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3) 한국의 사회지표

□ 통계청은 우리나라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국민 삶과 관련한 전반적인 경제‧사회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2023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간함

□ 「한국의 사회지표」는 통계작성기관에서 작성한 통계를 재분류·가공하여 1979년부터 매년 작성해 오고 있음

[2023 한국의 사회지표 주요결과]
1. 인구, 가구·가족

ㅇ (인구 변화) '23년 총인구는 5,171만 명, '72년 총인구는 3,622만 명으로 전망되며,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23년 18.2%에서 '72년 47.7%가 될 것으로 전망
ㅇ (가구 변화) '22년 전체 가구 수는 2,238만 가구로 전년보다 36만 가구 증가했고,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는 533만 가구로 전년보다 32만 가구 증가함
ㅇ (외국인 추이) '22년 장기체류외국인 수는 168.9만 명으로 전년보다 11.9만 명 증가함
 (출산) '23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이며, 모의 연령대별로 보면 합계출산율은 30~34세, 35~39세, 25~29세 순으로 높음

2. 건강, 생활환경
ㅇ (기대수명) '22년 기대수명은 '00년(76.0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83.6년)보다 감소한 82.7년이고, '22년 건강수명은 65.8년으로 '20년(66.3년)보다 0.5년 감소함
ㅇ (사망률) '23년 인구 천 명당 사망자 수는 6.9명으로 전년(7.3명)보다 0.4명 감소했고, '22년 사망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암)로 인구 10만 명당 162.7명이 사망함
 (생활습관) '22년 19세 이상 인구의 현재 흡연율은 16.9%로 전년(18.2%)보다 1.3%p 감소하였고, '22년 음주율은 54.0%로 전년(53.5%)보다 0.5%p 증가함

3. 교육·훈련, 노동
 (교육기회) '23년 취학률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전년보다 감소, 초등학교와 고등교육기관에서 증가했으며, '23년 사교육 참여율은 78.5%로 전년보다 증가함
 (고용과 실업) '23년 고용률은 전년(62.1%)보다 0.5%p 상승한 62.6%로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실업률은 2.7%로 전년(2.9%)보다 0.2%p 하락함
ㅇ (근로여건 만족도) '23년 임금근로자 중 전반적 근로여건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35.1%이며, '17년 이후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를 보임

4. 소득·소비·자산, 여가
 (국민계정) '23년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236.3조 원으로 전년보다 3.4% 증가,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3,745달러로 전년보다 2.6% 증가함
 (가구소득 및 분배) '22년 가구의 연 평균소득은 6,762만 원으로 전년보다 292만 원 증가하였고, 지니계수는 0.324로 전년보다 0.005만큼 감소하였음
 (소비생활) '23년 가구 월 평균 소비지출액은 279.2만 원으로 전년(264.0만 원)보다 15.2만 원 증가했으며, 소비생활 만족도는 '13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임
 (여가활용) '23년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률(55.3%), 레저시설 이용률(69.1%), 국내(66.7%)·해외여행(15.1%) 경험 비율 모두 '21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함

5. 주거, 범죄·안전
 (주택보급) '22년 기준 인구 천 명당 주택 수는 430.2호로 전년(423.6호)보다 6.6호 증가하였으며, 주택보급률은 102.1%로 전년(102.2%)보다 0.1%p 하락하였음
ㅇ (주거지출) '22년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은 6.3배로 전년(6.7배)보다 0.4배p 감소, 월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은 16.0%로 전년(15.7%)보다 0.3%p 증가함
 (범죄현황) '22년 10만 명당 범죄 건수는 3,048건으로 전년보다 89건 증가했고, '20년의 사람들은 사기(9.4%), 폭행(9.2%) 순으로 두려움을 많이 느낌

6. 사회통합, 주관적 웰빙
ㅇ (사회갈등 인식) '23년 사람들이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보수와 진보'(82.9%), '빈곤층과 중상층'(76.1%), '근로자와 고용주'(68.9%) 순임
 (사회적 관계) '23년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고 답한 비중은 '21년보다 증가했으나, '외롭다'라고 느낀 비중은 18.5%로 전년보다 감소함
ㅇ (주관적 웰빙) '23년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74.1%)과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68.4%)은 각각 전년보다 1.3%p, 4.2%p 감소함


