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문 5
제1장 연구 개요 44
1. 연구 배경 및 목적 45
2. 연구 범위 46
3. 연구 방법 48
제2장 콘텐츠산업 환경과 일자리 50
1. 콘텐츠산업 생태계 구조 51
가. 디지털 시대, 콘텐츠산업의 구조 변화 51
나. 창의적 인적 자원 52
2. 콘텐츠산업 노동 시장과 환경 변화 55
가. 사회문화적 구조의 변화 55
나. 제도적 환경 59
3. 콘텐츠산업 일자리 현황과 전망 63
가. 콘텐츠산업 일자리 수요-공급의 미스 매칭 현황 63
나. 콘텐츠산업 일자리 전망 68
제3장 콘텐츠산업의 변화와 일자리 70
1. 콘텐츠산업의 변화와 창의적 일자리 71
가. 창의적 작업과 신기술 71
나. 콘텐츠 창작과 유통의 변화 73
다. 창의적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77
2. 콘텐츠산업과 미래 일자리 80
가. 일자리 전망 80
나. 콘텐츠산업 분야 신직업 전망 81
제4장 국내외 콘텐츠산업 일자리 정책 85
1. 국내 콘텐츠산업 일자리 정책 86
가.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 전략 86
나. 콘텐츠산업 분야 신기술(AI) 지원 정책과 사업 현황 87
2. 콘텐츠산업 환경 변화와 해외 일자리 지원 정책 91
가. 스타트업 및 혁신 기업 지원 정책 91
나. 신기술 중심 인력양성 정책 95
다. 규제 및 제도적 지원 105
제5장 콘텐츠산업 분야 일자리 조사 결과 118
1. 조사 개요 119
가. 조사 방법 119
나. 조사 내용 120
다. 조사 결과 해석 시 유의사항 120
2. 구직자 조사결과 121
가. 응답자 일반 현황 121
나. 재직자 특성 122
다. 구직자 특성 127
라. 업무 수행 의견 137
마. 콘텐츠산업과 신기술에 대한 의견 143
3. 사업체 조사결과 153
가. 응답 사업자 개요 153
나. 채용 154
다. 구인 현황 158
라. 신기술 현황 및 전망 166
4. 소결 171
가. 콘텐츠산업과 일자리 171
나. 신기술과 일자리 전망 173
제6장 전문가 자문 결과 176
1. 자문 개요 177
가. 자문위원 구성 및 운영 177
나. 주요 자문 내용 178
2. 콘텐츠산업 일자리 변화 180
가. 글로벌 차원에서 인력 수요 증가 180
나. 산업화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 180
다. IP 중심 일자리 필요성 증가 181
라. 창작 활동과 노동의 시선 구분 필요 182
3. 콘텐츠산업과 신기술 183
가. 신기술의 개념 183
나. 창작 활동과 신기술 184
다. 신기술과 직무의 변화 185
4. 글로벌 시장 진출과 일자리 창출 191
가. 국가별 제도 차이 191
나. 수출 전문 인력 192
5. 지역 콘텐츠산업과 일자리 193
가. 지역 콘텐츠산업과 신기술, 일자리 193
나. 지역 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일자리 지원 방안 194
제7장 결론 및 제언 200
1. 결론 201
가. 일자리 창출의 중심, 기업 201
나. 창작과 사업화 영역의 일자리 구분 필요 202
다. 콘텐츠산업 내 신기술 도입과 일자리 전망 203
2. 제언: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 방안 206
가. '기업 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06
나. '인력 양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14
다. '인프라/제도적' 측면의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21
라. '지역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25
마. 일자리 창출을 위한 부처 간 협력 모델 231
참고문헌 232
[부록 1] 장르별 직무 구조 239
[부록 2] 설문지 245
판권기 261
표 1-1. 콘텐츠산업 종사자 현황 45
표 1-2. 주요 선행 연구 개요 49
표 2-1. 콘텐츠산업과 제조업의 차이 53
표 2-2. 콘텐츠산업 장르별 종사자 규모 비교 54
표 2-3. 시도별 소멸위험지역 시군구 분포 58
표 2-4. 콘텐츠산업 프리랜서의 표준계약서 작성 비율 60
표 2-5. 콘텐츠산업 창의 인력의 근로소득 61
표 2-6. 콘텐츠산업 창의인력의 4대 보험 미가입 현황(중복응답 기준) 62
표 2-7. 연도별 사업자의 채용 인원 부족률 현황 64
표 2-8. 2021~202년 콘텐츠산업 신규 공급 인력 규모 65
표 2-9. 콘텐츠산업 직무 구조 - 대분류 기준 65
표 2-10. 연도별 사업자의 채용 계획 인원 추이 66
표 2-11. 콘텐츠산업 장르별 취업유발 및 고용유발 인원 추이 69
표 2-12. 콘텐츠산업 장르별 종사자 증가율 69
