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행정자료로 살펴본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주요 결과 
□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현황
 ㅇ (배우자 현황) ’22년 청년25~39세 중 배우자가 있는(유배우자) 비중은 33.7%로 전년보다 2.4%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25∼39세 청년 중, 유배우자의 등록취업자 비중(73.9%)은 무배우자(72.8%)에 비해 높음
 ㅇ (소득) 25∼39세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배우자(4,056만원)가 무배우자(3,220만원)보다 높음
 ㅇ (주택소유) 유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31.7%)은 무배우자(10.2%)에 비해 높음
 ㅇ (거처유형) 유배우자의 아파트 거주 비중(76.7%)은 무배우자(47.6%)보다 높고, 단독주택 거주 비중은 무배우자(27.1%)가 유배우자(10.0%)보다 높음

□ 25∼39세 유배우자 청년의 『자녀 유무』별 현황
 ㅇ (자녀 현황) ‘22년 유배우자 청년25~39세 중 ‘자녀있음(유자녀)’ 비중은 74.7%로 전년에 비해 0.9%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유배우자 청년 중, 유자녀의 등록취업자 비중(72.1%)이 무자녀(79.1%)에 비해 낮음
 ㅇ (소득) 유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자녀(4,098만원)가 무자녀(3,982만원)보다 높음
 ㅇ (주택소유) 유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은 유자녀(34.4%)가 무자녀(23.8%)에 비해 높음
 ㅇ (거처유형) 유배우자 청년 중, 유자녀의 아파트 거주 비중(79.4%)은  무자녀(68.6%)보다 높으며, 단독 및 연립·다세대주택 거주 
비중은 무자녀가 유자녀보다 높음

□ 25∼39세 무배우자 청년의 『부모동거 여부』별 현황
 ㅇ (부모동거 현황) ‘22년 무배우자 청년25~39세 중 ‘부모동거’ 비중은 50.6%로 전년에 비해 1.3%p 낮아짐
 ㅇ (등록취업자) 무배우자 청년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부모동거(68.5%)가 비동거(77.2%)보다 낮음
 ㅇ (소득) 무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부모동거(2,932만원)가 비동거(3,553만원)보다 낮음
 ㅇ (주택소유) 무배우자 청년의 주택소유 비중은 부모동거(6.5%)가 비동거(14.1%)보다 낮음
 ㅇ (거처유형) 무배우자 청년 중, 부모동거의 아파트 거주 비중(61.1%)은 비동거(33.3%)보다 높고, 단독주택 거주 비중은 부모동거(21.2%)가 비동거(33.3%)보다 낮음

 
[출처]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2024.09.10.) / 통계청 보도자료 

목차

목차

행정자료로 살펴본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ㆍ경제적 특성 분석』 1

2022년 배우자 유무별 청년 특성(요약) 8

Ⅰ.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현황 12

1-1. 배우자 유무별 인구 12

1-2. 배우자 유무별 등록취업자 14

1-3. 배우자 유무별 소득 18

1-4. 배우자 유무별 주택소유 19

1-5. 배우자 유무별 거처유형 21

Ⅱ. 유배우자 청년의 자녀 유무별 현황 23

2-1. 자녀 유무별 인구 23

2-2. 자녀 유무별 등록취업자 25

2-3. 자녀 유무별 소득 27

2-4. 자녀 유무별 주택소유 28

2-5. 자녀 유무별 거처유형 30

Ⅲ. 무배우자 청년의 부모동거 여부별 현황 32

3-1. 부모동거 여부별 인구 32

3-2. 부모동거 여부별 등록취업자 34

3-3. 부모동거 여부별 소득 36

3-4. 부모동거 여부별 주택소유 37

3-5. 부모동거 여부별 거처유형 39

[통계표] 41

배우자 유무별 현황 43

1-1. 배우자 유무별 인구 43

1-2. 지역별 배우자 유무별 인구 44

1-3. 지역별 연령별 배우자 유무별 인구(2022) 45

1-4. 배우자 유무별 등록취업자 46

1-5. 배우자 유무별 지역별 등록취업자(2022) 47

1-6. 배우자 유무별 소득 48

1-7. 배우자 유무별 주택소유자 현황 49

1-8. 배우자 유무별 주택소유자의 주택자산가액별 현황(2022) 50

1-9. 배우자 유무별 거처유형 51

1-10-① (유배우자) 연령별 성별 거처유형(2022) 52

1-10-② (무배우자) 연령별 성별 거처유형(2022) 53

1-11. 배우자 유무별 공동주택의 주거면적별 현황(2022) 54

자녀 유무별 현황(유배우자) 55

2-1. 자녀 유무별 인구 55

2-2. 지역별 자녀 유무별 인구 56

2-3. 자녀수별 인구(2022) 57

2-4. 자녀 유무별 등록취업자 58

2-5. 자녀 유무별 소득 59

2-6. 자녀 유무별 주택소유자 현황 60

2-7. 자녀 유무별 주택소유자의 주택자산가액별 현황(2022) 61

2-8. 자녀 유무별 거처유형 62

2-9-① (유자녀) 연령별 성별 거처유형(2022) 63

2-9-② (무자녀) 연령별 성별 거처유형(2022) 64

2-10. 자녀 유무별 공동주택의 주거면적별 현황(2022) 65

부모동거 여부별 현황(무배우자) 66

3-1. 부모동거 여부별 인구 66

3-2. 지역별 부모동거 여부별 인구 67

3-3. 부모동거 여부별 등록취업자 68

3-4. 부모동거 여부별 소득 69

3-5. 부모동거 여부별 주택소유자 현황 70

3-6. 부모동거 여부별 주택소유자의 주택자산가액별 현황(2022) 71

3-7. 부모동거 여부별 거처유형 72

3-8-① (부모동거) 연령별 성별 거처유형(2022) 73

3-8-② (부모비동거) 연령별 성별 거처유형(2022) 74

3-9. 부모동거 여부별 공동주택의 주거면적별 현황(2022) 75

[부록 1]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특성 분석』 작성 개요 77

[부록 2] 주요 용어설명 78

해시태그

#청년지표 # 청년통계 # 유배우자 # 유자녀 # 부모동거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행정자료로 살펴본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