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6월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는 장기화된 우크라이나 전쟁, 미국의 불확실한 동맹 방위 의지, 유럽 내 극우 정치세력의 부상 등 불안정한 지정학적 상황 속에서 열리는 고위급 외교 행사임
ㅇ 미국 레코디드 퓨처(Recorded Future) 산하 인식트 그룹(Insikt Group)은「2025 나토 정상회의에 대한 위협」보고서에서 이 회의가 나토의 결속력을 시험하는 주요 전환점이 될 것이며, 러시아와 중국의 정보전과 사이버 공격이 핵심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함
ㅇ 미국 또한 나토 정상회의의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 지목됨. 현재로써는 미국이 나토 회원국들에 대해 GDP 3.5~5%를 국방비로 지출해야 한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높지만, 나토와 러시아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태도는 미국의 우선순위를 짐작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음
- 미국이 러시아에 대해서 일관된 입장을 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탈을 막기 위해 나토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를 덜 강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실제 공식 일정표상으로 지난해까지 정상급에서 개최하던 '나토-우크라이나 이사회' 세션이 올해는 장관급으로 격하되어 개최
□ 보고서는 이번 회담을 표적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은 주요 위협 요인으로 러시아 및 중국의 악의적 정보작전, 사이버 첩보 활동, 해커 및 해커티비즘 세력을 지목함
ㅇ 러시아는 외무정보국(SVR), 연방보안국(FSB), 군총참모본부 정보국(GRU)과 연계된 그룹들을 통해 나토 연관 기관 및 인사를 겨냥한 악성코드 배포, 로그인 정보 수집, 원격 침투 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중국 또한 국가안전부(MSS)와 연계된 해커 그룹을 동원해 외교·안보 정보를 수집하려 하는 정황이 있음
ㅇ 아울러 양국 모두 생성형 AI를 활용해 나토 불신 여론을 조성하고, 정상회의를 동맹의 분열과 무능의 상징으로 만들려는 노력을 강화하는 상황
□ 물리적 위협 측면에서는 테러, 극단주의, 범죄조직, 시위 활동 등의 위협이 일부 존재하지만, 네덜란드 당국이 사상 최대 규모의 경비 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행사 자체에 대한 직접적 공격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됨
ㅇ 다만 반나토 시위, 기후운동가의 도로 점거, 친팔레스타인 시위 등이 행사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이 심리적 영향을 유발하거나 정보전의 소재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음
□ 보고서는 나토와 회원국들이 사이버 방역, 스푸핑 차단, 허위정보 반박 등의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하며, 주요 사안들과 외부 정보전 세력에 대한 동맹 차원의 일관적인 전략적 내러티브 전달이 기술적 방어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강조함
ㅇ 미국 레코디드 퓨처(Recorded Future) 산하 인식트 그룹(Insikt Group)은「2025 나토 정상회의에 대한 위협」보고서에서 이 회의가 나토의 결속력을 시험하는 주요 전환점이 될 것이며, 러시아와 중국의 정보전과 사이버 공격이 핵심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함
ㅇ 미국 또한 나토 정상회의의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 지목됨. 현재로써는 미국이 나토 회원국들에 대해 GDP 3.5~5%를 국방비로 지출해야 한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높지만, 나토와 러시아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태도는 미국의 우선순위를 짐작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음
- 미국이 러시아에 대해서 일관된 입장을 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탈을 막기 위해 나토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를 덜 강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실제 공식 일정표상으로 지난해까지 정상급에서 개최하던 '나토-우크라이나 이사회' 세션이 올해는 장관급으로 격하되어 개최
□ 보고서는 이번 회담을 표적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은 주요 위협 요인으로 러시아 및 중국의 악의적 정보작전, 사이버 첩보 활동, 해커 및 해커티비즘 세력을 지목함
ㅇ 러시아는 외무정보국(SVR), 연방보안국(FSB), 군총참모본부 정보국(GRU)과 연계된 그룹들을 통해 나토 연관 기관 및 인사를 겨냥한 악성코드 배포, 로그인 정보 수집, 원격 침투 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중국 또한 국가안전부(MSS)와 연계된 해커 그룹을 동원해 외교·안보 정보를 수집하려 하는 정황이 있음
ㅇ 아울러 양국 모두 생성형 AI를 활용해 나토 불신 여론을 조성하고, 정상회의를 동맹의 분열과 무능의 상징으로 만들려는 노력을 강화하는 상황
□ 물리적 위협 측면에서는 테러, 극단주의, 범죄조직, 시위 활동 등의 위협이 일부 존재하지만, 네덜란드 당국이 사상 최대 규모의 경비 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행사 자체에 대한 직접적 공격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됨
ㅇ 다만 반나토 시위, 기후운동가의 도로 점거, 친팔레스타인 시위 등이 행사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이 심리적 영향을 유발하거나 정보전의 소재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음
□ 보고서는 나토와 회원국들이 사이버 방역, 스푸핑 차단, 허위정보 반박 등의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하며, 주요 사안들과 외부 정보전 세력에 대한 동맹 차원의 일관적인 전략적 내러티브 전달이 기술적 방어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강조함
목차
Executive Summary 1
Key Findings 2
Strategic Threat Environment 3
2025 NATO Summit Likely Pivotal for Alliance’s Future Unity 3
Hybrid Threats to NATO Member States 6
Malign Influence Operations 10
Russia 10
China 14
Cyber Threat Activity 16
Russia 16
China 20
Cybercrime and Hacktivism 23
Physical Security Threats 25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25
Violent Crime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