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3
요약 11
제1장 서론 12
제2장 전 지구 기후특성 17
2.1. 2024년 전 지구 평균기온 18
2.2. 기후감시요소 현황 26
제3장 우리나라 기후특성 35
3.1. 2024년 연 기후특성 36
3.2. 2023/2024년 겨울철(2023년 12월~2024년 2월) 기후특성 41
3.3. 2024년 봄철(3~5월) 기후특성 54
3.4. 2024년 여름철(6~8월) 기후특성 63
3.5. 2024년 가을철(9~11월) 기후특성 81
제4장 북한 기후특성 92
4.1. 2024년 북한 연 기후특성 93
4.2. 2023/2024년 겨울철(2023년 12월~2024년 2월) 북한 기후특성 94
4.3. 2024년 봄철(3~5월) 북한 기후특성 95
4.4. 2024년 여름철(6~8월) 북한 기후특성 96
4.5. 2024년 가을철(9~11월) 북한 기후특성 97
제5장 우리나라 연근해 해양 기후특성 98
5.1. 2024년 한반도 연근해 해양 연 기후특성 및 해양 환경특성 99
5.2. 2023/2024년 겨울철(2023년 12월~2024년 2월) 한반도 연근해 해양 기후특성 117
5.3. 2024년 봄철(3~5월) 한반도 연근해 해양 기후특성 119
5.4. 2024년 여름철(6~8월) 한반도 연근해 해양 기후특성 121
5.5. 2024년 가을철(9~11월) 한반도 연근해 해양 기후특성 123
[부록 Ⅰ] 동아시아 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분포도와 전국 평균기온 및 강수량 분포도 126
[부록 Ⅱ] 연별, 계절별 평균ㆍ최고ㆍ최저기온과 강수량 10순위(1973~2024년) 129
[부록 Ⅲ] 지역별 장마철 강수량, 강수일수 및 순위(1973~2024년) 132
참고문헌 134
판권기 135
[표 2.1.1.] 전 지구 및 대륙별 평년 편차 및 순위 19
[표 2.2.1.] 2022~2024년 엘니뇨ㆍ라니냐 감시구역의 3개월 평균 해수면온도 평년편차(ERSSTv5 자료 활용) 27
[표 2.2.2.] 최근 10년 엘니뇨, 라니냐 발생 현황(기상청) 27
[표 2.2.3.] 북반구 눈덮임 월별 면적 32
[표 2.2.4.] 유라시아 눈덮임 월별 면적 32
[표 3.1.1.] 우리나라 월평균기온, 평년편차 및 1973년 이래 순위 38
[표 3.1.2.] 우리나라 월강수량, 평년비 및 1973년 이래 순위 39
[표 3.1.3.] 권역별 기온 및 강수량 현황 39
[표 3.3.1.] 1973~2023년 전국 월별 평균기온 추세 분석(정확한 경향 분석을 위해 소수점 2자리까지 산출) 56
[표 3.4.1.] 2024년과 평년(1991~2020년)의 장마철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74
[표 3.4.2.] 2024년과 평년(1991∼2020년)의 장마철 기간 평균 강수량과 강수일수 76
[표 3.4.3.] 2024년 장마철 1시간 최다강수량 100mm 이상 발생 사례 78
[표 3.4.4.] 2024년 장마철 많은 비가 내린 주요 관측지점 및 누적강수량 78
[표 3.5.1.] 2024년 태풍 발생 현황(괄호 안 숫자: 발생월 기준 우리나라 영향 태풍 수) 91
[표 4.1.1.] 북한 월평균기온, 평년편차 93
[표 4.1.2.] 북한 월강수량, 평년비 93
[표 5.1.1.]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해수면온도와 최근 10년 대비 편차 및 최근 10년간 최고 순위 100
[표 5.1.2.]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해상기온과 최근 10년 대비 편차 및 최근 10년간 최고 순위 100
[표 5.1.3.] 해역별 유의파고 및 해수면 온도 현황 100
[표 5.1.4.]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유의파고와 최근 10년 대비 편차 및 최근 10년간 최고 순위 101
[표 5.1.5.] 한반도 연근해 최대파고의 월 최고값과 최근 10년 대비 편차 및 최근 10년간 최고 순위 102
