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는 여러 분석을 통해 부모의 경제력 차이가 입시경쟁의 결과에 차이를 만든다고 밝힘
- 한국교육종단연구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2010년 고등학교 3학년생 중 소득 최상위층의 상위권대 진학률은 최하위층의 5.4배에 달함
- 자녀의 잠재력을 제외한 경제력이나 지역 등이 진학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도 한 결과 진학률의 격차는 부모 경제력 효과로밖에 설명할 수 없다는 결론을 발표함
□ 한국은행은 입시 관련 소득·지역 쏠림 또는 불평등 문제가 수도권 인구 집중, 서울 주택 가격 상승 유발, 저출산,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등 한국 사회 내 고질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며, 해결책으로 '지역별 비례 선발제'를 제안함
- 지역별 비례 선발제는 대학이 자발적으로 입학 정원의 대부분을 지역별 학령인구 비율을 반영해 선발하되, 선발 기준과 전형 방법 등은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임
- 2018년도 서울대 입시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지역 합격자 비율을 해당 지역 고등학교 3학년생 비율의 '0.7배 이상 1.3배 이하'가 되도록 조정해보니, 각 지역의 실제 서울대 진학률과 잠재력 기준 진학률 간 격차는 평균 0.14%p에서 0.05%p로 64%나 줄었다고 밝힘
[출처] “상위권대 진학률, 경제력·거주지가 좌우…지역비례선발 필요” (2024.08.27.)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1
목차 1
1. 검토 배경 3
2. 대학입시와 관련된 우리 사회의 문제 4
3. 지역별 비례선발제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18
4. 맺음말 30
[참고 1] 지역별 잠재력 기준 서울대 진학률 추정방법 32
[참고 2] 게임모형을 활용한 「지역별 비례선발제 의 입시경쟁 분산효과」 분석 34
참고문헌 35
[표 3.1] 대입제도의 주요 변천과정 19
[표 3.2] 대학 내 다양성의 교육적 이점 26
[그림 1.1] 사교육비 총액 및 사교육 참여율 3
[그림 1.2] 2023년 사교육비 월 100만원 이상 지출 고교생 비중 3
[그림 1.3] 2024년 서울대 신입생의 지역별 비중 3
[그림 1.4] 출산율 및 수도권 인구비중 4
[그림 1.5] 만 10∼19세의 자살률 4
[그림 1.6] 서울대 재수생 비중 4
[그림 2.1] 사교육 참여 고교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5
[그림 2.2] 2023년 소득수준별ㆍ거주지역별 사교육 참여 고교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5
[그림 2.3] 2010년 고3 학생의 소득수준별 상위권대 진학률 6
[그림 2.4] 2018년 일반고 졸업생 중 서울대 진학생의 지역별 분포 6
[그림 2.5] 소득계층별ㆍ거주지역별 소득수준과 상위권대 진학률 간 관계 7
[그림 2.6] 2010년 고3 학생의 소득계층별 학생 잠재력과 상위권대 진학률 8
[그림 2.7] 2018년 지역별 일반고의 서울대 진학률: 실제 진학률과 학생 잠재력 기준 추정치 간 비교 10
[그림 2.8] 2018년 서울 자치구별 일반고의 서울대 진학률: 실제 진학률과 학생 잠재력 기준 추정치 간 비교 11
[그림 2.9] 2018년 전국 시군구별 소득수준과 잠재력 초과 서울대 진학률 간의 관계 11
[그림 2.10] 2023년 지역별 중학생의 특목고ㆍ자사고 진학률: 실제 진학률과 학생 잠재력 기준 추정치 간 비교 12
[그림 2.11] 2010년 고3 학생의 진학대학별 2020년 노동시장 성과: 수능점수가 비슷한 학생 간 비교 13
[그림 2.12] 자녀세대의 「계층이동 가능성 높다」 응답비중 13
[그림 2.13] 2024년 주요 상위권대 신입생의 지역별 분포 14
[그림 2.14] 지역별 고3 학생 중 서울대 진학생 비중 14
[그림 2.15] 저출산 및 만혼 원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4
[그림 2.16] 교육열로 인한 사교육비ㆍ저출산 추가 증가폭 14
[그림 2.17] 초중생의 교육목적 서울 전입률 15
[그림 2.18] 서울의 아파트 상대가격 15
[그림 2.19] 시도별 도시인구밀도와 출산율 간 관계 16
[그림 2.20] 시도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와 출산율 간 관계 16
[그림 2.21] 청소년의 방과 후 학습시간과 서울 유아영어학원수 16
[그림 2.22] OECD 회원국 청소년의 행복도와 자살률 16
[그림 2.23] 2020년 고3 학생의 학년별 창의성ㆍ협동심 및 2019년 교육과정별 학습시간 17
[그림 2.24] 대졸자의 직업ㆍ전공 불일치 비중 및 2023년 대졸자 역량에 대한 기업의 평가 17
[그림 3.1] 대입제도 개편과 주요 입시관련 사회문제 간 관계 20
[그림 3.2] 「지역별 비례선발제」의 시도 단위 적용에 따른 2018년 지역별 서울대 진학률 23
[그림 3.3] 지역별 선발인원 상하한 적용방식에 따른 2018년 지역별 서울대 진학률 추정 24
[그림 3.4] 서울대 19학번의 지역별ㆍ전형별 학기성적 변화 25
[그림 3.5] 서울대 사회과학대 및 공과대 19학번의 전형별 학기성적 변화 25
[그림 3.6] 서울-비서울 상위권대 진학률 격차로 인한 우리 사회의 악순환 27
[그림 3.7] 2022년 주요 미국 대학의 출신지역별 신입생 분포 29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입시경쟁 과열로 인한 사회문제와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