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이 내용은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담겨 발간되었으며,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안면도에서 430.7ppm, 고산에서 429.0ppm, 울릉도에서 428.0ppm을 기록하며 3개 지점 모두 최고치를 경신함
* 배경농도: 관측지점 주변의 국지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균질하게 혼합된 대기 상태에서 측정된 농도를 의미함
ㅇ 안면도, 고산, 울릉도는 기상청이 1997년부터 한반도의 기후변화 원인 물질을 관측해 온 지점들임
□ 각 관측 지점의 이산화탄소 연간 증가 폭은 전년 대비 상당한 수준을 보임
ㅇ 안면도의 경우는 2023년보다 3.1ppm 증가하여 2016년에 이어 최근 10년(2015∼2024년)간 두 번째로 큰 연간 증가 폭을 기록함
ㅇ 고산과 울릉도는 각각 전년 대비 2.9ppm, 2.4ppm 증가함
ㅇ 미국해양대기청에서 올해 4월 발표한 2024년 전 지구 평균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422.8ppm으로, 전년 대비 3.4ppm 상승했으며, 이는 최근 10년 중 가장 큰 연간 증가 폭임

(출처: 기상청)
□ 이산화탄소 외 다른 주요 온실가스 역시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기후변화 대응 노력의 중요성이 강조됨
ㅇ 2024년 한반도에서 관측된 메탄, 아산화질소, 육불화황 배경농도 또한 3개 지점 모두 최고치를 경신함
ㅇ 반면, 다른 지구대기감시 요소들인 에어로졸, 대기 중 반응가스, 강수 산성도(pH)는 대부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한반도의 강수 산성도는 2007년 이후 약화 추세로, 2024년에는 깨끗한 강수의 산성도(5.6)에 가까운 5.0 이상의 값이 관측됨
ㅇ 장동언 기상청장은 기후변화의 영향이 뚜렷해지는 가운데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과학적 기후변화 정책정보 제공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히면서, 특히 기후변화 원인 물질의 기원 추적·영향·효과 분석 등에 대한 역량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함
[출처]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이래 최고치 (2025.06.30.) / 연합뉴스
목차
제 1장 지구대기감시업무 1
1.1 한반도 지구대기 입체감시망 및 위탁관측소 소개 1
1.2 지구대기감시 요소 4
1.3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WMO/GAW) 6
제 2장 온실가스 7
2.1 이산화탄소(CO2) 8
2.2 메탄(CH4) 10
2.3 아산화질소(N2
O) 11
2.4 육불화황(SF6) 12
2.5 염화불화탄소류(CFCs) 13
2.6 산림생태계 이산화탄소(CO2) 플럭스 14
2.7 온실가스 입체 감시 15
제 3장 반응가스 22
3.1 지표오존(O3) 23
3.2 일산화탄소(CO) 24
3.3 질소산화물(NOX) 26
3.4 이산화황(SO2) 27
제 4장 에어로졸 28
4.1 에어로졸 광학 특성 29
4.2 에어로졸 물리 특성 38
4.3 에어로졸 화학 특성 44
4.4 서해상 에어로졸 관측(특별 선박관측) 53
제 5장 성층권오존 55
5.1 오존전량 56
5.2 오존연직분포 62
5.3 남극 오존홀 (극지연구소) - 봄철 (9~11월) 성층권오존 특성 66
제 6장 자외선 68
6.1 자외선A 69
6.2 자외선B(홍반자외선) 70
6.3 자외선 장기특성 71
6.4 서울 자외선 복사량(연세대학교) 72
제 7장 대기복사 74
7.1 직달일사와 산란일사 75
7.2 태양하향복사(전천일사), 태양상향복사 77
7.3 지구하향복사, 지구상향복사 79
7.4 순복사 81
7.5 대기복사 장기특성 82
제 8장 총대기침적 83
8.1 습성침적 관측 83
8.2 pH(산성도) 및 전기전도도 84
8.3 강수이온성분 86
8.4 총대기침적 91
제 9장 수증기와 방사성물질 93
9.1 중층대기수증기(숙명여자대학교) 93
9.2 방사성 물질(라돈 Radon-22, 제주대학교) 94
[부록 1] 지구대기감시요소 96
[부록 2] 지구대기감시 관측자료 99
[부록 3] 관측자료품질보증체계 14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