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장래가구추계 : 2022~2052년

□ 총가구는 2022년 2,166만 가구이며, 2041년 2,437만 가구를 정점으로 감소
 ㅇ (총가구) 2022년 총가구는 2,166만 4천 가구에서 2041년 2,437만 2천 가구까지 증가한 후 감소, 2052년에는 2,327만 7천 가구에 이를 전망
 ㅇ (가구증가율) 2022년 총가구는 전년에 비해 1.84% 증가하나, 가구증가율은 점차 감소하여 2042년부터는 마이너스로 전환, 2052년에는 -0.73% 수준으로 예상
 ㅇ (평균 가구원수) 2022년 평균 가구원수는 2.26명에서 점차 감소하여 2052년 1.81명까지 감소할 전망

□ 2052년까지 1인가구 및 부부가구는 증가, 부부+자녀가구는 감소
 ㅇ (가구유형) 2022년 가구유형은 1인가구(34.1%), 부부+자녀가구(27.3%), 부부가구(17.3%) 등의 순으로 많았으나, 2052년에는 1인가구(41.3%), 부부가구(22.8%), 부부+자녀가구(17.4%) 순으로 변화할 전망
 ㅇ (가구원수) 2022년 가구원수별 가구 비중은 1인가구(34.1%), 2인가구(28.6%), 3인가구(19.3%), 4인가구(14.1%) 순이며, 2052년에는 1인가구(41.3%), 2인가구(35.5%)는 증가하는 반면, 4인가구(6.7%)는 감소할 전망

□ 1인가구는 2022년 739만 가구에서 2052년 962만 가구로 증가
 ㅇ (가구 비중) 2022년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은 34.1%(738만 9천 가구)에서 2052년 41.3%(962만 가구)로 7.2%p(223만 1천 가구) 증가할 전망
 ㅇ (가구주 연령) 2022년 1인가구 중 30대이하의 비중이 36.6%(270만 7천 가구)로 가장 높으나, 2052년에는 70대이상이 42.2%(406만 3천 가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

□ 2052년까지 고령 가구주 2.3배, 여자 가구주 1.3배 증가
 ㅇ (고령자 가구) 가구주가 65세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 5천 가구(24.1%)에서 2052년 1,178만 8천 가구(50.6%)로 2.3배 증가할 전망
 ㅇ (여자 가구주) 2022년 여자 가구주는 735만 1천 가구(33.9%)이었으나, 2052년에는 965만 7천 가구(41.5%)로 2022년의 1.3배 증가
 ㅇ (가구주 연령) 2022년 40~50대 가구주가 전체의 41.8%로 가장 많았으나, 2052년에는 70대이상이 41.5%로 가장 많아질 전망

 
[출처]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 (2024.09.12.) / 통계청 보도자료 

목차

목차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 1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 결과(요약) 5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 결과 7

