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2025년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전개된 미국의 대외정책 전환을 분석한다. 특히 집권 초기 120일간 나타난 외교ㆍ안보ㆍ무역 분야의 주요 변화들을 다층적으로 고찰하며, 이를 통해 트럼프 2기 외교의 전략적 기조와 세력 구도, 그리고 한국 외교에 미치는 함의를 제시한다. 트럼프 2기 대외정책은 실리적 거래에 기반한 ‘현실주의’, 전략적 거점 확보를 지향하는 ‘팽창주의’, 미국 우선 ‘민족주의’라는 세 가지 노선이 혼합된 형태로 전개된다. 동시에 글로벌 우위론자(Primacists), 전략적 우선순위 조정자(Strategic Prioritizers), 기술-경제 민족주의자(Techno-Economic Nationalists) 간의 세력 경쟁 구도 속에서 정책이 형성되며, 기존 자유주의 국제질서로부터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주요 정책사례로는 대중국 견제 우선화, 관세를 통한 무역 압박, 유럽 동맹국과의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조기 종전 시도, 중동 외교의 이중전략 등이 포함되며, 전반적으로 미국의 자율성과 영향력 확대를 최우선에 둔 외교 행태가 두드러진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외교에 네 가지 중첩된 도전―동맹 부담 증가, 기술ㆍ산업 리스크, 대북정책 주변화 가능성, 미ㆍ중 사이 전략 균형의 압박―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이 방위비 협상, 기술동맹, 대북전략, 외교적 완충지대 확보 등 다양한 영역에서 능동적 대응전략을 모색해야 함을 강조한다.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목차
표제지 1
목차 2
국문초록 3
Ⅰ. 서론 4
Ⅱ. 트럼프 2기의 대외정책 특징과 분석틀 6
1.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외정책의 특징 6
2. 트럼프 2기 대외정책의 분석틀 7
3. 소결: 반자유주의적(Anti-liberal) 헤게몬? 10
Ⅲ. 대외정책 주도세력 분석 11
1. 글로벌 우위론자(Primacists) 11
2. 전략적 우선순위 조정자(Strategic Prioritizers) 12
3. 기술-경제 민족주의자(Techno-Economic Nationalists) 12
4. 세력 간 역학 관계 13
Ⅳ. 주요 대외정책 사례 15
1. 대중국 견제에 대한 전략적 우선순위 설정 15
2. 관세 및 무역을 활용한 압박정책 15
3. 유럽 동맹국과의 관계 악화 16
4.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 시도 17
5. 중동 지역에서의 외교적 진전 18
Ⅴ. 한국 외교전략에의 함의 19
참고문헌 22
Abstract 2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