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출퇴근 전쟁 없는 경기 터전 : 일하는 방식의 전환을 통한 출퇴근문제 완화 방안

목차

표제지

목차

정책건의 3

01.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02. 수도권 지역 출퇴근 현황 16

1. 데이터 및 연구 방법 17

2. 통근인구, 통근율, 이동지, 통근 유출ㆍ입 18

1) 통근인구 및 통근율 18

2) 통근 이동 구간 19

3) 시ㆍ군ㆍ구별 통근인구, 이동지, 통근 유ㆍ출입 22

3. 통근 시 이용교통수단 및 통근소요시간 28

1) 이용교통수단별 통근인구 28

2) 시ㆍ군별 이용교통수단별 통근인구 30

3) 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및 평균통근소요시간 33

4) 시ㆍ군별 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및 평균통근시간 36

4. 수도권 주요 장시간 통근 경로 39

03.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 44

1. 분석 범위와 사용 데이터 45

2.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과 추이 46

3. 인적 특성별 유연근무제 활용 및 수요 현황 50

4. 근무환경에 따른 유연근무제 활용 및 수요 현황 57

5. 직업별ㆍ산업별 유연근무제 활용 및 수요 현황 60

6. 원격근무(스마트워크) 활용 현황 64

7. 소결 70

04. 유연근무제 활용 실태 조사 72

1. 조사 개요 73

1)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 73

2) 사업체 대상 설문조사 74

2. 유연근무제 활용 실태 77

1) 유연근무제 활용률 77

2) 유형별 유연근무제 활용 81

3) 미운용ㆍ미활용 이유와 향후 의향 84

3. 유연근무제의 효과 87

1) 유연근무제 운용 및 활용에 대한 만족도 87

2) 유연근무제 운용 및 활용의 효과 90

3) 유연근무제 활용과 출퇴근 92

4. 유연근무제 운용을 위한 준비 상태 94

5. 유연근무제 확대 방안 96

1) 근로자의 수요 96

2) 사업체의 향후 유연근무제 운용 의향 99

3) 유연근무제 확대 방안 100

6. 유연근무제 확대 방안으로서 거주지에 근접한 공유오피스의 가능성 102

1) 근로자의 수요 102

2) 사업체의 수요 104

3) 희망하는 공유오피스의 입지 조건과 지원 사항 105

05. 유연근무제 활성화에 대한 질적 연구 107

1. 유연근무제 활용 사례 조사 108

1) 유연근무제 활용 우수 사례 108

2) 유연근무제 활용 우수 사례의 시사점 124

2. 유연근무제 활성화 관련 집단초점인터뷰(FGI) 조사 125

1) 조사 개요 125

2) 유연근무제 도입 및 활용 실태 126

3) 유연근무제 활용의 효과 130

4) 유연근무제 활성화의 장애 요인 133

5) 주거지 근처 공유오피스(스마트오피스)의 가능성 138

6) 유연근무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에 대한 의견 140

06. 정책적 지원 방안 143

1. 유연근무제 확대를 위한 중앙정부 지원사업 평가 및 개선 방안 144

1) 지원사업 개요 및 평가 144

2) 개선 방안 및 추가적 정책 방안 147

2. 유연근무제 확대를 위한 경기도 정책 방안 149

1) 공공 거점 원격 사무실 운영 149

2) 대학 및 공공기관 간 사무실 공유 152

3) 경기도 유연근무제 확산 지원 센터 설립 153

4) 경기도형 첨두시간대 승용차 출근통행 감축 프로그램 시행 154

5) 워케이션(Workation) 지원 강화 161

3. 경기도 정책목표 및 기대효과 163

1) 정책 목표 163

2) 기대 효과 164

07. 결론 167

참고문헌 172

Abstract 173

[부록] 양적조사 설문지 176

판권기 2

