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유연근무제의 노동시장 이행 효과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7

제1장 연구목적 및 배경 11

제2장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13

제1절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개관 13

제2절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현황 15

1. 유연근무제 운영 및 활용 현황 19

2. 유연근무제의 유지 및 도입 현황 25

제3절 팬데믹 대응책으로 도입된 유연근무제 전망 27

제4절 소결 34

제3장 해외의 유연근무제 37

제1절 미국의 유연근무제 37

1. 미국의 팬데믹 전후 유연근무제 현황 37

2. 미국의 유연근무제 관련 법령 40

3. 미국의 팬데믹 종식 후 유연근무제 전망 42

제2절 유럽의 유연근무제 44

1. 영국의 유연근무제 현황과 전망 45

2. 프랑스의 유연근무제 현황과 전망 47

3. 독일의 유연근무제 현황과 전망 49

제3절 일본의 유연근무제 50

1. 일본의 팬데믹 전후 유연근무제 현황 50

2. 일본의 팬데믹 종식 후 유연근무제 전망 52

제4절 소결 53

제4장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55

제1절 서론 55

제2절 분석 모형 56

제3절 분석 자료 58

제4절 분석결과 65

1. 주요 분석결과 66

2. 추가 분석결과 71

제5절 소결 82

제5장 요약 및 결론 84

참고문헌 87

판권기 91

〈표 2-1〉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14

〈표 2-2〉 사업체패널 표본 특성 17

〈표 2-3〉 사업장 특성별 집중시간근무제 운영률 21

〈표 2-4〉 사업장 특성별 재량근무제 운영률 23

〈표 2-5〉 사업장 특성별 재택 및 원격근무제 운영률 24

〈표 2-6〉 팬데믹 대응책으로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사업장의 특성 30

〈표 2-7〉 유연근무제 유지 의사별 사업장 특성 분포 32

〈표 2-8〉 유연근무제 도입 여부에 따른 인력 조정 규모 33

〈표 3-1〉 영국의 유연근무제 45

〈표 4-1〉 KLIPS 표본 특성 60

〈표 4-2〉 취업자의 일자리 특성 비교 61

〈표 4-3〉 유연근무제 도입 및 사용 통계 64

〈표 4-4〉 종속변수 65

〈표 4-5〉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취업유지에 미친 영향 : SDID 추정결과 66

〈표 4-6〉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취업유지율에 미친 영향 68

〈표 4-7〉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69

〈표 4-8〉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 성별 분석 70

〈표 4-9〉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 강건성 평가 73

〈표 4-10〉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 팬데믹 직전 일자리 특성 통제 75

〈표 4-11〉 유연근무제 사용이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78

〈표 4-12〉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 팬데믹 기간 15세 미만 가구원이 있었던 경우 79

〈표 4-13〉 유연근무제가 사업장의 근로자 수 증감에 미친 영향 81

[그림 2-1] 유연근무제 운영 사업장 비율 20

[그림 2-2] 유연근무제 활용 사업장 비율 20

[그림 2-3] 유연근무제 유지율 26

[그림 2-4] 유연근무제 도입률 26

[그림 2-5] 팬데믹 대응책으로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사업장 비율 28

[그림 2-6] 팬데믹 대응책으로 도입된 유연근무제 28

[그림 2-7] 유연근무제를 유지할 의사가 있는 사업장 비율 29

[그림 2-8] 유연근무제 도입 여부별 인력 감축 사업장 비율 33

[그림 4-1] 유연근무제가 팬데믹 기간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영향 : 동학 분석, SDID 67

해시태그

#유연근무제 # 재택근무 # 팬데믹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유연근무제의 노동시장 이행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