[표 5.1.6.]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풍속과 최근 10년 대비 편차 및 최근 10년간 최고 순위 102
[표 5.1.7.] 해역별 유의파고 및 해상풍 현황 102
[그림 2.1.1.] 전 지구 연도별 기온 편차 시계열(1850~1900년 비교) 18
[그림 2.1.2.] 2024년 전 지구 연평균기온 평년(1991-2020)편차 분포도 19
[그림 2.1.3.] 전 지구(육지/해양) 위도별 평년편차 시계열 20
[그림 2.1.4.] 2024년 전 지구 해수면온도 퍼센타일 및 극값(Warmest: 상위 1위, Coolest: 하위 1위) 분포도 21
[그림 2.1.5.] 2023/24 겨울철(12월~2월) 전 세계 주요 이상기후 현상 및 관련 재해 현황 23
[그림 2.1.6.] 2024년 여름철(6~8월) 전 세계 주요 이상기후 현상 및 관련 재해 현황 25
[그림 2.2.1.] 2024년 전 지구 해수면온도 평년편차 분포도(ERSSTv5) 26
[그림 2.2.2.] 3개월 이동 평균된 엘니뇨ㆍ라니냐 감시구역(Nino3.4) 지수 시계열(ERSSTv5) 27
[그림 2.2.3.] (왼쪽)주간 평균 전 지구 해수면 온도 평년편차(OISSTv2), (오른쪽)열대 태평양 해수면 온도와 지표바람 및 평년편차(TAO/TRITON) 28
[그림 2.2.4.] 엘니뇨, 라니냐 상태 모식도 28
[그림 2.2.5.] 북극 9월 해빙 면적 평년(1991~2020) 편차 시계열 29
[그림 2.2.6.] 9월 이후 북극 해빙 면적 일변화 시계열(최근 5년) 30
[그림 2.2.7.] (왼쪽)2024년 북극 해빙 면적 시계열, (오른쪽)9월 북극 해빙 면적 분포도 30
[그림 2.2.8.] 2024년 북극 해빙 상태(왼쪽)3월, (오른쪽)9월 31
[그림 2.2.9.] 가을철 유라시아 눈덮임 면적(1967~2024년) 33
[그림 2.2.10.] (왼쪽)2024년 11월 눈덮임, (오른쪽)2024년 11월 눈덮임 평년편차 분포도 34
[그림 3.1.1.] 2024년 (왼쪽)연평균기온, (오른쪽)연강수량 분포도 36
[그림 3.1.2.] 전국 연평균기온 평년편차 시계열, 평년: 1991∼2020년 37
[그림 3.1.3.] 2024년 월평균기온 평년편차 분포도 37
[그림 3.1.4.] 2024년 월강수량 퍼센타일(%ile) 분포도 38
[그림 3.1.5.] 2024년 우리나라 기후 이슈 40
[그림 3.2.1.] 2023/2024년 겨울철 전국 66개 지점의 (왼쪽)평균기온, (오른쪽)강수량 분포도 41
[그림 3.2.2.] 2023/2024년 겨울철 전국 평균기온과 평년편차 시계열 42
[그림 3.2.3.] 2023/2024년 겨울철 전국 강수량 시계열 43
[그림 3.2.4.] 2023/2024년 겨울철 전 지구 (왼쪽)해수면온도 평년편차(ERSSTv5), (오른쪽)상향장파복사 평년편차 분포도 44
[그림 3.2.5.] 엘니뇨 절정기 11월~12월 한반도 영향 모식도 45
[그림 3.2.6.] 2023/2024년 겨울철 북반구 (왼쪽)200hPa 동서바람 평년편차, (오른쪽)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분포도 46
[그림 3.2.7.] 2023/2024년 겨울철 전 지구 850hPa 지위고도와 바람 평년편차 분포도 47
[그림 3.2.8.] 대륙고기압(40~60°N, 80~120°N) 강도 47
[그림 3.2.9.] (왼쪽)12.6.~15. 500hPa 평년편차 분포도, (오른쪽)12.17.~23. 500hPa 평년편차 분포도 48
[그림 3.2.10.] (왼쪽)카라-바렌츠해의 해빙 면적이 적은 경우, 동아시아 지역 한파 영향 모식도 (오른쪽)북극 해빙 면적 상태 49
[그림 3.2.11.] 북극 해빙 면적 (위쪽)시계열(2023년 11월~2024년 2월), (아래쪽)월별 분포도(2023년 12월, 2024년 1월, 2월) 50
[그림 3.2.12.] (왼쪽)12월 15일 85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분포도, (오른쪽)850hPa 바람 평년편차 분포도 51
[그림 3.2.13.] 2.18.~22. 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850hPa 바람 벡터 평년 편차 52
