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5년) 경제정책방향

□ 정부는 1월 2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2025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024년 2.1%에서 1.8%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 증가세 둔화와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함
 - 고용 증가폭도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며,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2.3%에서 1.8%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경상수지는 작년
(900억 달러)보다 흑자폭이 축소(800억 달러)될 전망임

□ 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해 경제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목표로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설정함
 -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총 18조 원 규모의 공공부문 재원을 투입하여 경기 부양과 소비 회복을 촉진할 계획임
 - 또한, 대외신인도 관리를 위해 미국 신정부의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교역 및 공급망 리스크를 완화하고,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임
 -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新대외경제전략을 추진하고, 교역환경 변화에도 기업들이 흔들림 없이 수출에 매진할 수 있도록 수출 다변화 및 수출애로 해소 지원을 강화할 예정임
 -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력 산업별 맞춤 지원을 강화하고, 신산업과 서비스업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임





(출처: 기획재정부)

목차

표제지 1

목차 2

Ⅰ. 최근 경제상황 평가 3

Ⅱ. 2025년 경제여건 점검 4

Ⅲ. 2025년 경제전망 6

Ⅳ. 2025년 경제정책방향 7

1. 민생경제 회복 8

2. 대외신인도 관리 30

3.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 39

4. 산업경쟁력 강화 43

[참고 1] '25년 역동경제 중점 추진과제 59

[참고 2] 청년고용올케어 플랫폼 체계도 61

[참고 3] '쉬었음' 청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연계도 61

[참고 4] ISA 선택권 확대 기대효과 62

[참고 5] 노후청사 복합개발 청년임대 Map 62

[별첨 1] 2025년 상세 경제전망 63

[별첨 2] 2025년 경제정책방향 주요 정책 캘린더 73

박스목차 9

(Box 1) 민생 신속지원 주요 사업 사례 9

(Box 2) 글로벌 산업 생태계 중추국가 도약 위한 추진체계 43

(Box 3) 국토이용 효율화 위한 제도개편 및 선도프로젝트 추진 54

(Box 4) 「역동경제로드맵('24.7.3)」 추진성과 및 '25년 추진계획 57

해시태그

#경제정책방향 # 경제정책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5년) 경제정책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