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탄소중립사회 달성을 위한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개발방향 연구

목차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제1장 서론 2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2

2) 연구목적 26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추진방향 28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1

1) 연구의 범위 31

2) 연구의 방법 31

3) 연구의 흐름 32

제2장 탄소중립사회의 그린인프라 수요 34

1. 탄소중립사회와 그린인프라 34

1) 분석목적 및 방법 34

2) 탄소중립사회의 법적, 정책적 개념 35

3) 탄소중립도시 실현의 주요 공간요소로서의 그린인프라 39

2.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수요 42

1) 국가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계획 42

2) 세부과제에서 활용 중인 그린인프라 정보 활용 현황 46

3) 탄소흡수 관련 연구에서 활용 중인 그린인프라 정보 활용 현황 54

3.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그린인프라 수요 61

1) 국내 기후변화 적응 관련 평가 도구 61

2)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그린인프라 활용 연구 67

4. 소결 71

제3장 그린인프라 데이터 현황 및 한계 74

1. 국내 기초데이터 및 그린인프라 데이터 현황 74

1) 분석목적 74

2) 분석의 대상 및 방법 74

3) 국내 기초데이터 현황 75

4) 그린인프라 데이터 구축 현황 77

2. 그린인프라 데이터 관계법 92

3. 소결 106

제4장 그린인프라 관련 법ㆍ제도 현황 110

1.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그린인프라 관련 법ㆍ제도 110

2. 기반시설로서의 그린인프라 관련 법ㆍ제도 114

1) 국토ㆍ산림 단위의 그린인프라 114

2) 도시공간 단위의 그린인프라 125

3) 건축공간 단위의 그린인프라 143

3. 소결 146

제5장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기술 152

1.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기술 구분 152

1) 분석목적 및 방법 152

2) 규모별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 기술 153

3) 그린인프라 속성별 데이터 수집 기술 155

2.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기술 현황 158

1) 도시 및 국가단위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기술 158

2) 면단위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기술 164

3) 개체목 단위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기술 174

3. 소결 183

제6장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구축방향 186

1. 구축방향 및 추진전략 도출 방법 186

1) 장별 연구결과 요약 186

2)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구축 구축방향 초안 설정 188

3) 전문가 의견 수렴 191

2. 탄소중립사회 달성을 위한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구축 기본 방향 198

1) 주요 추진전략 및 추진 과제 198

2) 탄소중립사회 그린인프라 정보 시스템 구축 방안 204

3) 신규 구축 그린인프라 정보와 기대효과 206

3. 관련 법ㆍ제도 개선 방안 208

1) 수치지도를 통한 그린인프라 정보 생산 방안 208

2) 그린인프라 유형별 데이터 생산 방안 210

제7장 결론 216

1. 연구 성과와 정책 제언 216

1) 연구 성과 216

2)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활용 방안 217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220

참고문헌 222

SUMMARY 230

[부록] 236

1. 약어표 236

2. 그린인프라 데이터 속성정보 현황 238

3.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집기술 요약 260

4. FGI 설명자료 및 서면자문 자료 264

판권기 2

[표 1-1] 선행연구 검토 29

[표 2-1]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에 담긴 지자체의 역할 37

[표 2-2] 기후탄력적 발전을 위해 전환이 요구되는 사회 시스템 39

[표 2-3] 그린인프라와 연계되는 도시인프라 유형과 세부 연결 내용 41

[표 2-4]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부문별 중장기 감축 대책에서 그린인프라 관련 과제 현황 44

[표 2-5]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세부과제 연관사업에서의 그린인프라 정보 활용 현황 47

