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력직 채용 증가는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서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거나 기존 취업자들이 경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노동시장에 갓 진입한 청년들의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한 것으로 평가됨
① 분석 결과, 경력직 채용이 늘어남에 따라 비경력자들의 상용직 취업 확률1.4%/월은 경력자2.7%/월의 절반 수준까지 낮아짐
② 상대적으로 경력이 없거나 짧은 20대의 상용직 고용률은 30대와 비교해 17%p 낮은데, 이 중 7%p의 격차는 경력직 채용 확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③ 또한, 첫 취업이 늦어지면서 생애 총 취업 기간이 평균적으로 2년 줄어들고, 그로 인해 생애총소득도 13%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청년층이 경력직 채용 증가라는 노동시장의 변화에 적응하고 나아가 이를 경력 개발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임
[출처] 한국은행
목차
표제지 1
목차 1
Ⅰ. 검토배경 2
Ⅱ. 경력직 채용 증가 및 그 원인 2
Ⅲ. 경력직 채용 증가가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 5
1. 분석 모형의 개요 6
2. 분석 결과 9
Ⅳ. 종합평가 및 시사점 11
[참고 1] 모형 추정에 사용된 자료 13
[참고 2] 모형 추정 방법 14
참고문헌 16
〈표 1〉 모형의 주요 가정 1 : 2종류의 노동자와 2종류의 일자리 7
〈표 2〉 모형의 주요 가정 2 : 새로 제안 받은 일자리의 생산성에 따른 이직 및 임금 결정 8
〈표 3〉 1, 2차 노동시장 현황 11
〈표 4〉 고용상태 전환율 12
〈그림 1〉 연령별 상용직 고용률 2
〈그림 2〉 대학생이 느끼는 취업 준비 과정의 어려움 2
〈그림 3〉 경력직 vs 신입직 채용 계획 3
〈그림 4〉 채용시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 3
〈그림 5〉 경력 유무에 따른 채용 방식 3
〈그림 6〉 수시 vs 공채 채용 계획 3
〈그림 7〉 2023년 및 2024년 채용시장 변화 4
〈그림 8〉 향후 채용 방향 및 방식 전망 4
〈그림 9〉 평생직장에 대한 인식 4
〈그림 10〉 기업들이 경력직을 우선 채용하는 이유 5
〈그림 11〉 OECD 국가별 고용보호지수 5
〈그림 12〉 상용직 취업 확률 추이 6
〈그림 13〉 졸업후 미취업 청년 주된 활동 6
〈그림 14〉 20대 인구 중 '쉬었음' 비중 6
〈그림 15〉 경력직 채용 증가와 고용률 9
〈그림 16〉 경력직 채용 증가와 고용률 격차 9
〈그림 17〉 경력직 채용 증가와 사회초년생의 생애 총 취업기간 10
〈그림 18〉 경력직 채용 증가와 사회초년생 생애 소득의 현재가치 10
〈그림 19〉 비경력자의 구직 노력 하락과 고용률 10
〈그림 20〉 비경력자의 구직 노력 하락과 사회초년생의 생애 총 취업기간 10
〈그림 21〉 비경력자의 구직 노력 하락과 사회초년생 생애 소득의 현재가치 10
〈그림 22〉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업 11
〈그림 23〉 국가별 임시직 비중 및 정규직 전환율 12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경력직 채용 증가와 청년 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