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Post-코로나19 시대, 뉴노멀을 향한 지역의 지속 가능한 전환 연구. 1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의 구성과 범위 18

제2장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 관련 논의 검토 20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1

2. 생태적 재지역화의 흐름과 전략 27

3.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의 성찰 35

제3장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에 관한 사회조사 45

1. 설문조사 수행체계와 문항의 구성 과정 45

2. 설문조사 결과분석 54

3. 지속가능한 전환 사례조사: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 82

제4장 결론: 종합적 논의와 향후 연구과제 110

1. 종합적 논의 110

2. 2차 연도 연구과제 115

참고문헌 116

[부록 Ⅰ]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의 성찰 관련 국내 주요 선행연구 목록 124

[부록 Ⅱ] 설문지(일반시민/활동가 조사) 126

Executive Summary 141

판권기 2

〈표 2-1〉 K-SDGs와 4개의 지역-SDGs 25

〈표 2-2〉 생태적 재지역화의 주요 흐름 27

〈표 2-3〉 자연환경에서 비롯된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위기의 주요 내용 37

〈표 2-4〉 코로나19 팬데믹의 사회불평등ㆍ양극화의 주요 내용 38

〈표 2-5〉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따른 정부 역할 강화의 주요 내용 39

〈표 2-6〉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인간중심 패러다임 전환의 주요 내용 41

〈표 2-7〉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생태적 관점의 사회경제적 전환의 주요 내용 42

〈표 2-8〉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지역공동체 연대의 주요 내용 44

〈표 3-1〉 설문조사의 일반적 사항 46

〈표 3-2〉 일반시민 대상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54

〈표 3-3〉 코로나19에 따른 지역사회 관련 인식 변화 설문결과(일반시민 응답) 62

〈표 3-4〉 현장 활동가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66

〈표 3-5〉 코로나19에 따른 지역사회 관련 인식 변화 설문결과(활동가 응답) 71

〈표 3-6〉 Q 진술문 선정 74

〈표 3-7〉 Q 요인분석 결과: 성분행렬 76

〈표 3-8〉 활동가 집단 1의 진술문 선호도(거버넌스 체계 강화 강조) 78

〈표 3-9〉 활동가 집단 2의 진술문 선호도(돌봄 강조) 79

〈표 3-10〉 활동가 집단 3의 진술문 선호도(회복탄력성 강조) 80

〈표 3-11〉 활동가 집단 4의 진술문 선호도(환경보전 강조) 81

〈표 3-12〉 활동가 집단 5의 진술문 선호도(생활환경 개선 강조) 82

〈표 3-13〉 관저동 전환마을 관련 심층면접 대상자 83

〈표 3-14〉 관저 공동체 연합 참여 공동체(2021년 기준) 86

〈표 3-15〉 재활용 품목별 마을화폐 '톨' 적립 액수 92

〈표 3-16〉 에너지자립마을 돌봄교실 프로그램 93

〈표 3-17〉 관저동 전환마을 리빙랩 진행 과정 94

〈표 3-18〉 관저동 전환마을 리빙랩 주요 학습내용 95

〈표 3-19〉 관저동 전환마을 의제 도출 과정 99

〈표 3-20〉 관저동 전환마을 정책워크숍 참여 그룹 100

〈표 3-21〉 관저동 전환마을 정책워크숍의 사업별 주요 아이디어 및 검토 내용 101

〈그림 1-1〉 코로나19의 성찰성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17

〈그림 1-2〉 1차 연도(2022년) 및 2차 연도(2023년) 연구과제의 연계성 18

〈그림 1-3〉 연구의 수행체계 19

〈그림 2-1〉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관련 논의 20

〈그림 2-2〉 지속가능발전의 모델들: 환경, 경제, 사회의 관계 21

〈그림 2-3〉 UN-SDGs의 17개 목표 22

〈그림 2-4〉 전 세계 전환마을 현황 31

〈그림 2-5〉 코로나19 팬데믹의 사회생태적 배경 36

〈그림 3-1〉 설문조사 수행 과정 47

〈그림 3-2〉 대전 지역 현장 활동가 워크숍(2022년 6월 10일) 48

〈그림 3-3〉 충남 지역 현장 활동가 워크숍(2022년 6월 28일) 48

〈그림 3-4〉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 참여주민 대상 사전 설문조사 워크숍(2022년 7월 20일) 49