 
[출처] 2023 한국의 사회지표 (2024.03.26.) / 통계청 보도자료

목차

목차

2023 한국의 사회지표 1

2023 한국의 사회지표 (요약) 6

Ⅰ. 인구, 가구ㆍ가족 9

1. 인구 변화 9

2. 가구 변화 10

3. 외국인 추이 11

4. 혼인 현황 12

5. 출산율과 출생아 수 13

Ⅱ. 건강, 생활환경 14

6. 기대수명 14

7. 조(粗)사망률 15

8. 유병률 16

9. 생활습관 17

10. 환경 상태 18

Ⅲ. 교육ㆍ훈련, 노동 19

11. 교육 기회 19

12. 학교 생활 20

13. 고용과 실업 21

14. 근로형태 및 여건 22

Ⅳ. 소득ㆍ소비ㆍ자산, 여가 23

15. 국민계정 및 물가 23

16. 가구소득 및 소득분배 24

17. 소비생활 25

18. 여가 활용 26

19. 여가 충족도 및 만족도 27

Ⅴ. 주거, 범죄ㆍ안전 28

20. 주택보급 28

21. 주거적절성 29

22. 주거지출 30

23. 범죄 현황 31

24. 사건ㆍ사고 현황 32

Ⅵ. 사회통합, 주관적 웰빙 33

25. 국가기관 신뢰도 33

26. 사회갈등 인식 34

27. 사회적 관계망 및 고립감 35

28. 사회참여 36

29. 주관적 웰빙 37

Ⅶ. 통계표 38

Ⅰ-1. 총인구 41

Ⅰ-2. 시도별 인구 42

Ⅰ-3. 성 및 연령별 인구 44

Ⅰ-4. 가구 수 45

Ⅰ-5. 평균 가구원 수 46

Ⅰ-6. 가구주 성 및 연령별 가구 구성 47

Ⅰ-7. 가구 유형별 노인가구 구성 48

Ⅰ-8. 맞벌이 가구 비중 49

Ⅰ-9. 출생아 수 50

Ⅰ-10. 합계출산율 51

Ⅰ-11. 시도별 장기체류외국인 수 52

Ⅰ-12. 성 및 연령별 등록외국인 수 54

Ⅰ-13. 시도별 등록외국인 수 56

Ⅰ-14. 초혼연령 58

Ⅰ-15. 이혼연령 60

Ⅰ-16. 재혼연령 62

Ⅰ-17. 조혼인율 64

Ⅰ-18. 조이혼율 65

Ⅱ-1. 기대수명 66

Ⅱ-2. 기대수명(국제비교) 67

Ⅱ-3. 사인별 사망률 68

Ⅱ-4. 조(粗)사망률 70

Ⅱ-5. 고혈압 유병률 71

Ⅱ-6. 당뇨병 유병률 72

Ⅱ-7. 비만율 73

Ⅱ-8. 악성신생물(암) 유병률 74

Ⅱ-9. 현재 흡연율 76

Ⅱ-10. 월간 음주율 77

Ⅱ-11. 미세먼지 농도 78

Ⅱ-12. 소음도 79

Ⅱ-13. 소음 만족도 80

Ⅲ-1. 취학률 81

Ⅲ-2. 사교육 참여율 82

Ⅲ-3. 교원 1인당 학생 수 83

Ⅲ-4. 학급당 학생 수 84

Ⅲ-5. 학교폭력 피해율 85

Ⅲ-6. 학교생활 만족도 86

Ⅲ-7. 고용률 87

Ⅲ-8. 실업률 88

Ⅲ-9.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구성 89

Ⅲ-10. 일자리 만족도 90

Ⅳ-1. 국내총생산(GDP) 91

Ⅳ-2. 경제성장률 92

Ⅳ-3. 1인당 국민총소득(GNI) 93

Ⅳ-4. 소비자물가 상승률 94

Ⅳ-5. 가구소득 95

Ⅳ-6. 지니계수 96

Ⅳ-7. 상대적 빈곤율 97

Ⅳ-8. 소비지출 비목별 구성비 98

Ⅳ-9. 소비생활 만족도 99

Ⅳ-10.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률 100

Ⅳ-11. 레저시설 이용률 101

Ⅳ-12. 여행자 비율 102

Ⅳ-13. 여가여건 충족도 103

Ⅳ-14. 여가생활 만족도 104

Ⅴ-1. 인구 1000명당 주택 수 105

Ⅴ-2. 주택보급률 106

Ⅴ-3. 최저 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 107

Ⅴ-4. 1인당 주거면적 108

Ⅴ-5.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 109

Ⅴ-6.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 110

Ⅴ-7. 범죄율 111

Ⅴ-8. 시도별 범죄율 112

Ⅴ-9. 범죄피해 두려움 114

Ⅴ-10. 도로교통사고 사망률 115

Ⅴ-11. 아동안전사고 사망률 116

Ⅵ-1. 기관 신뢰도 117

Ⅵ-2. 사회 갈등 인식 118

Ⅵ-3. 사회적 관계망 119

Ⅵ-4. 사회적 고립감 120

Ⅵ-5. 사회단체 참여율 121

Ⅵ-6. 자원봉사 참여율 122

Ⅵ-7. 기부 참여율 123

Ⅵ-8. 삶의 만족도 124

Ⅵ-9. 일의 가치 인식 125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사회지표 # 총인구 # 합계출산율 # 기대수명 # 실업률 # 근로여건 # 평균소득 # 주택가격 # 사회갈등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