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20억 명 이상이 안전한 식수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세계 인구의 44%에 해당하는 약 36억 명은 안전한 위생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음
- 또한 매일 어린이 1천 명이 안전한 물을 접하지 못해 목숨을 잃고 있으며, 2030년 담수 수요는 공급을 40%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
- 이와 같은 위기가 날로 악화되고 대응조치가 없다면, 2050년까지 물 문제로 고소득 국가의 국내총생산은 평균 8%, 저소득 국가는 최대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보고서는 지하수를 비롯한 물 자원의 남용을 장려하는 보조금 정책과 삼림 개간 등 토지 이용 변화가 변화시키는 강우 패턴이 위기를 초래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지적함
- 보조금 왜곡으로 농업 부문은 매년 최대 13.2㎦의 지하수를 잃을 위험에 처했으며, 보조금은 물 절약 방안과 담수 생태계 보호 및 복원, 취약한 지역 사회를 위한 물 접근성 보장 등의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짚음
- 또한 전 세계 인구 가운데 가장 빈곤한 10%가 연간 강수량 70% 이상의 토지에 기반해 자원을 얻고 있어 산림 개간으로 인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분석함
□ GCEW는 물 가격의 조정이 장기적인 세계 경제 부담을 덜어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밝힘
- GCEW의 공동 의장인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싱가포르 대통령은 “(전 세계는) 글로벌 물 가격에 대해 논의할 준비가 거의 되지 않을 것 같다”며 “모든 국가는 현지 물 부족을 고려한 현실적인 가격 책정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언급함
[출처] 지하수 남용·기후변화…“물 위기가 고소득국 GDP 8% 타격 입힐 것” (2024.10.17.) / 서울경제
목차
Preface by the Co-Chairs 6
Preface by youth 9
Executive summary 10
Recommendations 22
The Commission 24
Acknowledgements 26
Disclaimer 32
1. Introduction: Transforming the world's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s of water 34
2. The hydrological cycle as a global common good 42
3. Towards a new economics of water 76
4. Pushing the economics: The case for shaping markets 102
5. Innovations to tackle water’s critical mission areas 114
6. Partnerships, property rights and contracts for more water justice 134
7. Finance for a just and sustainable water future 144
8. The governance of water utilities 160
9. Harnessing data as a foundation for action 174
10. Opportunities for Just Global Water Governance 184
11. Conclusions 204
Recommendations 211
References 21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The economic of water : valuing the hydrological cycle as a global common good
(물의 경제학 : 글로벌 공공재로서 물 순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