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제주지역 대 ASEAN ODA 활성화 방안 연구

목차

표제지 1

목차 3

연구요약 8

Ⅰ. 연구 개요 14

1. 배경 및 목적 14

2. 방법 및 구조 15

Ⅱ. 아세안 ODA 수혜 현황 및 시사점 17

1. 세계 ODA 원조 현황 17

1-1. ODA 원조 규모 17

1-2. ODA 원조유형 19

1-3. ODA 원조 Marker 현황 21

1-4. ODA 수원국 분포 현황 24

2. 아세안 국가별 ODA 수혜 현황 27

2-1. ODA 원조 규모 27

2-2. ODA 원조 유형 28

2-3. ODA 원조 Maker 현황 30

2-4. ODA 원조 공여국 분포 현황 34

3. 분석 결과 및 시사점 36

Ⅲ. 한국 대 아세안 ODA 원조 현황 및 시사점 37

1. 개요 37

2. 추진 현황 38

2-1. 원조 규모 38

2-2. 원조 유형 40

2-3. ODA 원조 Marker 현황 42

2-4. 기관별 사업 현황 49

3. 분석 결과 및 시사점 54

Ⅳ. 제주 대 아세안 ODA 사업 실적 및 추진 방안 55

1. 제주 ODA 사업추진 현황 55

2. 전문가 심층인터뷰 59

2-1. 개요 59

2-2. 현황 및 평가 60

2-3. 문제 및 방안 65

3. 제주 대 아세안 ODA 사업발굴 및 추진 방안 72

3-1. 개요 72

3-2. 제주 대 아세안 ODA 사업 발굴 방향 72

3-3. 제주 대 아세안 ODA 추진 방안 80

Ⅴ. 결론 및 제언 83

1. 결론 83

2. 제언 84

참고문헌 87

[부록] 88

Abstract 92

판권기 93

〈표 Ⅱ-1〉 원조유형 구분 및 내용 20

〈표 Ⅱ-2〉 세계 ODA 원조 Marker 현황 21

〈표 Ⅱ-3〉 세계 ODA 원조 Marker 현황: '직접목적' 22

〈표 Ⅱ-4〉 세계 ODA 원조 Marker 현황: '간접목적' 23

〈표 Ⅱ-5〉 세계 ODA 원조 Marker 비교: '직접목적' VS '간접목적' 24

〈표 Ⅱ-6〉 연도별 소득그룹별 ODA 원조 비중 및 변화 25

〈표 Ⅱ-7〉 아세안 VS 非아세안 ODA 원조 비중 및 변화 26

〈표 Ⅱ-8〉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30

〈표 Ⅱ-9〉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직접목적' 31

〈표 Ⅱ-10〉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간접목적' 32

〈표 Ⅱ-11〉 아세안 ODA 원조 Marker 비교: '직접목적' VS '간접목적' 33

〈표 Ⅱ-12〉 DAC 회원국 상위 5개국 대 아세안 국가별 원조 비중 35

〈표 Ⅲ-1〉 중앙부처 ODA 사업 현황: 원조유형 기준 41

〈표 Ⅲ-2〉 지방정부 ODA 사업 현황: 원조유형 기준 41

〈표 Ⅲ-3〉 제주 ODA 사업 현황: 원조유형 기준 42

〈표 Ⅲ-4〉 중앙부처 대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42

〈표 Ⅲ-5〉 중앙부처 대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직접목적' 43

〈표 Ⅲ-6〉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간접목적' 44

〈표 Ⅲ-7〉 중앙부처 대 아세안 ODA 원조 Marker 비교: '직접목적' VS '간접목적' 45

