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주요 결과
□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현황
ㅇ (배우자 현황) ’22년 청년25~39세 중 배우자가 있는(유배우자) 비중은 33.7%로 전년보다 2.4%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25∼39세 청년 중, 유배우자의 등록취업자 비중(73.9%)은 무배우자(72.8%)에 비해 높음
ㅇ (소득) 25∼39세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배우자(4,056만원)가 무배우자(3,220만원)보다 높음
ㅇ (주택소유) 유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31.7%)은 무배우자(10.2%)에 비해 높음
ㅇ (거처유형) 유배우자의 아파트 거주 비중(76.7%)은 무배우자(47.6%)보다 높고, 단독주택 거주 비중은 무배우자(27.1%)가 유배우자(10.0%)보다 높음
□ 25∼39세 유배우자 청년의 『자녀 유무』별 현황
ㅇ (자녀 현황) ‘22년 유배우자 청년25~39세 중 ‘자녀있음(유자녀)’ 비중은 74.7%로 전년에 비해 0.9%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유배우자 청년 중, 유자녀의 등록취업자 비중(72.1%)이 무자녀(79.1%)에 비해 낮음
ㅇ (소득) 유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자녀(4,098만원)가 무자녀(3,982만원)보다 높음
ㅇ (주택소유) 유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은 유자녀(34.4%)가 무자녀(23.8%)에 비해 높음
ㅇ (거처유형) 유배우자 청년 중, 유자녀의 아파트 거주 비중(79.4%)은 무자녀(68.6%)보다 높으며, 단독 및 연립·다세대주택 거주
비중은 무자녀가 유자녀보다 높음
□ 25∼39세 무배우자 청년의 『부모동거 여부』별 현황
ㅇ (부모동거 현황) ‘22년 무배우자 청년25~39세 중 ‘부모동거’ 비중은 50.6%로 전년에 비해 1.3%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무배우자 청년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부모동거(68.5%)가 비동거(77.2%)보다 낮음
ㅇ (소득) 무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부모동거(2,932만원)가 비동거(3,553만원)보다 낮음
ㅇ (주택소유) 무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은 부모동거(6.5%)가 비동거(14.1%)보다 낮음
ㅇ (거처유형) 무배우자 청년 중, 부모동거의 아파트 거주 비중(61.1%)은 비동거(33.3%)보다 높고, 단독주택 거주 비중은 부모동거(21.2%)가 비동거(33.3%)보다 낮음
[출처]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2024.09.10.) / 통계청 보도자료
□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현황
ㅇ (배우자 현황) ’22년 청년25~39세 중 배우자가 있는(유배우자) 비중은 33.7%로 전년보다 2.4%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25∼39세 청년 중, 유배우자의 등록취업자 비중(73.9%)은 무배우자(72.8%)에 비해 높음
ㅇ (소득) 25∼39세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배우자(4,056만원)가 무배우자(3,220만원)보다 높음
ㅇ (주택소유) 유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31.7%)은 무배우자(10.2%)에 비해 높음
ㅇ (거처유형) 유배우자의 아파트 거주 비중(76.7%)은 무배우자(47.6%)보다 높고, 단독주택 거주 비중은 무배우자(27.1%)가 유배우자(10.0%)보다 높음
□ 25∼39세 유배우자 청년의 『자녀 유무』별 현황
ㅇ (자녀 현황) ‘22년 유배우자 청년25~39세 중 ‘자녀있음(유자녀)’ 비중은 74.7%로 전년에 비해 0.9%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유배우자 청년 중, 유자녀의 등록취업자 비중(72.1%)이 무자녀(79.1%)에 비해 낮음
ㅇ (소득) 유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자녀(4,098만원)가 무자녀(3,982만원)보다 높음
ㅇ (주택소유) 유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은 유자녀(34.4%)가 무자녀(23.8%)에 비해 높음
ㅇ (거처유형) 유배우자 청년 중, 유자녀의 아파트 거주 비중(79.4%)은 무자녀(68.6%)보다 높으며, 단독 및 연립·다세대주택 거주
비중은 무자녀가 유자녀보다 높음
□ 25∼39세 무배우자 청년의 『부모동거 여부』별 현황
ㅇ (부모동거 현황) ‘22년 무배우자 청년25~39세 중 ‘부모동거’ 비중은 50.6%로 전년에 비해 1.3%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무배우자 청년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부모동거(68.5%)가 비동거(77.2%)보다 낮음
ㅇ (소득) 무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부모동거(2,932만원)가 비동거(3,553만원)보다 낮음
ㅇ (주택소유) 무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은 부모동거(6.5%)가 비동거(14.1%)보다 낮음
ㅇ (거처유형) 무배우자 청년 중, 부모동거의 아파트 거주 비중(61.1%)은 비동거(33.3%)보다 높고, 단독주택 거주 비중은 부모동거(21.2%)가 비동거(33.3%)보다 낮음
[출처]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2024.09.10.) / 통계청 보도자료
목차
□ 2022년 『배우자 유무별 청년 특성』(요약) 1
□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특성 분석』결과
배우자 유무별 현황
Ⅰ.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현황
1-1. 배우자 유무별 인구 5
1-2. 배우자 유무별 등록취업자 7
1-3. 배우자 유무별 소득 11
1-4. 배우자 유무별 주택소유 12
1-5. 배우자 유무별 거처유형 14
자녀 유무별 현황 (유배우자)
Ⅱ. 유배우자 청년의 자녀 유무별 현황
2-1. 자녀 유무별 인구 16
2-2. 자녀 유무별 등록취업자 18
2-3. 자녀 유무별 소득 20
2-4. 자녀 유무별 주택소유 21
2-5. 자녀 유무별 거처유형 23
Ⅲ. 무배우자 청년의 부모동거 여부별 현황
3-1. 부모동거 여부별 인구 25
3-2. 부모동거 여부별 등록취업자 27
3-3. 부모동거 여부별 소득 29
3-4. 부모동거 여부별 주택소유 30
3-5. 부모동거 여부별 거처유형 32
□ 통계표 34
□ 부록
1.『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특성 분석』 작성 개요 72
2. 주요 용어설명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