 10
Ⅳ. 주요 정책과제 11
전략 1. 로봇 3대(기술, 인력, 기업) 핵심경쟁력 강화 11
전략 2. K-Robot 시장의 글로벌 진출 확대 17
전략 3. 로봇산업 친화적 인프라기반 구축 23
Ⅴ. 향후계획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