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에 대한 인식, 인구구조 등의 변화로 국내에서 1인 가구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특히 팬데믹 이후 그 흐름이 가팔라지면서 2023년 기준 세 가구 중 한 가구가 1인 가구이다. 이로 인해 1인 가구의 경제적 행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커졌으며 실제로 1인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지난 10년간 매우 빠른 속도로 늘어나 2023년 기준 전체 소비지출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징과 최근 이들 가구의 빠른 확산이 우리 소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우선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인 가구가구원수 효과 조정에 비해 ①소득이 낮고, ②자산규모가 작으며 ③단순·임시직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경제 형편이 취약하였다. 이를 여타 선진국의 1인 가구 상황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와의 소득 격차가 더 큰 반면 사회보장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게다가 우리나라 1인 가구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다인 가구와의 소득·자산규모나 임시·일용직 비중에서 그 격차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최근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팬데믹 이후 1인 가구의 소비성향은 오히려 크게 하락함에 따라 국내 소비회복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인 가구는 생활비 부담이 크고, 가구원 간 리스크 분담이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특히 청년층은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컸으며 고령층은 고용안정성 측면에서 취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팬데믹을 겪으며 ①생활물가의 빠른 상승, ②위기에 따른 소득 감소가 전체 가구, 특히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한 가운데, ③월세가격 상승, ④임시·일용직 중심 고용 충격이 청년층과 고령층 1인 가구의 소비에 각각 커다란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1인 가구의 소비성향이 뚜렷하게 떨어졌으며, 이는 빠르게 늘어나는 1인 가구의 비중을 감안할 때 향후 우리 소비회복을 구조적으로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 1인 가구 소비성향 약화의 주요 원인을 고려할 때 내수기반을 튼튼히 하려면 이들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긴요한데, 정책 대응 측면에서는 연령대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높은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안정 대책이 절실하며, 고령층 1인 가구에 대해서는 열악한 소득과 고용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한 지원책은 저출생 대책과의 상충 등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영국 등 해외사례처럼 전체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정책 틀 안에서 1인 가구 문제에 균형감 있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출처: 한국은행)
□ 우선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인 가구가구원수 효과 조정에 비해 ①소득이 낮고, ②자산규모가 작으며 ③단순·임시직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경제 형편이 취약하였다. 이를 여타 선진국의 1인 가구 상황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와의 소득 격차가 더 큰 반면 사회보장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게다가 우리나라 1인 가구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다인 가구와의 소득·자산규모나 임시·일용직 비중에서 그 격차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최근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팬데믹 이후 1인 가구의 소비성향은 오히려 크게 하락함에 따라 국내 소비회복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인 가구는 생활비 부담이 크고, 가구원 간 리스크 분담이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특히 청년층은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컸으며 고령층은 고용안정성 측면에서 취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팬데믹을 겪으며 ①생활물가의 빠른 상승, ②위기에 따른 소득 감소가 전체 가구, 특히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한 가운데, ③월세가격 상승, ④임시·일용직 중심 고용 충격이 청년층과 고령층 1인 가구의 소비에 각각 커다란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1인 가구의 소비성향이 뚜렷하게 떨어졌으며, 이는 빠르게 늘어나는 1인 가구의 비중을 감안할 때 향후 우리 소비회복을 구조적으로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 1인 가구 소비성향 약화의 주요 원인을 고려할 때 내수기반을 튼튼히 하려면 이들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긴요한데, 정책 대응 측면에서는 연령대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높은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안정 대책이 절실하며, 고령층 1인 가구에 대해서는 열악한 소득과 고용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한 지원책은 저출생 대책과의 상충 등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영국 등 해외사례처럼 전체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정책 틀 안에서 1인 가구 문제에 균형감 있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출처: 한국은행)
목차
I. 검토 배경 1
II. 1인 가구의 특징 1
1. 1인 가구의 인구통계적 특징 1
2.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징 5
III. 최근 1인 가구 확산이 우리 소비에 미친 영향 8
1. 1인 가구 소비성향 약화 8
2. 1인 가구 소비성향 약화 원인 10
IV. 종합평가 및 시사점 12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