〈그림 3-5〉 주민 대상 사전조사 중 Q 방법론 적용 결과 예시 49

〈그림 3-6〉 설문 문항의 구성 과정 50

〈그림 3-7〉 제2장의 논의와 파트 Ⅲ 설문 문항과의 관계 52

〈그림 3-8〉 설문조사 파트 Ⅲ 문항의 우선순위 설정 화면 53

〈그림 3-9〉 자연에 대한 도구적 가치 대 내재적 가치(좌),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보호 대 경제성장(우) 56

〈그림 3-10〉 성장주의 대 탈성장주의(좌), 행복과 소득의 관계(우) 56

〈그림 3-11〉 물질주의 대 탈물질주의 57

〈그림 3-12〉 코로나19 팬데믹의 근본 원인(일반시민 응답) 58

〈그림 3-13〉 코로나19 팬데믹 이전ㆍ이후 기후위기 우려 인식의 변화(일반시민 응답) 58

〈그림 3-14〉 코로나19 팬데믹과 유사한 대규모 재난 발생 가능성 인식(일반시민 응답) 59

〈그림 3-15〉 코로나19 팬데믹이 주는 교훈(일반시민 응답) 60

〈그림 3-16〉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피해 인식: 부문별 평균점수 비교(일반시민 응답) 60

〈그림 3-17〉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피해 인식: 부문별 점수 분포(일반시민 응답) 61

〈그림 3-18〉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지역사회 관련 인식 변화: 부문별 평균점수 비교(일반시민 응답) 63

〈그림 3-19〉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방향에 대한 동의 정도(일반시민 응답) 64

〈그림 3-20〉 성, 연령, 가치 성향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환 방향 선호도 비교 65

〈그림 3-21〉 코로나19 팬데믹의 근본 원인(활동가 응답) 67

〈그림 3-22〉 코로나19 팬데믹 이전ㆍ이후 기후위기 우려 인식의 변화(활동가 응답) 68

〈그림 3-23〉 코로나19 팬데믹과 유사한 대규모 재난 발생 가능성 인식(활동가 응답) 68

〈그림 3-24〉 코로나19 팬데믹이 주는 교훈(활동가 응답) 69

〈그림 3-25〉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피해 인식: 부문별 평균점수 비교(활동가 응답) 70

〈그림 3-26〉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피해 인식: 부문별 점수 분포(활동가 응답) 70

〈그림 3-27〉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지역사회 관련 인식 변화: 부문별 평균점수 비교(활동가 응답) 72

〈그림 3-28〉 Q 설문 모습 73

〈그림 3-29〉 Q 요인분석 결과: 구성요소 수 75

〈그림 3-30〉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의 지리적 위치 84

〈그림 3-31〉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의 인구 피라미드 84

〈그림 3-32〉 에너지자립마을 조직도 89

〈그림 3-33〉 관저동 넷제로공판장 공간의 모습 및 판매 물품 91

〈그림 3-34〉 관저동 전환마을 학습 및 사례지 탐방 모습 96

〈그림 3-35〉 관저동 현황 자료 및 사업발굴 자료 97

〈그림 3-36〉 관저동 전환마을 주민 의견 수렴 과정 98

〈그림 3-37〉 관저동 전환마을 이해관계자 참여형 정책워크숍 진행 모습 102

〈그림 3-38〉 '한밭페이' 기부 프로그램 및 '에너지자립마을' 내용 104

〈그림 3-39〉 관저동 전환마을 주요 주체 간 협력 관계 105

〈그림 4-1〉 다층적 관점의 모식도 111

〈그림 4-2〉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의 자원동원 영역 112

〈그림 4-3〉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방향의 우선순위(일반시민) 113

〈그림 4-4〉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방향의 집단 구분(현장 활동가) 114

〈부록 표 1-1〉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의 성찰 관련 국내 주요 선행연구 목록 124

해시태그

#지속가능한발전 # 지속가능전환 # 에너지전환 # 포스트코로나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