표 3-1. 알고리즘/인공지능 생산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 72
표 3-2. 콘텐츠산업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73
표 3-3. 영상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74
표 3-4. 웹툰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75
표 3-5. 게임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76
표 3-6. 음악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76
표 3-7. AI 기술 기반 음악 기업 대표 사례 77
표 3-8. 새로 증가하는 및 감소하는 직업 20선(2023~2027) 82
표 4-1. 〈제3차 콘텐츠산업 진흥 기본계획〉 중 일자리 창출 전략 87
표 4-2.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 계획 요약 88
표 4-3. 중앙과 지역의 신기술 콘텐츠 관련 사업 사례 90
표 4-4. 프렌치 테크의 비전과 실행 계획 93
표 4-5. 영국 AI R&D 상용화 4가지 경로 94
표 4-6. 일본의 콘텐츠산업 인재 강화 관련 정책 요약 96
표 4-7. 영국의 디지털 스킬 및 인재 관련 주요 정책 97
표 4-8. 영국 〈창조산업 섹터 비전: 2030 목표〉 99
표 4-9. 미국 주요 테크 기업의 AI 교육 지원 사례 100
표 4-10. 일본 '과학기술혁신의 전략적 국제 확장' 관련 국제 공동연구 프로그램 104
표 4-11. 미국 2023년 'AI 행정명령' 주요 내용 106
표 4-12. 일본 'AI 전략 2022'의 5대 전략 목표 107
표 4-13. 미국 'AI 안전 서약' 3가지 원칙 110
표 4-14. 주요 빅테크 기업의 인력 감원 현황 및 AI 투자 현황 110
표 4-15. 중국 차세대 AI 발전계획의 3단계 발전 목표 111
표 4-16. 영국의 '국가 AI 전략' 3가지 비전 112
표 4-17. 프랑스의 단계별 AI 국가 전략 주요 내용과 진행 현황 113
표 4-18. 영국 'AI 규제에 대한 혁신 친화적 접근법'의 5대 핵심 원칙 115
표 5-1. 조사 개요 119
표 5-2. 조사지 구성 항목 120
표 5-3. 재직 직무별 만족도(5점 척도 기준) 124
표 5-4. 재직자-입사 시 고려한 중요 요소(복수응답) 126
표 5-5. 구직자 관심 분야(복수응답) 128
표 5-6. '출판'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29
표 5-7. '만화ㆍ웹툰'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0
표 5-8. '음악'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1
표 5-9. '게임'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2
표 5-10. '영화'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2
표 5-11. '애니메이션'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3
표 5-12. '방송'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4
표 5-13. '캐릭터'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4
표 5-14. 8개 장르 외 분야 취업 희망자의 직무별 희망 정도 135
표 5-15. 취업준비생-입사 시 고려한 중요 요소(복수응답) 136
표 5-16. 업무 수행 필요 요소 중요도 및 보유 수준 137
표 5-17. 구직 및 취업을 위한 정보 수집 경로 138
표 5-18. 장르별 일자리 공급 현황에 대한 의견 차이 142
표 5-19. 콘텐츠산업 분야 인력 수급을 위해 필요한 사항(중복응답) 143
표 5-20. 관심 있는 신기술 분야 144
표 5-21. 재직 분야별 신기술 분야 관심 정도 145
표 5-22. 직무별 신기술 분야 관심 정도 145
표 5-23. 콘텐츠산업에서 신기술 분야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 146
표 5-24. 재직 분야별 신기술 필요성에 대한 의견 147
표 5-25. 직무별 신기술 필요성에 대한 의견 147
표 5-26. 장르별ㆍ직무별 신기술 영향력 148
표 5-27. 신기술 습득에 도움이 되는 회사 지원 149
표 5-28. 신기술이 콘텐츠산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 150
표 5-29. 콘텐츠산업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 수요 151
표 5-30. 순위별 신기술 관련 인력 채용 경로 선택 이유 156