〈표 Ⅲ-8〉 지방정부 대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46

〈표 Ⅲ-9〉 지방정부 대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직접목적' 47

〈표 Ⅲ-10〉 지방정부 대 아세안 ODA 원조 Marker 현황: '간접목적' 47

〈표 Ⅲ-11〉 지방정부 대 아세안 ODA 원조 Marker: '직접목적' VS '간접목적' 48

〈표 Ⅲ-12〉 중앙부처 대 아세안 ODA 원조 현황 49

〈표 Ⅲ-13〉 중앙부처별 대 아세안 ODA 원조 규모 50

〈표 Ⅲ-14〉 지방정부 대 아세안 ODA 원조 현황 52

〈표 Ⅲ-15〉 지방정부별 대 아세안 ODA 원조 규모 52

〈표 Ⅳ-1〉 제주 ODA 원조 사업 사례 및 규모 56

〈표 Ⅳ-2〉 인터뷰 참여 전문가 개요 59

〈표 Ⅳ-3〉 심층인터뷰 결과 요약: 현황 및 평가 60

〈표 Ⅳ-4〉 심층인터뷰 결과 요약: 문제 및 방안 65

〈표 Ⅳ-5〉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주요 내용 73

〈표 Ⅳ-6〉 캄보디아 국가협력전략 주요 내용 74

〈표 Ⅳ-7〉 인도네시아 국가협력전략 주요 내용 75

〈표 Ⅳ-8〉 베트남 국가협력전략 주요 내용 76

〈표 Ⅳ-9〉 미얀마 국가협력전략 주요 내용 77

〈표 Ⅳ-10〉 필리핀 국가협력전략 주요 내용 78

〈표 Ⅳ-11〉 아세안 중점협력대상국가별 ODA 주요 분야 및 관련 내용 79

〈그림 Ⅰ-1〉 연구 구조 16

〈그림 Ⅱ-1〉 세계 ODA 사업 규모 현황 17

〈그림 Ⅱ-2〉 공여국 유형별 원조 규모 18

〈그림 Ⅱ-3〉 공여국 유형별 원조 규모의 전년 대비 증감률 현황 18

〈그림 Ⅱ-4〉 세계 ODA 원조유형별 규모와 비중 변화 19

〈그림 Ⅱ-5〉 소득그룹별 세계 ODA 원조 규모 25

〈그림 Ⅱ-6〉 아세안 VS 非아세안 ODA 원조 규모 26

〈그림 Ⅱ-7〉 아세안 국가별 ODA 원조 규모와 비중 27

〈그림 Ⅱ-8〉 세계 ODA 원조유형별 규모와 비중 변화 28

〈그림 Ⅱ-9〉 아세안 국가별 ODA 원조 유형: 2022년 비중 29

〈그림 Ⅱ-10〉 대 아세안 국가별 ODA 원조 규모와 비중(2022년) 34

〈그림 Ⅲ-1〉 중앙부처 ODA 사업 현황 38

〈그림 Ⅲ-2〉 지방정부 ODA 사업 현황 39

〈그림 Ⅲ-3〉 제주 ODA 사업 현황 40

〈그림 Ⅲ-4〉 중앙부처 대 아세안 국가별 ODA 원조 규모 51

〈그림 Ⅲ-5〉 지방정부 대 아세안 국가별 ODA 원조 규모 53

〈그림 Ⅳ-1〉 제주 ODA 원조 사례 55

〈그림 Ⅳ-2〉 제주 ODA 발전 방향 모색 및 협의회 위촉 57

〈그림 Ⅳ-3〉 아시아 지역 수원국 구분: 중점협력국&일반협력국 72

부록표목차 6

〈표 1〉 DAC 회원국 목록 88

〈표 2〉 DAC 수원국 리스트 88

〈표 3〉 소득그룹별 국가명 및 지역명(2022년) 89

〈표 4〉 소득그룹별 국가명 및 지역명(2022년) 90

〈표 5〉 「2024년도 정부부처ㆍ지자체ㆍ공공협력사업 통합 공모」 관련 주요 내용 91

부록그림목차 7

〈그림 1〉 기존 정부부처ㆍ지자체 제안 사업 91

해시태그

#공적개발원조 # ODA # 아세안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제주지역 대 ASEAN ODA 활성화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