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국방 AI기술 발전에 따른 효율적 국방인력운영을 위한 제언 (O*NET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AI기술 발전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국방 분야 역시 AI기술 활용에 따른 인력운영의 효율화를 기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논의와 준비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고는 국방 AI기술 적용이 인력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사례와 접근법, 선결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노동 대체 관련 연구들에서는 미 직업정보네트워크(O*NET)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O*NET은 직업의 업무, 숙련요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미군은 군사특기와 O*NET의 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다. 국방 AI기술이 국방인력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직무 중심의 접근법을 설정해야 하며, 한국군 역시 미군과 마찬가지로 직무 속성 데이터 구축에 있어 O*NET의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국방 AI기술의 활용 시 국방인력운영을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표준화?구조화된 직무 데이터를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방 AI기술 정보와 직무 데이터를 연계하여 어떠한 직무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직무 전환, 효율화 등 정책의 방향성과 우선순위를 제시할 수 있다.

(출처: 한국국방연구원)

목차

국방 분야에서의 AI  2

미국 직업정보네트워크 O*NET 3

국방 AI기술의 인력대체 분석을 위한 직무 중심 접근 필요성 5

필요한 직무 속성 데이터 6

국방 AI기술 발전에 따른 효율적 국방인력운영을 위한 제언 7

해시태그

#국방AI기술 # 직업정보네트워크 # 국방인력운영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국방 AI기술 발전에 따른 효율적 국방인력운영을 위한 제언 (O*NET 활용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