[그림 3.2.14.] 엘니뇨 발달해 겨울철 기압계 모식도 53
[그림 3.2.15.] (왼쪽)2023년 12월 OLR 평년편차 분포도, (오른쪽)2024년 2월 OLR 평년편차 분포도 53
[그림 3.3.1.] 2024년 봄철 전국 66개 지점의 (왼쪽)평균기온, (오른쪽)강수량 분포도 54
[그림 3.3.2.] 2024년 봄철 전국 평균기온과 평년편차 시계열 55
[그림 3.3.3.] 2024년 봄철 전국 강수량 시계열 56
[그림 3.3.4.] 2024년 봄철 전 지구 (왼쪽)해수면 온도 평년편차(ERSSTv5), (오른쪽)지구장파복사 평년편차 분포도 57
[그림 3.3.5.] 2024년 봄철 북반구 (왼쪽)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오른쪽)해면기압 평년편차 분포도 58
[그림 3.3.6.] 2024년 동아시아 (왼쪽)봄철 2m기온 평년편차, (오른쪽)3월 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분포도 59
[그림 3.3.7.] 2024년 동아시아 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분포도 (왼쪽)4월, (오른쪽)5월 59
[그림 3.3.8.] 전국 66개 지점의 (왼쪽)4월 평년편차 및 평균기온, (오른쪽)4월 14일, 4월 27일 일최고기온 편차 60
[그림 3.3.9.] 4월 (왼쪽)850hPa 바람 편차, (오른쪽)지구장파복사 평년편차 61
[그림 3.3.10.] 4월 (왼쪽)해면기압 편차, (오른쪽)대륙고기압 발생 지역(40~60N, 80~120E) 해면기압 편차 시계열 61
[그림 3.3.11.] (왼쪽)4월 AO 지수 시계열, (오른쪽)4월 14일 850hPa 바람 편차 62
[그림 3.3.12.] 4월 27~28일 (왼쪽)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분포도, (오른쪽)상향장파복사(OLR) 평년편차 분포도 62
[그림 3.4.1.] 2024년 여름철 전국 66개 지점의 (왼쪽)평균기온, (오른쪽)강수량 분포도 63
[그림 3.4.2.] 2024년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과 평년편차 시계열 64
[그림 3.4.3.] 2024년 여름철 전국 강수량 시계열 65
[그림 3.4.4.] 2024년 여름철 전 지구 (왼쪽)해수면온도 평년편차(ERSSTv5), (오른쪽)상향장파복사(OLR) 평년편차 분포도 66
[그림 3.4.5.] 2024년 (왼쪽)6월 24일~6월 30일 상향장파복사(OLR) 평년편차 분포도, (오른쪽)6~7월 매든-줄리안 진동(MJO) 관측 및 예측자료 67
[그림 3.4.6.] 2024년 1~12월 인도몬순지수 시계열 67
[그림 3.4.7.] 2024년 상향장파복사(OLR) 평년편차분포도(왼쪽)7월, (오른쪽)8월 68
[그림 3.4.8.] 엘니뇨 쇠퇴해 여름철의 (왼쪽)해수면온도 편차, (오른쪽)해양 지역에서의 강수 편차 합성도 69
[그림 3.4.9.] 엘니뇨 쇠퇴해 여름철의 (왼쪽)육지 지역 2m 대기 온도 편차, (오른쪽)육지 지역에서의 강수 편차 합성도 69
[그림 3.4.10.] (왼쪽)2024년 여름철 전 지구 해수면온도, (오른쪽)2024년 전 지구 누적강수량 편차 70
[그림 3.4.11.] 북반구 2024년 여름철 (왼쪽)2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오른쪽)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71
[그림 3.4.12.] 티베트고기압, 북태평양고기압 중첩 자료 (왼쪽)2023년 (오른쪽)2024년 72
[그림 3.4.13.] 2024년 여름철 5일 평균 500hPa 고도변화 시계열(125~130°E) 72
[그림 3.4.14.] 경도별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 정도 (왼쪽)125~130°E, (오른쪽)130~150°E 73
[그림 3.4.15.] 2024년 6월 1일~8월 31일 전국 강수량 일변화 시계열 75
