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대학 융합교육 지원 정책 분석 및 개선 방향

4차산업혁명 시대 ‘초연결’의 패러다임은 기술뿐만 아니라 산업, 경제, 사회 변화의 흐름이 되면서, 우리의 삶과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본 브리프는 대학의 융합교육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에서의 융합교육 활성화 지원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의 선행 학술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 만족도, 효과성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보고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대학 융합교육 지원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

01. 서론 4

02. 융합교육의 특징과 접근방식 5

1. 융합역량과 융합교육의 특징 5

2. 융합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 6

03. 대학 융합교육 활성화 정책 7

1. 학사구조 유연화 정책 7

2. 융합교육을 강조한 대학재정지원 사업 11

04. 대학 융합교육에 관한 요구, 만족도 및 효과성: 선행연구 사례 14

1. 융합교육에 대한 학생 및 교수의 요구 14

2. 융합교육에 대한 학생 만족도 15

3. 융합교육 효과성 15

05. 결론: 정책시사점 20

참고문헌 23

판권기 2

표 1. 융합교양교육 활성화에 영향을 끼친 대학재정지원사업 사례 11

표 2.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융합역량 학습성과 루브릭 개발 사례: 김은경, 한윤영(2019)의 연구 18

표 3. 대학 융합교육 운영의 한계요인 및 효과성 향상을 위한 시사점: 조원겸(2022)의 연구결과 19

해시태그

#대학융합교육 # 국가미래전략Insight # 초연결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대학 융합교육 지원 정책 분석 및 개선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