표 5-31. 직무별 신기술 채용 분야(중복응답) 156
표 5-32. 선택 직무 신기술직 선호 이유 157
표 5-33. 기업 인력 채용 시 중요 요소 159
표 5-34. 콘텐츠산업 일반 신규 인력에게 부족한 요소 160
표 5-35. 장르별 직무 교육 지원 현황 162
표 5-36. 장르별 인력 수급 현황 163
표 5-37. 콘텐츠산업 전반 인력 수급 개선 방안 165
표 5-38. 신기술 관련 인력 수급 개선 방안 165
표 5-39. 신기술이 콘텐츠산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기업 169
표 5-40. 신기술 관련 콘텐츠산업 정부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중요도 170
표 6-1. 단계별 자문 목적 및 운영 시기 177
표 6-2. 콘텐츠산업 일자리 전문가 자문 개요 178
표 6-3. 콘텐츠산업 일자리 전문가 자문 주요 내용 179
표 6-4. 글로벌 차원에서 인력 수요 증가 180
표 6-5. 산업화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 181
표 6-6. IP 중심 일자리 필요성 증가 181
표 6-7. 창작 활동과 노동의 시선 구분 필요 182
표 6-8. 신기술 개념과 범위 183
표 6-9. 신기술, AI의 범위 184
표 6-10. 창작 활동과 신기술 185
표 6-11. 새로운 직무 유형 185
표 6-12. 장르별 직무 변화 186
표 6-13. 새로운 일자리 창출 187
표 6-14. 기술 인력에 대한 수요와 관리 187
표 6-15. 재교육 및 업스킬링 방안 188
표 6-16. 콘텐츠산업에 필요한 인재상의 변화 189
표 6-17. 콘텐츠 인재 아카이빙 구축 190
표 6-18. 스타트업 지원방식에 대한 의견 190
표 6-19. 스타트업 인력 지원 191
표 6-20. 수출 계약시 콘텐츠 저작권 문제 191
표 6-21. 콘텐츠 수출 업무의 변화 192
표 6-22. 수출 전문 인력 양성 192
표 6-23. 지역 콘텐츠산업 환경 변화 193
표 6-24. 기술 발전 속도와 지역 콘텐츠 기업의 어려움 193
표 6-25. 창작 환경의 변화를 주도하는 신기술 194
표 6-26. 글로벌 차원으로 지역 지원 사업 확대 194
표 6-27. 자유 지원 방식의 도입 195
표 6-28. 지역과 수도권 산학 네트워킹 확장 195
표 6-29. 기업 친화적 인력 양성 지원 196
표 6-30. 지역 콘텐츠 기업 재직자 대상 교육 지원 196
표 6-31. 재정적 지원 규모의 중요성과 지원 대상의 개선 필요 197
표 6-32. 소프트웨어 바우처 사업 지원 197
표 6-33.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특화 사업 지원 198
표 6-34. 중앙 정부 역할에 대한 기대 198
표 6-35. 고령화와 신기술 활용 콘텐츠에 대한 기대 199
표 7-1. 신기술 도입과 직무별 일자리 전망 205
표 7-2. 영국의 창의분야 기술 부트캠프 운영 사례 211
표 7-3. 에듀코카의 '콘텐츠 스텝업' 프로그램 217
표 7-4. 콘텐츠와 예술의 경계 중복 217
표 7-5. 콘텐츠 특화 전문 교육 기관 양성 218
표 7-6. KOCCA의 '콘텐츠 수출 전문인력 양성 사업' 221
표 7-7. 일본 북 뱅크 JBB(Japan Book Bank) 운영 사례 224
그림 1-1. 전체 연구 수행 과정 48
그림 2-1. 연간 콘텐츠산업 종사자 규모 추이 54
그림 2-2.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1960~2072년) 55
그림 2-3. 연령별 인구구조 및 인구구성비(1960~2072년) 56
그림 2-4. 생산연령인구(1960~2072년) 및 생산연령인구 연령구조(2022~2072년) 56
그림 2-5. 시도별 인구성장률(2022년 및 2052년) 57
그림 2-6. 인구감소지역 지정 결과(89개) 58
그림 2-7. 서점 소멸 지역 및 인구대비 서점 수 59
그림 2-8. 창의 인력의 계약서 유형별 작성 비율 60
그림 2-9. 5개 장르의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여부 62
그림 2-10. 게임 장르의 주 52시간 도입 여부 및 미도입 이유 63
그림 2-11. 연간 직무별 부족 인원 구성비의 변화 66
그림 2-12. 연간 직무별 부족 인원의 변화 67
그림 2-13. 연간 직무별 부족 인원의 대체 방법(복수응답) 67
그림 3-1. 초기 AI 창작물의 대표 사례 72
그림 3-2. 콘텐츠산업에서 5년 이내에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무 80
그림 3-3. 산업별 노동시장 변화(2023~2027) 81
그림 4-1. 'Disney AI Pixar Generator' 사용 예시 101
그림 4-2. 일본의 국제 두뇌 순환 및 국제 공동연구 관련 지원 정책 현황(2022년 기준) 103