[그림 3.4.16.] 1973년~2024년 여름철 강수량 대비 장마철 강수량 비율 76
[그림 3.4.17.] 1973~2024년 5~10월 5일 평균 강수량 시계열 히트맵 77
[그림 3.4.18.] 장마철 기압계 모식도 78
[그림 3.4.19.] 1973~2024년 여름철 월별 (왼쪽)폭염일수 그래프, (오른쪽)열대야일수 그래프 79
[그림 3.4.20.] 2024년 폭염 모식도 (왼쪽)6월, (오른쪽)7월 하순~8월 80
[그림 3.4.21.] 2024년 열대야 발생 모식도(7월 상~중순) 80
[그림 3.5.1.] 2024년 가을철 전국 66개 지점의 (왼쪽)평균기온, (오른쪽)강수량 분포도 81
[그림 3.5.2.] 2024년 가을철 전국 평균기온 평년편차 시계열 82
[그림 3.5.3.] 2024년 가을철 전국 강수량 시계열 83
[그림 3.5.4.] 2024년 가을철 전 지구 (왼쪽)해수면온도 평년편차(ERSSTv5), (오른쪽)상향장파복사(OLR) 평년편차 분포도 84
[그림 3.5.5.] 2024년 가을철 북반구 (왼쪽)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 (오른쪽)해면기압 평년편차 분포도 85
[그림 3.5.6.] 2024년 9월 500hPa 지위고도 편차 분포도 86
[그림 3.5.7.] 2024년 9월 200hPa 지위고도 편차 분포도 87
[그림 3.5.8.] 2024년 9월 상~중순 상향장파복사(OLR) 평년편차 87
[그림 3.5.9.] 2024년 6~9월 (왼쪽)티베트고기압 강도, (오른쪽)북태평양고기압 강도 88
[그림 3.5.10.] 2024년 11월 25~29일 500hPa 지위고도 편차 분포도 89
[그림 3.5.11.] 2024년 11월 27일 09시 (왼쪽)해수면온도 분포도, (오른쪽)700hPa 일기도 90
[그림 3.5.12.] (왼쪽)가을철 발생 태풍 경로도, (오른쪽)가을철 상향장파복사(OLR) 평년편차 분포도 91
[그림 4.1.1.] 2024년 북한 (왼쪽)연평균기온, (오른쪽)연강수량 분포도 93
[그림 4.2.1.] 2023/2024년 겨울철 북한 (왼쪽)평균기온 분포도, (오른쪽)일평균기온 시계열 94
[그림 4.2.2.] 2023/2024년 겨울철 북한 (왼쪽)누적강수량 분포도, (오른쪽)일강수량 시계열 94
[그림 4.3.1.] 2024년 봄철 북한 (왼쪽)평균기온 분포도, (오른쪽)일평균기온 시계열 95
[그림 4.3.2.] 2024년 봄철 북한 (왼쪽)누적강수량 분포도, (오른쪽)일강수량 시계열 95
[그림 4.4.1.] 2024년 여름철 북한 (왼쪽)평균기온 분포도, (오른쪽)일평균기온 시계열 96
[그림 4.4.2.] 2024년 여름철 북한 (왼쪽)강수량 분포도, (오른쪽)일강수량 시계열 96
[그림 4.5.1.] 2024년 가을철 북한 (왼쪽)평균기온 분포도, (오른쪽)일평균기온 시계열 97
[그림 4.5.2.] 2024년 가을철 북한 (왼쪽)누적강수량 분포도, (오른쪽)일강수량 시계열 97
[그림 5.1.1.] 한반도 연근해 최근 10년 연평균 해수면온도 99
[그림 5.1.2.] 한반도 연근해 최근 10년 연평균 해상기온 100
[그림 5.1.3.] 한반도 연근해 최근 10년 연평균 유의파고 및 유의파고의 최고값 101
[그림 5.1.4.] 한반도 연근해 최근 10년 최대파고의 연 최고값 101
[그림 5.1.5.] 한반도 연근해 최근 10년 연평균 풍속 및 풍속의 연 최고값 102
[그림 5.1.6.] 2024년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유의파고 분포도 103
[그림 5.1.7.] 2024년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해상풍 분포도 103
[그림 5.1.8.] 2024년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해수면온도 분포도 104
[그림 5.1.9.] 2024년 한반도 연근해 월평균 해상기온 분포도 104
[그림 5.1.10.] 2024년 동해 관측지점 해양열용량 히스토그램(빨간선은 연 평균값, 8.51x109J/m²) 105
[그림 5.1.11.] 2024년도 1, 3, 5월 수심 2m에서의 수온 및 수온 평년편차 107