[표 2-6] 조림사업의 종류와 주요 내용 51

[표 2-7] 그린인프라의 탄소흡수 관련 논문의 주제와 주요 내용 57

[표 2-8] 그린인프라의 탄소흡수 관련 논문에서의 그린인프라 정보 유형과 세부 내용 59

[표 2-9]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지표와 가중치 62

[표 2-10] 취약성 평가를 위한 그린인프라 지표 및 적용부문 63

[표 2-11] 국토연안 부문 리스크 및 중점리스크 66

[표 2-12] 건강 부문 리스크 66

[표 2-13] 생태계 부문 리스크 67

[표 2-14] 그린인프라의 기후변화 적응효과 및 그린인프라의 적용 규모 69

[표 3-1] 국내 활용가능 GIS/위성영상 데이터 현황(계속) 76

[표 3-2] 임상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 정보 78

[표 3-3] 토지피복지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0

[표 3-4] 도시생태현황지도 제작을 위해 활용하는 기초자료 목록 81

[표 3-5] 도시생태현황지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2

[표 3-6] 생태ㆍ자연도 제작을 위해 활용하는 평가자료 목록 83

[표 3-7] 생태ㆍ자연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4

[표 3-8] 토양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5

[표 3-9] 식생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6

[표 3-10] 산림입지토양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7

[표 3-11]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9

[표 3-12] 가로수 데이터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89

[표 3-13]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지도 내 그린인프라 현황 및 데이터정보 91

[표 3-14] 토지피복지도 분류항목 94

[표 3-15] 생태ㆍ자연도 제작을 위해 반영되는 조사사업(생태자연도 작성지침 별표 1) 98

[표 3-16] 그린인프라 관련 데이터 및 속성정보 현황 106

[표 3-17] 그린인프라 데이터 관계 법ㆍ제도와 구축 및 제공기관 108

[표 3-18] 그린인프라 유형별 데이터 수집 현황 149

[표 5-1] 세 종류의 공원 구역 분류 기준과 각 구역별 통계 수치 168

[표 5-2] 9개의 ITD와 공원 구역 분류에 따른 탐지 수목 수의 RMSE와 bias. 표 중 Total 열은 전체 정확도를 나타냄 169

[표 5-3] WST-Ncut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개별목 탐지 정확도 171

[표 5-4] 원격탐사 데이터 선택에 따른 수종분류 전체 정확도 비교 171

[표 5-5] 초분광영상 기반 식생지수와 이를 활요한 기존 선행연구들 및 결과 보고 177

[표 6-1] 전문가 그룹 구성 191

[표 6-2] 해상도 개선, 갱신 및 관리 관련 의견반영 결과 192

[표 6-3] 효과 정량화 및 데이터 표준화 관련 의견반영 결과 193

[표 6-4] 데이터 활용성 강화 관련 의견반영 결과 194

[표 6-5] 통합관리체계 관련 의견반영 결과 195

[표 6-6] 법적 기반 마련과 정책적 연계 관련 의견반영 결과 196

[표 6-7]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정보체계와 정책 수립 관련 의견반영 결과 197

[표 6-8]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선(안) 211

[표 6-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선(안) 212

[표 6-10]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개선(안) 214

[그림 1-1] 그린인프라의 기후변화 대응 기여도 23

[그림 1-2] 그린인프라 속성정보 기반의 대응효과 산정 사례 24

[그림 1-3] 경기도 RE100 플랫폼의 고해상도 탄소저장 및 흡수원 지도 구축 계획 25

[그림 1-4] 연구 추진 방향 28

[그림 1-5] 연구의 흐름도 32

[그림 2-1] 탄소중립사회를 위한 기후탄력적 발전 개념도 37

[그림 2-2] 도시 내 그린인프라 개념도 40

[그림 2-3]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추진과제 43

[그림 2-4] 국토교통부 탄소공간지도 시스템의 탄소흡수량 산정방식(상)과 탄소흡수지도(세종시 어진동) 사례(하) 49

[그림 2-5]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 추진전략 및 기대효과 52

[그림 2-6] 토지이용ㆍ토지이용변화 MRV체계 구축 연구(2차) 제안요청서 주요내용 54

[그림 2-7] 75개의 논문 중 도시 폭염 완화를 위한 수단의 제시 비율 68

[그림 2-8] 기후변화 완화 정책 및 연구에서 다루는 그린인프라 유형과 속성정보 72

[그림 2-9]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및 연구에서 다루는 그린인프라 유형과 속성정보 73

[그림 2-10]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및 연구로 보는 그린인프라 수요 73

