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 한일(韓日) 사례를 중심으로

□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은 8월 7일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고, 직장 내 연공서열 제도가 세대 간 갈등의 핵심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함

□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및 고용서비스 현장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연공서열 기반 조직문화가 세대 갈등의 핵심 요소라고 지적하며, 세대 상생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존 연공서열이 아닌 직무 중심 인사체계가 자리잡을 필요가 있다고 제언함

□ 한국고용정보원은 이번 연구에서 고용 및 기업지원 서비스 전문가, 세대 상생 일자리 사례 실제 참여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도 진행함
 - 그 결과, 청년이 중장년 세대에 갖는 심리적 박탈감이 세대 협업에 큰 진입장벽인 것으로 나타남
 - 인터뷰 참여자들은 세대 간 소통 시에 세대를 보다 세분화하고, 소통하는 세대 집단은 점차 확대하는 '계단식 소통 확대' 방안에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됨

□ 보고서는 “청년과 중장년은 대체 관계가 아닌 보완 관계이며 두 세대 모두 일자리에서 애로를 겪는 취약계층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며 “청년과 중장년이 세대를 넘어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너지를 얻도록 열린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출처] '세대 갈등 핵심원인은 연공서열'…고용정보원 연구결과 발표 (2024.08.07.) / 뉴시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제2장 주요 이슈 및 선행연구 11
 제1절 청년-중장년 관련 주요 이슈 11
 제2절 청년-중장년 세대 일자리 관련 선행연구 16

제3장 일본의 청년-중장년 정책과 세대 상생 사례 21
 제1절 청년고용상황 21
 제2절 청년고용관련 정책 24
 제3절 일본 정부의 고연령자 고용 연장 추진 40
 제4절 중고령자와 청년의 협업사례 49
 제5절 중고령자와 청년을 둘러싼 고용 이슈 55
 제6절 소결 70

제4장 국내 청년-중장년 세대 상생 사례 83
 제1절 조사 개요 83
 제2절 세대 상생 일자리 관련 정책 사업 85
 제3절 세대 상생 일자리 관련 사례 97
 제4절 소결 133

제5장 세대 상생 방안 조사 결과 135
 제1절 조사 개요 135
 제2절 고용 및 기업지원 서비스 전문가 FGI 137
 제3절 청년 및 중장년 FGI 149
 제4절 소결 161

제6장 결론 및 제언 165
 제1절 결론 165
 제2절 제언 169

참고문헌 172

[부록 1] 사례조사 질문지 179
[부록 2] FGI 질문지 186

해시태그

#청년일자리 # 세대갈등 # 세대상생 # 청년고용 # 세대고용 # 고용연장제도 # 고용격차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 한일(韓日)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