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환경청(Environment Agency)은 2050년까지 영국에서 하루 약 50억 리터의 물이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함
ㅇ 인구 증가, 주택 개발, 기후변화, 가뭄 대비, 산업·에너지 분야의 수요 증가가 주요한 요인으로 지목됨
ㅇ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주택 건설과 경제활동이 제한받고 있으며, 데이터센터와 같은 디지털 인프라 확대 역시 미래 수요 예측에 불확실성을 더함
□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수자원 확보를 위한 장기 전략을 수립 중임
ㅇ 물 공급 측면에서는 신규 저수지 건설, 해수담수화, 물 재활용, 지역 간 수자원 이전 등 다양한 대책들을 검토함
ㅇ 물 수요 측면에서는 누수 감소, 1인당 물 사용량 절감, 스마트 계량 시스템 확대 등이 추진됨
ㅇ 정부는 2025년 내로 국가 수자원 프레임워크(National Framework for Water Resources, 2020)의 새로운 버전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보다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수자원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임
ㅇ 인구 증가, 주택 개발, 기후변화, 가뭄 대비, 산업·에너지 분야의 수요 증가가 주요한 요인으로 지목됨
ㅇ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주택 건설과 경제활동이 제한받고 있으며, 데이터센터와 같은 디지털 인프라 확대 역시 미래 수요 예측에 불확실성을 더함
□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수자원 확보를 위한 장기 전략을 수립 중임
ㅇ 물 공급 측면에서는 신규 저수지 건설, 해수담수화, 물 재활용, 지역 간 수자원 이전 등 다양한 대책들을 검토함
ㅇ 물 수요 측면에서는 누수 감소, 1인당 물 사용량 절감, 스마트 계량 시스템 확대 등이 추진됨
ㅇ 정부는 2025년 내로 국가 수자원 프레임워크(National Framework for Water Resources, 2020)의 새로운 버전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보다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수자원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임
목차
Summary 4
1 What could the future of water look like? 6
1.1 What competing pressures contribute to the projected water resource deficit? 6
2 Policy and legislation 14
2.1 An overview of responsible parties 14
2.2 The statutory water resource planning process 17
3 Addressing the water supply deficit 21
3.1 Supply-side measures 21
3.2 Demand-side measures 24
4 Further reading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