[그림 3-1] 안양시 토지피복지도의 데이터 형태(왼쪽:대분류, 가운데:중분류, 오른쪽:세분류) 93

[그림 3-2] 그린인프라 데이터 수요와 실제 데이터 현황 비교 요약 109

[그림 4-1] 그린인프라 규모별 관계 법ㆍ제도 현황 148

[그림 5-1] 도시단위 그린인프라 구축 사례 153

[그림 5-2] 면단위 그린인프라 데이터 구축 사례 154

[그림 5-3] 개체목 단위 그린인프라 데이터 구축 사례 155

[그림 5-4] ① 스펙트럼 특성(Spec), ② 환경 특성(Env), ③ 스펙트럼 모델과 스펙트럼-환경 결합 모델(SpecEnv-Spec) 간의 정확도 변화, 그리고 ④ 스펙트럼-환경 모델과... 158

[그림 5-5] 하부식생 밀도에 대한 관측값과 모델링 통한 예측값 1:1 비교 그래프 159

[그림 5-6] 랜덤포레스트 분류기를 통해 도출된 변수 중요도. (a): TLS 라이다 데이터, (b): ULS 라이다 데이터, (c): TLS와 ULS 데이터 융합 사용 160

[그림 5-7] 개별 GSV로부터 추출된 PGVI 대상 영역과 도시 녹지 특징에 따른 PGVI 값. (a1) 작은 캐노피는 PGVI를 낮게 만듦 (0.192); (a2) 큰 캐노피는 PGVI를 높게 만듦... 161

[그림 5-8] 개별 나무 매핑 및 나무 종 감지에 대한 전체 흐름도 163

[그림 5-9] Mixed 시나리오: 클래스별 F1 정확도 및 예측 맵에서 계산된 클래스별 면적 비율 163

[그림 5-10] 아열대 도시 수종 분포도, A) 타이포 워터프론트 공원, B) 구룡 성벽 도시 공원 및 목수 도로 공원, C) 라이치콕 공원 164

[그림 5-11] 2021년 2월 27일에 획득한 UAV 기반 초분광 이미지를 사용하여 묘사된 나뭇가지의 픽셀 자동 분류. (A) RGB 구성에서 묘사된 나무의 수관 (B) NIR 대역(850nn)에서... 165

[그림 5-12] 연구 진행의 Conceptual Framework 166

[그림 5-13] (a) 도시 공원별 지상부 바이오매스량의 분포; (b) 비오톱 유형별 탄소 저장 효율성 및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관계 167

[그림 5-14] WST-Ncut 알고리즘을 활용한 개별 수목 분류 흐름도 170

[그림 5-15] UAV LiDAR 데이터(왼쪽)와 RGB 영상으로 통해 도출된 점군데이터(오른쪽) 172

[그림 5-16] 도시공원에서 취득된 항공 LiDAR 데이터(a), TLS 데이터(b), MLS 데이터(c) 173

[그림 5-17] 수고에 대한 현장측정 데이터와 LiDAR 데이터 비교. (a): 가로수, (b): 도시공원수목 174

[그림 5-18] 흉고직경에 대한 현장측정 데이터와 LiDAR 데이터 비교. (a): 가로수, (b): 도시공원수목 174

[그림 5-19] 밴쿠버 지역의 가로수(빨간색), 사유지 나무(녹색), 모든 나무(파란색)에 대한 절대 위치 정확도 176

[그림 5-20] 학습된 모델을 통해 위성 이미지에서 가로수를 탐지한 모습 (노란색 박스가 모델을 통해 예측된 바운딩 박스를 나타냄) 179

[그림 5-21] 수목 크기, 건강 상태, 층위 구조 및 사회 개발 요인 특징 사이의 PCA 분석 결과 180

[그림 5-22] 각각의 분류기를 통한 수종 분류 결과. (a) false-color로 표현된 위성 영상과 분류된 수목 캐노피 별 수종; (b) RF 분류기를 통한 수종 분류 결과; (c) SVM 분류기를... 181

[그림 5-23] 그린인프라 데이터 구축 기술 현황 및 활용 기초데이터 183

[그림 6-1]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구축방향 제안을 위한 장별 연구내용 종합 187

[그림 6-2]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구축 기본 방향(안) 190

[그림 6-3]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구축 기본 방향(수정안) 198

[그림 6-4]/[그림 6-1] 탄소중립사회 대응 그린인프라 정보 시스템 구상도 205

[그림 6-5]/[그림 6-4] 수치지도 지형지물 표준코드(안) 209

해시태그

#탄소중립 # 그린인프라 # 기후변화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탄소중립사회 달성을 위한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개발방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