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4년) 영국 조기 총선 결과와 향후 정책 방향

□ 2024년 7월 4일(현지 시간) 실시된 영국 조기 총선 결과, 노동당(Labour)은 하원 650석 중 412석을 확보하는 압승을 거두면서 단독 정부를 구성하였고 키어 스타머 총리가 취임함. - 제1야당이었던 노동당은 211석을 추가로 확보하여 총 412석의 의석을 차지하면서 2005년 총선 이후 처음으로 승리함. - 집권 정당이었던 보수당은 총 121석의 의석 확보로 보수당 역사상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함. - 자유민주당은 72석, SNP는 9석, 녹색당은 4석을 확보함. -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 큰 폭으로 약진했던 개혁당은 전국적으로 14%의 득표율을 얻으며 3위를 기록했지만 의석 수에서는 5석을 확보하는 데 그침. 

□ 이번 조기 총선에서 노동당은 단독 구성 정부 역사상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보수당과 SNP의 의석을 흡수하면서 과반의 의석 수 확보에 성공함. - 노동당의 중도정책 추진과 보수당을 비롯한 SNP의 실정이 맞물리면서 노동당은 보수당과 SNP로부터 대거 이탈한 의석을 추가 확보한 것으로 나타남. - 보수당 지지율 하락 현상에는 △ 경제 및 공공서비스 악화, △ 브렉시트 비용 발생, △ 지역균형발전(레벨링업) 실패, △ 이민정책 실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됨. - 한편 극우성향의 정당 지지도가 높았던 유럽의회 선거와 같이, 영국 또한 반이민 및 감세정책을 내세우고 있는 극우성향의 개혁당(Reform UK)이 전국 득표율 기준 3위 정당으로 급부상함.

□ 14년 만에 정권을 교체한 영국 노동당은 보수당의 주요 정책이었던 ‘르완다 난민이송정책’을 즉각 폐기하였으며, 앞으로 공공투자 확대에 따른 경제성장 동력 확보, 공공의료 개선, 친환경 정책 확대 추진, 대EU와의 협상 확대 등의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정부는 경제성장, 주택개발, 친환경에너지원 확보를 정책 우선순위로 제시하면서도 재정건전화를 위해 임기 동안 부채비율을 감축하는 구조조정도 진행할 것으로 보임. - 노동당은 단독 정부로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할 것으로 예상되나, 재원의 한계로 인해 지속적인 정책 추진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됨.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1. 2024년 영국 조기 총선의 결과 3

2. 조기 총선 배경과 선거 결과 평가 4

3. 신정부 주요 정책과 전망 8

표 1. 2024년 정당별 의석 수 및 전국 득표율 3

표 2. 영국 신임 내각 주요 장관 임명 현황 9

표 3. 노동당 정부의 주요 추진 정책 10

그림 1. 2019년 대비 2024년 지지정당별 의석 수 변화 3

그림 2.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영국 총리 변화 4

그림 3. 정당별 지지율 여론조사 5

그림 4. 영국 물가상승률 5

그림 5. 영국민의 '영국이 직면한 주요 문제' 응답 7

그림 6. 브렉시트에 대한 여론 변화 7

해시태그

#영국총선 # 노동당 # 보수당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4년) 영국 조기 총선 결과와 향후 정책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