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경북지역 다문화 후기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책 방향

목차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3

Ⅰ.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1) 연구의 필요성 18

2) 연구의 목적 20

2. 연구내용 및 방법 21

1) 연구내용 21

2) 연구방법 22

3. 연구 절차 23

Ⅱ. 다문화 후기 청소년 현황 및 지원정책 24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의 및 현황 25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의 25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현황 26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선행연구 36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선행연구 36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발달 관련 정책의 주요 이슈 44

3. 다문화 후기 청소년 국내ㆍ외 지원정책 50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국내 지원정책 50

2) 다문화/비다문화 후기 청소년 국외 지원정책 53

4. 소결 58

1) 다문화 후기 청소년의 정의 및 범위, 현황 58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특징 및 실태, 정책 지원 방향 59

3)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국내ㆍ외 지원정책 62

Ⅲ. 경상북도 다문화 후기 청소년 심층조사 분석 결과 64

1. 조사개요 65

1) 조사대상 및 방법 65

2) 조사내용 66

3) 조사참여자 현황 69

2. 다문화 후기청소년 심층조사 결과 72

1) 다문화 가족 청년(중도입국 청년)의 어려움 72

2) 청소년기 진로/진학 지원 76

3) 대학 진학/학업 81

4) 취업/일자리 88

5)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정책 혹은 청년지원정책 수혜 경험 96

6) 주거/거주 여건 107

7) 언어 문화 경험 및 여가생활 118

8) 건강상태 125

9) 정서/사회적 관계 127

10) 차별/배제 경험, 정체성 132

11) 사회활동 참여 142

12) 기타 의견 143

3. 전문가 심층조사 결과 146

1) 청소년 후기(19세~24세)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족 현황, 실태 전반 146

2) 다문화 후기(19세~24세) 청소년의 진로/진학 지원 153

3) 대학 진학/학업 158

4) 취업/일자리 162

5) 지역(시군) 일자리, 교육, 교통, 문화여가시설 등 정주 여건 166

6) 정책 수요 168

7) 기타 의견 178

4. 소결 181

1) 지역(시군)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전반적 현황 181

2) 다문화가족 청년의 어려움 181

3) 청소년기 진로/진학 지원 182

4) 대학 진학/학업 183

5) 취업/일자리 184

6)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정책 혹은 청년지원정책 수혜 경험 185

7) 주거/거주 여건 186

8) 언어 문화 경험 및 여가생활 186

9) 건강상태 187

10) 정서/사회적 관계 188

11) 차별/배제 경험, 정체성 188

12) 사회활동 참여 189

13) 기타 의견 189

Ⅳ. 경상북도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방향 및 정책 과제 190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심층조사 주요 결과 및 시사점 191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방향 193

1) 다문화 후기 청소년의 다양성과 더불어 이들이 경험한 어려움을 반영 193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연계 강화와 전문센터 및 지원팀 구축, 가족 센터 역할 확장 194

3) 대입 및 대학생활의 어려움, 취업 지원 정책 및 정주 의향 등을 고려 196

3. 다문화 후기 청소년 세부 정책 과제 198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비전 및 목표 198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영역 및 세부과제 199

참고문헌 221

판권기 2

〈표 Ⅰ-1〉 심층조사 내용 21

〈표 Ⅰ-2〉 현장 실무자 및 전문가 심층조사 내용 22

〈표 Ⅱ-1〉 전국 및 경상북도 다문화 중ㆍ고등학생 현황(2014~2022) 27

〈표 Ⅱ-2〉 전국 및 경상북도 13세~18세 외국인주민 자녀(국내 출생, 귀화 및 외국국적자) 현황(2018년) 29

〈표 Ⅱ-3〉 전국 및 경상북도 13세~18세 외국인주민 현황(국내 출생, 귀화 및 외국국적자) 현황(2022년) 30

〈표 Ⅱ-4〉 전국 13세~18세 다문화가족 자녀(국내 출생, 귀화 및 외국국적자) 현황(2018년) 31

〈표 Ⅱ-5〉 전국 13세~18세 다문화가족 자녀(국내 출생, 귀화 및 외국국적자) 현황(2022) 32

〈표 Ⅱ-6〉 경상북도 13세~18세 국내 출생자녀 현황(2018년) 34

〈표 Ⅱ-7〉 후기 청소년의 진로 및 사회진출 관련 연구 45

〈표 Ⅱ-8〉 후기 청소년의 심리ㆍ사회 적응 관련 연구 48

〈표 Ⅱ-9〉 각 부처별 후기 청소년기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 50

〈표 Ⅱ-10〉 경상북도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정책 52

〈표 Ⅱ-11〉 일본의 청년 지원정책 53

〈표 Ⅱ-12〉 미국의 청년 지원정책 54

〈표 Ⅱ-13〉 유럽의 청년 지원정책 55

〈표 Ⅱ-14〉 독일의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 지원정책 57

〈표 Ⅲ-1〉 다문화 후기 청소년 대상 조사내용 66

〈표 Ⅲ-2〉 전문가 대상 조사내용 68

〈표 Ⅲ-3〉 다문화 후기 청소년 참여자 현황 69

〈표 Ⅲ-4〉 전문가 참여자 현황 71

〈표 Ⅲ-5〉 다문화가족 및 청년 지원사업 인지도 96

〈표 Ⅲ-6〉/〈표 Ⅱ-6〉 청년정책 인지 여부 및 활용 경험ㆍ필요성 99

〈표 Ⅳ-1〉 심층조사 주요 결과 및 시사점 191

〈표 Ⅳ-2〉 경상북도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영역 및 세부과제 199

[그림 Ⅰ-1] 연구 절차 23

[그림 Ⅱ-1] 전국 다문화 중ㆍ고등학생 현황(2014~2022) 28

[그림 Ⅱ-2] 경상북도 다문화 중ㆍ고등학생 현황(2014~2022) 28

[그림 Ⅱ-3] 2018년, 2022년 전국 13세~18세 국내출생 자녀 추이 비교 33

[그림 Ⅱ-4] 2018년 경상북도 13세~18세 국내출생 자녀 35

[그림 Ⅱ-5] 다문화배경 청년의 평생교육 분석 틀 37

[그림 Ⅲ-1] 다문화가족 및 청년 지원사업 인지도 96

[그림 Ⅲ-2] 청년정책 인지 여부 97

[그림 Ⅲ-3] 청년정책 활용 경험 98

[그림 Ⅲ-4] 청년정책 필요성 98

[그림 Ⅳ-1] 경상북도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비전 및 목표 198

해시태그

#다문화청소년 # 후기청소년 # 청년지원정책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경북지역 다문화 후기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책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