[그림 5.1.12.] 2024년도 7, 9, 11월 수심 2m에서의 수온 및 수온 평년편차 108
[그림 5.1.13.] 2024년도 1, 3, 5월 수심 2m에서의 염분 및 염분 평년편차 109
[그림 5.1.14.] 2024년도 7, 9, 11월 수심 2m에서의 염분 및 염분 평년편차 110
[그림 5.1.15.] 2024년도 1, 3, 5월 수심 30m에서의 수온 및 수온 평년편차 111
[그림 5.1.16.] 2024년도 7, 9, 11월 수심 30m에서의 수온 및 수온 평년편차 112
[그림 5.1.17.] 2024년도 1, 3, 5월 수심 30m에서의 염분 및 염분 평년편차 113
[그림 5.1.18.] 2024년도 7, 9, 11월 수심 30m에서의 염분 및 염분 평년편차 114
[그림 5.1.19.] (왼쪽)ARGO 플로트 관측체계, (오른쪽)ARGO 플로트 투하 모습 115
[그림 5.1.20.] (왼쪽)기상관측선 수온ㆍ염분 정선 및 관측지점, (오른쪽)울릉도-독도 해역 해양열용량 분석영역(빨간 박스) 및 아르고 플로트 관측지점 116
[그림 5.2.1.] 2023/2024년 겨울철 해역별 (왼쪽)해수면온도, (오른쪽)해상기온 117
[그림 5.2.2.] 2023/2024년 겨울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해수면온도, (아래)해상기온 시계열 117
[그림 5.2.3.] 2023/2024년 겨울철 해역별 (왼쪽)유의파고, (오른쪽)풍속 118
[그림 5.2.4.] 2023/2024년 겨울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유의파고, (아래)풍속 시계열 118
[그림 5.3.1.] 2024년 봄철 해역별 (왼쪽)해수면온도, (오른쪽)해상기온 119
[그림 5.3.2.] 2024년 봄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해수면온도, (아래)해상기온 시계열 119
[그림 5.3.3.] 2024년 봄철 해역별 (왼쪽)유의파고, (오른쪽)풍속 120
[그림 5.3.4.] 2024년 봄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유의파고, (아래)풍속 시계열 120
[그림 5.4.1.] 2024년 여름철 해역별 (왼쪽)해수면온도, (오른쪽)해상기온 121
[그림 5.4.2.] 2024년 여름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해수면온도, (아래)해상기온 시계열 121
[그림 5.4.3.] 2024년 여름철 해역별 (왼쪽)유의파고, (오른쪽)풍속 122
[그림 5.4.4.] 2024년 여름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유의파고, (아래)풍속 시계열 122
[그림 5.5.1.] 2024년 가을철 해역별 평균 (왼쪽)해수면온도, (오른쪽)해상기온 123
[그림 5.5.2.] 2024년 가을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해수면온도, (아래)해상기온 시계열 123
[그림 5.5.3.] 2024년 가을철 해역별 (왼쪽)유의파고, (오른쪽)풍속 124
[그림 5.5.4.] 2024년 가을철 한반도 연근해 일평균 (위)유의파고, (아래)풍속 시계열 124
부록표목차 126
[표 1] 2024년 월별 동아시아 500hPa 지위고도 평년편차와 전국 평균기온, 강수량 분포도 126
[표 2] 2024년 평균/최고/최저기온과 강수량 순위(1973~2024년) 129
[표 3] 2023/2024년 겨울철 평균/최고/최저기온과 강수량 순위(1973/74년~2023/24년) 129
[표 4] 2024년 봄철 평균/최고/최저기온과 강수량 순위(1973~2024년) 130
[표 5] 2024년 여름철 평균/최고/최저기온과 강수량 순위(1973~2024년) 130
[표 6] 2024년 가을철 평균/최고/최저기온과 강수량 순위(1973~2024년) 131
해시태그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4) 연 기후특성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