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7월 2일 게재한 「기후변화가 국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국내 기온상승은 단기적으로 국내 인플레이션의 상방압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남
□ 기후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간접 경로'와 '직접 경로'로 구분할 수 있음. 이 가운데 한은은 국내 기후변화가 국내 농산물가격에 미치는 '직접 경로' 위주로 분석함
□ 실증 분석 결과 폭염 등 일시적으로 월 평균기온이 1℃ 오르면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최대 0.4~0.5%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은 6개월 가량 이어짐. 겨울철 한파 등 이상저온 현상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관찰됨. 이에 따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0.07%p 오른다고 분석됨
□ 보고서를 작성한 조병수 한은 조사국 물가연구팀 차장은 “농산물을 제외한 공업제품이나 서비스 등 다른 품목은 이상저온, 한파와 같은 일시적 기온하락 충격에 유의하게 반응하지 않았다”며 “농산물가격은 다른 품목에 비해 기온의 상승이나 하락에 상관없이 전반적인 기상 여건 변화에 따라 높은 변동성을 나타냈다”고 설명함
[출처] 한은 “기온 1℃ 오르면 1년후 농산물가격 2% 오른다” (2024.07.02.) / 머니투데이
□ 기후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간접 경로'와 '직접 경로'로 구분할 수 있음. 이 가운데 한은은 국내 기후변화가 국내 농산물가격에 미치는 '직접 경로' 위주로 분석함
□ 실증 분석 결과 폭염 등 일시적으로 월 평균기온이 1℃ 오르면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최대 0.4~0.5%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은 6개월 가량 이어짐. 겨울철 한파 등 이상저온 현상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관찰됨. 이에 따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0.07%p 오른다고 분석됨
□ 보고서를 작성한 조병수 한은 조사국 물가연구팀 차장은 “농산물을 제외한 공업제품이나 서비스 등 다른 품목은 이상저온, 한파와 같은 일시적 기온하락 충격에 유의하게 반응하지 않았다”며 “농산물가격은 다른 품목에 비해 기온의 상승이나 하락에 상관없이 전반적인 기상 여건 변화에 따라 높은 변동성을 나타냈다”고 설명함
[출처] 한은 “기온 1℃ 오르면 1년후 농산물가격 2% 오른다” (2024.07.02.) / 머니투데이
목차
표제지 1
목차 1
검토 배경 2
기후변화의 국내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 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11
[참고 1]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인플레이션 영향 추정 12
참고문헌 13
[그림 1] 기후변화에 따른 총수요와 총공급 변화 2
[그림 2] 기후변화의 국내 물가 파급경로 3
[그림 3] 월별 기온변화 추이 5
[그림 4] 기온상승 충격(+1℃)에 대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의 반응함수 5
[그림 5] 이상기온을 동반한 일시적 기온상승 충격(+1℃)에 대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의 반응함수 6
[그림 6] 각 상황별 일시적 기온변화 충격(±1℃)에 대한 농산물가격 상승률의 반응함수 7
[그림 7] 기온이 1년간 지속적으로 1℃ 상승하는 경우 물가수준의 반응함수 8
[그림 8] 기후변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장기영향 9
[그림 9] 국제 원자재 및 국내 식료품 가격변화 10
[그림 10] 국제 식량가격과 국내 가공식품 간 관계 10
참고표목차 12
[표 A1] 내생변수 설정 12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기후변화가 국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