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2월 7일 미일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함
-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미일 3각 공조 체제 유지, 김정은과의 정상외교 의지를 표명함
- 김정은은 향후 트럼프와의 관계 개선 및 미북대화에 관심을 갖고 협상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지만, 협상에 임하는 전략과 태도는 2018-2019년과는 완전히 다를 것임
- 2025년 북한은 정찰위성/탄도/전략순항 미사일 발사, 핵/미사일 시설 공개 등으로 전략무기 개발 능력을 점차 과시해가며, 미국측과 ‘밀고 당기기’를 통해 북한 주도하의 미북대화를 신중하게 타진해 나가려 할 것으로 전망됨

□ 한국 정부의 대응
- 트럼프 행정부가 △북핵위협 관리, △핵비확산 금지를 조건으로 북한과 △대북제재 해제 △ 한미연합훈련 중단 등을 논의할 가능성에 대비, 한국의 정책적 입장이 배제되는 일이 없도록 對美 아웃리치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북중러 연대에 대비, 한미일 협력을 보다 강화해야 함
-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미일 3각 공조 체제 유지, 김정은과의 정상외교 의지를 표명함
- 김정은은 향후 트럼프와의 관계 개선 및 미북대화에 관심을 갖고 협상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지만, 협상에 임하는 전략과 태도는 2018-2019년과는 완전히 다를 것임
- 2025년 북한은 정찰위성/탄도/전략순항 미사일 발사, 핵/미사일 시설 공개 등으로 전략무기 개발 능력을 점차 과시해가며, 미국측과 ‘밀고 당기기’를 통해 북한 주도하의 미북대화를 신중하게 타진해 나가려 할 것으로 전망됨
□ 한국 정부의 대응
- 트럼프 행정부가 △북핵위협 관리, △핵비확산 금지를 조건으로 북한과 △대북제재 해제 △ 한미연합훈련 중단 등을 논의할 가능성에 대비, 한국의 정책적 입장이 배제되는 일이 없도록 對美 아웃리치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북중러 연대에 대비, 한미일 협력을 보다 강화해야 함
목차
표제지 1
목차 1
핵심 요약 2
1. 문제 제기 4
2. 미사일/핵 관련 도발 평가 5
가. 정찰위성 발사와 시사점 5
나.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와 시사점 7
다. 전략 순항 미사일 발사와 시사점 8
라. 화성포-19 형 발사와 시사점 9
마. 강선 우라늄 농축 시설 공개 10
3. 러북 군사협력 동향 평가 11
가. 북한의 對러 북한軍 파병 11
나. 러북 군사협력의 북한內 군수분야 파급 영향 12
4. 2025 년 전망 14
가. 2025 년초 북한 관련 주요 동향 14
나. 미사일 등 군사 무기 개발 전망 15
다. 러북 군사협력 전망 18
라. 북핵협상 관련 북한의 태도 전망 19
마. 정책적 함의 20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북한의 주요 군사 동향 : 2024년 평가 및 2025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