[표 2-1] 수도권 성별 통근인구 및 통근율 18

[표 2-2] 수도권 연령별 통근인구 및 통근율 19

[표 2-3] 수도권 통근 이동 구간 분포 19

[표 2-4] 거주 중인 시ㆍ군ㆍ구 외 지역으로의 이동지 및 순 유출ㆍ입 통근인구 20

[표 2-5] 다른 시ㆍ도로의 통근 유출ㆍ입의 상위(5개) 시ㆍ군ㆍ구 21

[표 2-6] 경기도 시ㆍ군별 통근율 및 이동 구간 분포 23

[표 2-7] 경기도 순 유출ㆍ입 통근인구 및 유출ㆍ입 상위 시군구 24

[표 2-8] 서울특별시 구별 통근율 및 이동지 분포 26

[표 2-9] 인천광역시 구ㆍ군별 통근율 및 이동지 분포 26

[표 2-10] 서울특별시 순 유출ㆍ입 통근인구 및 유출ㆍ입 상위 시군구 27

[표 2-11] 인천광역시 순 유출ㆍ입 통근인구 및 유출ㆍ입 상위 시군구 28

[표 2-12] 이용교통수단별 통근인구 29

[표 2-13] 이동지별ㆍ이용교통수단별 통근인구 29

[표 2-14] 경기도 시ㆍ군별 이용교통수단별 통근인구 분포 31

[표 2-15] 서울특별시 구별 이용교통수단별 통근인구 분포 32

[표 2-16] 인천광역시 구ㆍ군별 이용교통수단별 통근인구 분포 33

[표 2-17] 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34

[표 2-18] 이동지별ㆍ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및 평균소요시간 35

[표 2-19] 이동지별ㆍ이용교통수단별 평균통근소요시간 35

[표 2-20] 경기도 시ㆍ군별 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분포 37

[표 2-21] 서울특별시 구별 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분포 38

[표 2-22] 인천광역시 구ㆍ군별 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분포 39

[표 2-23] 경기도 주요 장시간 통근 상위 시군구 40

[표 2-24] 서울특별시 주요 장시간 통근 상위 시군구 42

[표 2-25] 인천광역시 주요 장시간 통근 상위 시군구 43

[표 3-1] 2022년 경제활동 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유연근무제 관련 설문문항 47

[표 3-2] 직업별 유연근무제 활용비율 추이 61

[표 3-3] 직업별 유연근무제 수요비율 추이 61

[표 3-4] 산업별 유연근무제 활용비율 추이 63

[표 3-5] 산업별 유연근무제 수요비율 추이 63

[표 3-6] 정보화통계조사 원격근무(스마트워크) 운영 설문 문항 64

[표 3-7] 산업별 원격근무(스마트워크) 이용 비율 66

[표 3-8] 지역별 원격근무(스마트워크) 이용 비율 67

[표 3-9] 종사자 규모별 원격근무(스마트워크) 분야별 이용 추이 68

[표 3-10] 산업별 원격근무(스마트워크) 분야별 이용 추이 69

[표 3-11] 지역별 원격근무(스마트워크) 분야별 이용 추이 69

[표 4-1]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 개요 73

[표 4-2]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74

[표 4-3] 사업체 대상 설문조사의 개요 75

[표 4-4] 사업체 대상 설문조사 표본 분포(멱등배분, a=0.3) 76

[표 4-5] 사업체 대상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76

[표 4-6]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80

[표 4-7]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으로 인한 출퇴근시간 감소 정도(왕복 기준) 93

[표 4-8]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으로 인해 감소한 출퇴근시간(왕복 기준) 93

