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3

□ 통계청은 국제노동기구(ILO)가 지정한 '세계안전의 날'(4월 28일)을 맞이하여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3」을 4월 25일 발간함. 보고서는 안전영역을 ▲위해‧환경요인, ▲취약요인, ▲대응역량, ▲피해(영향) 등 4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을 대표하는 총 60개 지표의 측정 결과와 추세 변화를 담고 있음

□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3」 주요 내용

➢ 자살률
ㅇ 자살률은 2013년 28.5명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OECD 평균의 2배 이상임 (2022년 자살률 25.2명 / OECD 평균 10.7명)
ㅇ 2022년 남자 자살률은 35.3명, 여자 자살률은 15.1명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3배 높음

➢ 미세먼지
ㅇ OECD가 위성관측 자료를 활용해 발표한 국가별 미세먼지 농도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 2020년 25.9㎍/㎥로 OECD 회원국 중 1위
ㅇ 2022년 미세먼지 농도는 18㎍/㎥로 전년과 동일함. 2020년부터 코로나19 확산으로 차량 이용이 감소하고 사업장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미세먼지 농도 개선

➢ 성폭력 범죄
ㅇ 2022년 성폭력 범죄 발생 건수는 4만1천433건으로 1년 전보다 25.9%(8천535건) 증가
ㅇ 성폭력 발생 건수는 2017년까지 대체로 늘다가 2018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21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

➢ 독거노인
ㅇ 혼자 사는 노인 비율은 지난해 21.1%로 1년 전보다 0.2%p 증가
ㅇ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추세가 맞물리면서 독거노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출처]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3』 발간 (2024.04.25.) / 통계청
자살률 낮아지고 미세먼지 줄었지만…OECD 회원국 중에선 최고 (2024.04.25.)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목차

PART 1. 개요 8

작성배경 및 목적 9

안전 프레임워크 및 안전지표 11

PART 2. 안전영역별 현황 14

제1장 위해ㆍ환경요인 15

범죄발생률 16

사이버범죄 발생건수 17

사이버 침해사고 경험률 18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19

화재건수 20

1인당 자동차 등록대수 21

온실가스 배출량 22

위험기상일수 23

미세먼지(PM2.5) 농도 24

대기 중 오존 오염도 25

1인당 일평균 생활계 폐기물 발생량 26

체내 환경유해물질(중금속) 노출 수준 27

야간보행 안전도 28

사회안전 인식도 29

제2장 취약요인 30

등록장애인 수 31

노령화지수 32

독거노인 비율 33

국내 체류 외국인 수 34

지니계수 35

실업률 36

범죄피해율 37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률 38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39

우울감 경험률 40

사회적 고립도 41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42

음주음전 경험률 43

월간 음주율 44

자해 및 자살 시도 건수 45

제3장 대응역량 46

경찰 1인당 주민 수 47

소방관 1인당 주민 수 48

구조 및 구급대원 1인당 주민 수 49

총 병원 병상 수 50

안전띠 착용률 51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 52

산재보험 적용 근로자 수 53

풍수해보험 가입건수 54

아동 안전교육 경험률 55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 56

제4장 피해(영향) 57

사고사 등에 의한 사망률(손상 사망률) 58

운수사고 사망률 59

낙상(추락) 사망률 60

익수사고 사망률 61

가해에 의한 사망률 62

중독 사망률 63

화재 사망률 64

자살률 65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율(손상 입원율) 66

낙상 입원율 67

운수사고 입원율 68

자연재난 인명피해 69

자연재난 피해액 70

사회재난 인명피해 71

사회재난 피해액 72

산업재해 사망률 73

산업재해율 74

보이스피싱 피해액 75

법정감염병 발생건수 76

식중독 발생건수 77

온열질환자 수 78

PART 3. 부록 79

1. OECD 국제비교 80

2. 안전지표 자료출처 87

3. 참고문헌 97

판권기 98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사회안전인식도 #안전지표 #범죄발생률 #자살률 #미세먼지 #독거노인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