그림 4-3. EU의 AI Act 개요 108
그림 4-4. 일본 AI 사업자 가이드라인의 '각 주체 공통 지침' 114
그림 4-5. 중국 AIGC 기술 응용 분야별 주요 기업 114
그림 5-1. 응답자 현황 121
그림 5-2. 응답자 성별ㆍ거주지 121
그림 5-3. 응답자 연령ㆍ최종 학력 122
그림 5-4. 응답자 종사 직무 122
그림 5-5. 근무 기간 및 콘텐츠 분야 경력 123
그림 5-6. 직무 만족도 123
그림 5-7. 회사 입사 경로 124
그림 5-8. 장르별 회사 입사 경로 125
그림 5-9. 채용 정보 수집 경로 125
그림 5-10. 재직자-입사 시 고려한 중요 요소(1+2+3순위) 126
그림 5-11. 이직 계획 및 이유 127
그림 5-12. 취업 준비 기간 127
그림 5-13. 구직자 관심 분야(1+2+3순위) 128
그림 5-14. 취업 준비 분야 129
그림 5-15. 취업준비생-입사 시 고려한 중요 요소(1+2+3순위) 136
그림 5-16. 취업 관련 교육 및 훈련 경험 여부 139
그림 5-17. 콘텐츠 분야 취업 관련 교육 경험에 따른 만족도 140
그림 5-18. 콘텐츠 분야 구직 및 취업 활동 경험 140
그림 5-19. 콘텐츠 분야 구직 및 취업 활동의 도움 정도(중복응답) 141
그림 5-20. 콘텐츠산업 일자리 공급 현황 141
그림 5-21. 신기술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칠 것 같은 분야 148
그림 5-22. 신기술 유입에 대한 대응 노력(중복응답) 149
그림 5-23. 응답 기업의 사업체 유형 및 주사업 분야 153
그림 5-24. 응답 기업의 회사 규모 및 사업 기간 154
그림 5-25. 기업 인력 채용 방식 154
그림 5-26. 기업 인력 채용 경로 155
그림 5-27. 신기술 관련 인력 채용 경로 선택 이유(1+2+3순위)(중복응답) 155
그림 5-28. 기업 인력 채용시 애로 사항(중복응답) 157
그림 5-29. 기업 인력 채용 시 중요 요소(평균값, 5점 척도 기준) 158
그림 5-30. 신규 인력에게 부족한 요소(1+2+3순위)(중복응답) 160
그림 5-31. 취업 준비 활동의 도움 정도(평균값, 5점척도 기준) 161
그림 5-32. 직무별 교육 지원 현황(평균값, 5점척도 기준) 162
그림 5-33. 직무별 인력 수급 현황 163
그림 5-34. 인력 수급 개선 방안(1+2+3순위)(중복응답) 164
그림 5-35. 신기술 적용 경험 및 성과 166
그림 5-36. 인공지능 도입 현황과 적용직무 167
그림 5-37. 인공지능 외 신기술 도입 현황(중복응답) 167
그림 5-38. 향후 도입 예정 신기술(중복응답) 168
그림 5-39. 신기술 인력 지원 제도 168
그림 5-40. 채용 시 지식역량 요소 중요도: 구직자 vs 사업자 172
그림 5-41. 채용 시 태도 요소 중요도: 구직자 vs 사업자 172
그림 5-42. 취업에 도움 되는 정도: 구직자 vs 사업자 173
그림 5-43. 신기술이 콘텐츠산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구직자 vs 사업자 174
그림 5-44. 신기술 관련 콘텐츠산업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중요도 인식 차이 175
그림 6-1. 신기술 개념도 184
그림 7-1. 콘텐츠산업 가치사슬별 직무 및 노동시장 203
그림 7-2. 국내 콘텐츠 분야별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 현황 및 영향력 204
그림 7-3. 부문별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 방안 206
그림 7-4. '기업 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07
그림 7-5. 콘텐츠 창업 기업 맞춤형 펀드 세분화 208
그림 7-6. 2023년 〈예술-기술 매칭 사업〉 구조 213
그림 7-7. '인력 양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15
그림 7-8. 콘텐츠 특화 전문교육 기관 운영 모델 219
그림 7-9. '인프라/제도적' 측면의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22
그림 7-10. '지역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225
그림 7-11. 다년도 지역 중점 프로젝트 단계별 진행(안) 226
그림 7-12. 지역 우수/혁신 지원사업 발굴 및 매칭 227
그림 7-13. 충남ㆍ수도권 미래산업 전문인력양성 모델 예시 229
그림 7-14.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한 부처 협력 모델 23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