[표 5-1] FGI 참가자 개요 126

[표 6-1] 경기도 주요 시ㆍ군의 통근소요시간별 통근인구 및 평균소요시간 149

[표 6-2] 주요 기업의 거점 사무실 운영 현황 150

[표 6-3] 기업이 시행할 수 있는 CTR 프로그램(2개 이상 시행) 155

[표 6-4] 시애틀 지역 CTR 전략계획의 목표 156

[표 6-5] 시ㆍ군별 단계별 CTR 대상 기업체수(2021년 기준) 159

[표 6-6] 시ㆍ군별 단계별 CTR 대상기업의 종사자수(2021년 기준) 160

[표 6-7] 시나리오별 유연근무제 활용비율 및 취업자 수 164

[표 6-8] 시나리오별 탄소 배출량 감소 효과 165

[표 6-9] 시나리오별 통근시간 절감 효과 166

[그림 3-1] 유연근무제 활용추세 48

[그림 3-2] 유연근무제 제도별 활용비율 추이 49

[그림 3-3] 유연근무제 제도별 수요비율 추이 50

[그림 3-4] 성별ㆍ연령별 유연근무제 활용비율 : 2019년-2022년 비교 51

[그림 3-5] 성별ㆍ연령별 유연근무제 수요비율 : 2019년-2022년 비교 51

[그림 3-6] 성별ㆍ연령별 유연근무제 제도별 활용비율 : 2019년-2022년 비교 53

[그림 3-7] 성별ㆍ연령별 유연근무제 제도별 수요비율 : 2019년-2022년 비교 54

[그림 3-8] 성별ㆍ배우자 유무별 유연근무제 활용 및 수요비율 55

[그림 3-9] 성별ㆍ배우자 유무별 유연근무제 제도별 활용비율 56

[그림 3-10] 성별ㆍ배우자 유무별 유연근무제 제도별 수요비율 56

[그림 3-11] 남성 근무환경별 유연근무제 활용 및 수요비율 58

[그림 3-12] 여성 근무환경별 유연근무제 활용 및 수요비율 59

[그림 3-13] 원격근무(스마트워크) 운영비율 65

[그림 3-14] 원격근무(스마트워크) 분야별 이용률 추이 67

[그림 4-1]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운용 실태 78

[그림 4-2] (근로자 대상) 근무 중인 사업체의 유연근무제 운용 여부 78

[그림 4-3]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78

[그림 4-4] (사업체 대상) 운용했던 유연근무제 유형별 사업체 수(복수응답) 82

[그림 4-5] (사업체 대상) 현재 운용 중인 유연근무제의 임직원 이용률(전체 임직원 수 대비) 83

[그림 4-6] (사업체 대상)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전/후 유연근무제 이용률 변화 83

[그림 4-7] (근로자 대상) 활용한 적이 있거나 현재 활용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유형 83

[그림 4-8] (사업체 대상) 현재 유연근무제 미운용 사업체의 미운용 이유 85

[그림 4-9]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 85

[그림 4-10] (사업체 대상) 현재 유연근무제 미운용 사업체의 향후 유연근무제 도입 의향 86

[그림 4-11] (근로자 대상) 향후 유연근무제 활용 의향 86

[그림 4-12] (근로자 대상) 향후 활용 희망하는 유연근무제 유형 86

[그림 4-13] (사업체 대상) 운용 중인 유연근무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88

[그림 4-14]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운용을 만족하는 이유 88

[그림 4-15]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운용을 불만족하는 이유 88

[그림 4-16]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 이유 89

[그림 4-17] (근로자 대상) 활용한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 89

[그림 4-18] (근로자 대상) 활용한 유연근무제에 대한 불만족 이유 90

[그림 4-19]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운용으로 인한 효과 91

[그림 4-20]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으로 인한 개선 효과 91

[그림 4-21]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으로 인한 변화 92

[그림 4-22]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으로 인한 출퇴근시간 감소 정도(왕복 기준) 93

[그림 4-23] 유연근무제 운용을 위한 사업체 준비상태 94

[그림 4-24] (사업체 대상) 원격/재택근무 활용 근로자의 정규 업무보고 방식 95

[그림 4-25]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 근로자의 근태관리 방식 95

[그림 4-26] (근로자 대상) 활용 중인 유연근무제 외에 희망했던 유연근무제를 신청하지 못한 경험 유무와 이유 96

[그림 4-27] (근로자 대상) 현재 미활용 유연근무제 향후 활용 의향 97

[그림 4-28] (근로자 대상) 현재 활용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향후 활용 의향 97

[그림 4-29] (원격ㆍ재택근무 활용 근로자) 1주일 기준 원격ㆍ재택근무의 적정 운영 횟수 98

[그림 4-30] (시차출퇴근 활용 근로자) 1주일 기준 시차출퇴근제의 적정 운영 횟수 98

[그림 4-31] (사업체 대상) 현재 미운용 중인 유연근무제의 향후 운용 의향 99

[그림 4-32] (사업체 대상) 현재 운용 중인 유연근무제 향후 운용 의향 100

[그림 4-33] (근로자 대상)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 101

[그림 4-34]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 101

[그림 4-35]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활용 확대를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분야 102

[그림 4-36] (사업체 대상) 유연근무제 도입을 위한 협의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 집단 102

[그림 4-37] (근로자 대상) 주거지 근처 공유오피스 이용 시 허용 가능한 출퇴근 시간 103

[그림 4-38] (근로자 대상) 주거지 근처 공유오피스 이용 시 하루 최대 지불 가능 금액 104

[그림 4-39] (사업체 대상) 공유오피스 이용 의향 105

[그림 4-40] (근로자 대상) 주거지 근처 업무공간의 입지 조건 106

[그림 4-41] (사업체 대상) 희망하는 공유오피스 입지 조건 106

[그림 4-42] (사업체 대상) 공유오피스 활성화를 위한 필요 사항 106

[그림 6-1] 거점 원격 사무실의 영향권 151

[그림 6-2] 시애틀 지역 CTR 전략계획의 목표(11개 권역별) 156

[그림 6-3] CTR 시행 지역과 미시행 지역의 비교 157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출퇴근 # 통근 # 출퇴근수요 # 유연근무제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