1. 총가구와 가구증가율 7

2. 가구유형 8

1) 총괄 8

2) 1인가구 9

3) 부부가구 11

4) 부부+자녀가구 12

5) 부(모)+자녀가구 13

3. 가구주 특성 14

1) 가구주의 성ㆍ연령 14

2) 고령자 가구 16

3) 가구주의 성ㆍ혼인상태 17

4. 가구원수 18

1) 총괄 18

2) 2인가구 19

3) 3인가구 20

4) 4인가구 21

장래가구추계 작성방법 22

1. 가구주율법 22

2. 기준가구 및 소급가구 작성 22

3. 대상인구 작성 23

4. 혼인상태별 인구 추계 24

5. 가구주율 추계 27

6.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별 추계 29

7. 신ㆍ구 추계의 비교 31

[통계표] 32

1. 가구주의 성ㆍ연령별 가구, 2022-2052 33

2. 가구유형별 가구, 2022-2052 36

3. 가구원수별 가구, 2022-2052 37

4. 가구원수 및 가구유형별 가구, 2022-2052 38

5. 가구주의 성ㆍ혼인상태별 가구, 2022-2052 39

6. 가구유형별 고령자 가구, 2022-2052 40

[부록 1] 장래가구추계 작성개요 41

[부록 2] 국제비교 43

[표 1] 가구, 가구증가율 및 평균 가구원수, 2000-2052 7

[표 2] 주요 가구유형별 가구, 2022-2052 8

[표 3] 성ㆍ연령별 1인가구, 2022-2052 10

[표 4] 가구주의 연령별 부부가구, 2022-2052 11

[표 5] 가구주의 연령별 부부+자녀가구, 2022-2052 12

[표 6] 가구주의 연령별 부(모)+자녀가구, 2022-2052 13

[표 7] 가구주의 성ㆍ연령별 가구 및 구성비, 2022-2052 15

[표 8] 고령자 가구 가구유형, 2022-2052 16

[표 9] 가구주의 성ㆍ혼인상태별 가구 및 구성비, 2022-2052 17

[표 10] 가구원수별 가구, 2022-2052 18

[표 11] 가구주의 연령별 2인가구, 2022-2052 19

[표 12] 가구주의 연령별 3인가구, 2022-2052 20

[표 13] 가구주의 연령별 4인가구, 2022-2052 21

[표 14] 가구추계 기준가구 및 소급가구 23

[표 15] 가구추계 대상인구, 2022-2052 24

[표 16] 혼인상태별 대상인구(15세 이상) 구성비, 2022-2052 26

[표 17] 연령 및 성별 가구주율, 2005-2022 27

[표 18] 성 및 연령별 가구주율, 2022-2052 28

[표 19] 가구유형별 가구 및 구성비 추이, 2005-2022 29

[표 20] 가구원수별 가구 및 구성비, 평균 가구원수 추이, 2005-2022 30

[그림 1] 총가구 및 가구증가율, 2000-2052 7

[그림 2] 주요 가구유형별 구성비 추이, 2022-2052 8

[그림 3] 1인가구연령별규모, 2022-2052 9

[그림 4] 1인가구연령별구성비, 2022-2052 9

[그림 5] 부부가구연령별규모, 2022-2052 11

[그림 6] 부부가구연령별구성비, 2022-2052 11

[그림 7] 부부+자녀가구연령별규모, 2022-2052 12

[그림 8] 부부+자녀가구연령별구성비, 2022-2052 12

[그림 9] 부(모)+자녀가구연령별규모, 2022-2052 13

[그림 10] 부(모)+자녀가구연령별구성비, 2022-2052 13

[그림 11] 성ㆍ연령별 가구주 변화, 2022, 2052 14

[그림 12] 65세이상가구유형별가구규모, 2022-2052 16

[그림 13] 65세이상가구유형별구성비변화, 2022, 2052 16

[그림 14] 남자가구주혼인상태별구성비추이, 2022-2052 17

[그림 15] 여자가구주혼인상태별구성비추이, 2022-2052 17

[그림 16] 가구원수별 가구 구성비 추이, 2022-2052 18

[그림 17] 2인가구 유형별 추이, 2022-2052 19

[그림 18] 2인가구 연령별 규모, 2022-2052 19

[그림 19] 3인가구 유형별 추이, 2022-2052 20

[그림 20] 3인가구 연령별 규모, 2022-2052 20

[그림 21] 4인가구 유형별 추이, 2022-2052 21

[그림 22] 4인가구 연령별 규모, 2022-2052 21

[그림 23]/[그림 26] 장래가구추계 작성과정 22

[그림 24]/[그림 27] 가구추계 대상인구 및 제외인구, 2022-2052 23

[그림 25]/[그림 28] 성ㆍ혼인상태별 인구 구성비 추이, 2005-2022 24

[그림 26]/[그림 29] 성ㆍ연령별 가구주율 추이, 2005-2022 27

[그림 27]/[그림 30] 성ㆍ연령별 1인가구 추이, 2005-2022 30

[그림 1]/[그림 23] 국가별 가구 증가율, 2022-2052 43

[그림 2]/[그림 24] 국가별 1인가구 구성비 43

[그림 3]/[그림 25] 국가별 65세이상 가구 구성비 43

해시태그

#장래가구추계 # 총가구 # 가구증가율 # 가구원수 # 가구유형 # 가구주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장래가구추계 : 2022~205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