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가상융합 산업정책 개선방안 : AI 전환과 가치이동을 중심으로

보고서는 거품론이 제기되는 동시에 AI 전환(AI Transformation)이라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는 가상융합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가상융합산업이 AI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융합 시장규모는 2024년 1,097억 달러에서 2030년 약 9,861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메타버스에 대한 온라인 검색량은 정점 대비 약 90% 이상 급감했고, 국내 VR과 AR 산업 매출액은 2023년에 전년 대비 33.5%가 감소했으며, 수출액은 67%가 급감하면서 가상융합 시장에 대한 거품론도 제기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가상융합세계에 로그인(Log in)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보고서는 가상융합 혁신이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경험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고, 고비용 투자가 경제적 가치 창출로 연결되지 않는 기술-경험-경제 간 불균형에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가상융합 환경 제작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가상융합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이 'AI 에이전트-AI 에이전트' 간의 자율적 상호작용으로까지 확장되는 등의 모습을 통해 AI의 급속한 발전이 가상융합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촉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보고서는 B2C(Business to Customer) 부문에서 가상융합 산업은 승자독식의 양극화 구조를 형성하면서 고도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가상융합 산업의 가치이동 현상을 분석했으며, 가상융합세계가 B2B(Business to Business) 영역에서 기계가 학습하고 훈련하는 공간으로 재정의되면서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가상융합 산업정책 개선 방안 세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AI 기반 가상융합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면서, AI 융합을 기반으로 한 가상융합 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AI 기본계획과의 유기적 연계를 위한 전략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둘째, “가상융합 산업의 가치이동을 반영한 정책 재설계가 필요하다”며, B2C에서 B2B 중심으로의 정책 전환을 통해 가상현실 통합 훈련장 구축을 지원하고, 세계 1위 로봇 밀도를 보유한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가상융합 공간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셋째, “AI 융합 기반 특수목적형 가상융합 플랫폼 구축과 정책 거버넌스의 재설계가 필요하다”면서, AI 분석 결과를 가상융합 공간에서 시각화하고, 사전 검증하여 AI 단독으로는 불가능한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여, 이를 재난, 산업안전, 의료 등 특수목적 분야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AI-가상융합-로봇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 조정의 필요성도 덧붙였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1

목차 11

요약 4

제1장 기로에 선 가상융합 세계 12

제1절 혁신인가, 거품인가 13

제2절 표류 중인 가상융합 정책 18

제2장 가상융합세계의 진화와 의미 21

제1절 시각적 환상에서 디지털 현실까지 22

제2절 AI와 공진화하는 가상융합세계 25

1. 가상융합의 패러다임 전환 25

2. 공간지능 : 가상융합 세계의 두뇌 25

3. 공간컴퓨팅 : 가상융합 세계의 신경계 27

4. 물리 AI : 가상과 현실의 연결체 28

5. 가상융합의 진화와 의미 29

제3장 가상융합 산업이 직면한 거품론 분석 31

제1절 왜 가상융합세계에 로그인하지 않을까? 32

제2절 기술-경험-경제의 불균형 35

1. 개요 35

2. 공공사례 분석 35

3. 민간사례 분석 38

4/3. HW-SW 비용과 실질적 효용의 불균형 40

제4장 가상융합 세계의 구조적 변화와 가치이동 45

제1절 AI는 어떻게 가상융합세계를 바꾸는가? 46

1. AI의 빠른 진화와 가상융합 46

2. 가상융합세계 제작 방식의 혁신 48

3. 상호작용 메커니즘의 고도화 52

4. 가상융합 경험의 확장 : AI와 가상융합 기기, 공간운영체제(OS)와의 연계 58

제2절 산업 가치는 어디로 이동하는가? 61

1. B2C 부문의 옥석 가리기 : 선별적 성장으로 인한 양극화 61

2. B2B : 움직이는 모든 기계의 학습 공간으로 진화 66

제5장 가상융합 산업정책의 성과와 한계 75

제1절 가상융합 산업정책 경과 76

1. 5G 시대 선도를 위한 실감 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2019~2023) 76

2. 디지털 뉴딜 성공의 초석 : 가상융합 경제 발전 전략(2020~2025) 77

3. 디지털 뉴딜 2.0 초연결 신산업 육성 :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2022~2026) 78

4. 가상융합 산업진흥법 제정(2024) 79

제2절 성과와 한계 80

1. 성과 80

2. 한계 80

제6장 가상융합 산업정책 개선방안 83

참고문헌 92

1. 문헌 자료 93

2. 온라인 자료 94

3. 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95

판권기 96

표 1-1. 가상융합 산업 시장 전망 14

표 1-2. 국내 VRㆍAR 산업 매출 및 수출액 변화 15

표 1-3. 국내 가상융합 서비스 플랫폼 종료 사례 16

표 2-1. 메타버스의 다양한 정의 24

표 2-2. 증강현실 안경 사례 : 공간지능과 공간컴퓨팅의 역할 구분 28

표 3-1. 광역자치단체 메타버스 활용사례(2022년 2월 말 기준) 35

표 5-1. 실감 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 주요 내용 76

표 5-2. 가상융합 경제 발전 전략 주요 내용 77

표 5-3.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주요 내용 78

그림 1-1. 메타버스 키워드 검색량 변화 14

그림 1-2. 소비자용 VR 기기 및 콘텐츠 판매량(2016~2029) 15

그림 2-1. 입체경(좌), 센소라마(중), 이반 서덜랜드의 다모클레스의 검(우) 23

그림 3-1. 메타버스 인지 및 경험 조사 결과 32

그림 3-2. 메타버스 이용 목적 33

그림 3-3. 버추얼 강원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37

그림 3-4. VRㆍAR 인력 채용 애로사항 41

그림 3-5. 비전 프로 비구매 이유(좌) 및 주요 VR HMD 가격 비교(우) 43

그림 3-6. 시간에 따른 컴퓨팅 플랫폼의 변화 43

그림 4-1. AI IQ 테스트 결과 46

그림 4-2. AI 모델 출시 시기 47

그림 4-3. 허깅 페이스 AI 모델 등록 수(좌) 및 다운로드 수(우) 47

그림 4-4. 분야별 생성AI 발전 과정 48

그림 4-5. 알테라의 프로젝트 시드 구현 모습 55

그림 4-6. AI가 탑재된 주요 가상융합 기기(비전프로, 메타 퀘스트, 구글 AI 안경) 59

그림 4-7. 로블록스 일일 활성 사용자 수 변화 62

그림 4-8. 로블록스 크리에이터 수익 변화 63

그림 4-9. 웨이모의 시뮬레이션 시티 67

그림 4-10. 가상현실을 활용한 로봇 학습 68

해시태그

#가상융합산업 # AI전환 # AI에이전트 # 가상융합플랫폼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가상융합 산업정책 개선방안 : AI 전환과 가치이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