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11
Ⅰ. 개요 36
1. 평가 배경 및 목적 36
2. 평가 범위 및 방법 38
Ⅱ. 사업 현황 40
1. 추진 경위 40
2. 사업 내용 43
가. 군인복지기본계획 43
나. 국방중기계획 52
3. 예ㆍ결산 현황 55
Ⅲ. 주요 쟁점 평가 62
1. 군 복무여건 개선 성과평가 62
가. 성과관리 현황 62
(1) 주요정책 성과관리 62
(2) 재정사업 성과관리 65
나. 평가 개요 및 관련 법률 67
다. 평가의견 69
(1) 간부들의 복무여건 개선 미흡 69
(2) 주요정책과 재정사업의 성과관리 연계 강화 필요 87
2. 군 복무여건 분야별 평가 90
2-1. 기본급식 평가 90
가. 사업 현황 90
나. 평가 개요 및 관련 법률 92
다. 평가 의견 95
(1) 군 기본급식비 수준 적정성 분석 95
(2) 영외자급식비 관련 규정 준수 필요 103
2-2. 피복분야 평가 110
가. 사업현황 110
나. 평가 개요 및 관련 법률 114
다. 평가의견 115
(1) 안전성과 쾌적성 등이 보장되도록 전투복 소재를 개선할 필요 115
(2) 한국 전장 환경에 적합한 전투피복체계 개선 추진 필요 120
2-3. 주거분야 평가(가족복지) 124
가. 사업현황 124
(1) 병사 숙소 현황 124
(2) 간부 주거 지원 현황 126
나. 평가 개요 및 관련 법률 132
다. 평가의견 134
(1) 관사 및 간부숙소에 대한 총사업비관리 적정성 분석 134
(2) 관사 및 간부숙소에 대한 주거지원 선택권 강화 필요(가족복지) 138
(3) 군부대 타운화 필요(가족복지) 146
2-4. 급여분야 평가 151
가. 사업현황 151
나. 평가 개요 및 관련 법률 153
다. 평가의견 155
(1) 장기적 관점에서 병사 봉급 수준을 책정할 필요 155
(2) 단기복무 초급간부에 대한 비재정적 지원방안 모색 필요 159
2-5. 정년분야 평가 166
가. 사업현황 166
나. 평가개요 및 법적근거 167
다. 평가의견 169
(1) 인구 및 현역자원 감소 추세 등을 고려한 병력 확보 대책 마련 필요 169
(2) 중장기적 정년 연장 고려 필요 174
(3) 공무원 직종별 정년 형평성 고려 필요 178
2-6. 복무분야 평가 182
가. 사업현황 182
나. 평가 개요 및 관련 법률 184
다. 평가의견 186
(1) 군인의 적정 초과근무시간 고려 필요 186
(2) 병사들의 외박ㆍ외출 확대 검토 필요 191
2-7. 의료분야 평가 193
가. 사업현황 193
나. 평가 개요 및 관련 법률 201
다. 평가의견 202
(1) 사고 예방 강화 필요 202
(2) 군병원의 전공의 과정 도입 검토 필요 208
Ⅳ.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10
[부록 1] 정부업무평가 개요 212
[부록 2] 간부에 대한 주거지원 방식별 연간 비용 비교 214
판권기 220
해시태그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군 복무여건 개선사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