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4 Global Diplomacy Index
(2024 글로벌 외교 지수)

□ 호주 로위연구소(Lowy Institute)는 25일 '2024년 글로벌 외교지수'를 발표함. 로위연구소 글로벌 외교지수는 각국이 전 세계에 보유하고 있는 외교 공관 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 이번 조사는 전세계 66개 국가를 대상으로 함

□ 중국이 지난해 기준 세계에서 가장 많은 274개의 해외 공관을 운영하며 1위를 차지함. 미국은 271개의 공관을 설치해 2위에 오름. 2019년 중국(276개)이 미국(273개)을 제치고 세계 최대 외교 네트워크 보유국이 된 이후 중국은 4년 연속 선두에 올라가 있음

□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한 나라는 전 세계에 252개 외교 공관을 두고 있는 튀르키예로 나타남. 일본(251개)과 프랑스(249개)가 그 뒤를 이었고, 러시아(230개)가 6위에 랭크됨. 한국의 해외 공관 수는 187개로 13위, 북한은 58위(43개)를 기록함

□ 최근 글로벌 외교의 새로운 경쟁지로 태평양 도서국이 떠오름. 2017년 이후에만 이 지역에 29개의 공관이 새로 생긴 것으로 집계됨. 로위연구소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태평양 도서 국가들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호주, 중국, 유럽, 미국 등이 새로운 공관을 개설했다”고 설명함

 
[출처] 
해외 공관 수, 4년 연속 중국이 세계 1위…2위는 미국 (2024.02.26.) / 한국경제
전 세계 외교 공관수 최다는 중국…글로벌 외교지수서 미국 앞서 1위 (2024.02.26.) / 경향신문
“북한, 지난해 재외공관 10곳 폐쇄…외교력도 급락” (2024.02.27.) / 동아일보

목차

Introduction

Rankings 5

Key findings 6

1. Superpowers neck and neck : China is ahead in Africa, East Asia, and the Pacific, while the United States has the edge in the Americas, Europe, and South Asia 6
2. The price of war : Russia's war in Ukraine has come at a heavy cost to its global diplomatic reach 8
3. Middle powers rising : T ü rkiye and India have rapidly expanded their diplomatic networks in a more multipolar world 10
4. Diplomatic backsliding : Taiwan has lost ground to China on formal recognition 12
5. Hosts with the most : European cities top the list of the busiest diplomatic capitals, Damascus saw the most embassy re - openings, and Kabul experienced the greatest 
number of closures 14
6. A rush to the Pacific : Geopolitical competition has driven a surge of new diplomatic missions in Pacific Islands countries 16
7. Asia in focus : Japan is a global diplomatic heavyweight, while Indonesia leads for its diplomatic network among Southeast Asian countries 18
8. Australia : Near the bottom of the G20 but leading the charge in the South Pacific 19

Methodology 21

About the authors 22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글로벌외교지수 # 해외공관 # 외교정책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