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최근 10년간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24년 17.3% 수준이었음
□ 2022년 심층조사 결과 학교 체육수업시간에 직접 운동을 하는 횟수가 주 1회 이상인 청소년은 남학생 82.3%, 여학생 79.3%, 학기 중 1개 이상 스포츠활동팀에 참여한 남학생은 52.9%, 여학생은 45.7%이었음
□ 일상에서 걷기와 학교에서 체육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생은 미참여 학생에 비해 학습목적 이외 앉아서 보낸 시간이 짧고, 아침식사 결식, 스트레스 인지 등이 낮아 건강행태가 더 양호하였고, 비만율도 더 낮았음
□ 학교 체육수업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 및 스포츠활동팀 참여 개수가 많을수록,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및 걷기실천 일수가 많을수록, 주중 학업목적 이외 좌식활동 시간이 짧을수록 신체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상생활 및 학교 내 청소년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출처: 질병관리청)
□ 2022년 심층조사 결과 학교 체육수업시간에 직접 운동을 하는 횟수가 주 1회 이상인 청소년은 남학생 82.3%, 여학생 79.3%, 학기 중 1개 이상 스포츠활동팀에 참여한 남학생은 52.9%, 여학생은 45.7%이었음
□ 일상에서 걷기와 학교에서 체육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생은 미참여 학생에 비해 학습목적 이외 앉아서 보낸 시간이 짧고, 아침식사 결식, 스트레스 인지 등이 낮아 건강행태가 더 양호하였고, 비만율도 더 낮았음
□ 학교 체육수업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 및 스포츠활동팀 참여 개수가 많을수록,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및 걷기실천 일수가 많을수록, 주중 학업목적 이외 좌식활동 시간이 짧을수록 신체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상생활 및 학교 내 청소년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출처: 질병관리청)
해시태그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