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2
1. 배경: 미국의 對아세안 상호관세 조치 3
2. 미국-아세안 간의 무역ㆍ투자 구조 4
가. 아세안 회원국들의 對미국 주요 흑자 품목과 흑자 규모 5
나. 아세안 회원국들의 가공단계별 對미국 흑자 규모 9
다. 미-아세안 간의 현지 직접 투자 10
3. 아세안 회원국들이 부과 중인 對미국 주요 관세/비관세 장벽 11
4. 아세안의 대응 및 對미국 협상 방향 16
가. 아세안 회원국별 대응 동향 매트릭스 16
나. 아세안 차원의 공동 대응 전망 20
5. 결론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21
표 1. 미국의 對아세안 상호관세 부과案 3
표 2. 아세안 6개국의 對미국 상위 10개 흑자 품목 및 규모(2023년 기준) 8
표 3. 아세안 6개국의 가공 단계별 對미국 흑자 현황(2023년, 2024년 BEC 기준) 10
표 4. 아세안 국가와 미국의 실효관세율 비교(2022년, 품목 가중평균) 12
표 5. 아세안 회원국별 대응 동향 매트릭스 16
그림 1. 동남아의 對미국 흑자액 추이(2022~24년) 4
그림 2. 대미 흑자 상위 아세안 3개국의 비교우위 품목군별 분포 및 비교(대세계 현시비교우위 기준) 5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미-아세안 무역·투자 구조와 상호관세 : 협상 전망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