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기후기술과 디지털 탄소중립 : SW 기술의 역할과 도전

목차

표제지 1

목차 3

요약문 7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구성 및 방법 12

1. 연구구성 12

2. 연구방법 13

제2장 기후기술과 디지털 탄소중립 14

제1절 기후기술의 정의와 분류 14

제2절 디지털 탄소중립의 의미와 국내 정책 17

1. 디지털 기술에 의한 탄소중립 17

2. 디지털 산업에서의 탄소중립 19

3. 국내 디지털 탄소중립 정책 23

제3장 특허 현황으로 살펴본 기후기술과 SW 26

제1절 기후기술 특허분석 개요 26

1. 분석 대상 특허코드 26

2. 분석 데이터 31

제2절 국가별 기후기술 특허분석 결과 32

1. 한국 32

2. 미국 39

3. 유럽 45

제3절 소결 50

제4장 기후기술 스타트업 동향 및 SW의 활용 53

제1절 국내외 기후기술 스타트업 현황 53

1. 글로벌 기후기술 유니콘 현황 55

2. 국내 기후기술 스타트업 현황 58

제2절 스타트업 사례로 살펴본 유망 기후기술 SW 63

제5장 결론 67

제1절 정책적 시사점 67

1. 기후기술로서의 SW 관련 국가연구과제 비중 향상 67

2. 글로벌 기후기술 유니콘의 사업이 국내에서 가능하도록 규제 완화 68

3. SW 융합을 핵심으로 하는 기후기술 스타트업 스케일업 지원 68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69

참고문헌 71

〈표 1〉 세계경제포럼의 '글로벌 위기 요인 2024' 9

〈표 2〉 국가녹색기술연구소의 기후기술 분류체계 15

〈표 3〉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기후기술 분류체계 15

〈표 4〉 기후기술 B2B/B2G 소프트웨어 현황 19

〈표 5〉 국내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 추진방향 및 비전 25

〈표 6〉 기후기술 관련 CPC 코드 28

〈표 7〉 SW 관련 CPC 코드 29

〈표 8〉 4차 산업혁명 관련 특허코드(국내) 30

〈표 9〉 한국 연도별 기후기술 특허 출원 수(2018년 이후) 32

〈표 10〉 한국 연도별 기후기술 특허 중 SW 관련 특허 건수 34

〈표 11〉 한국 기후기술 코드별 SW 코드 특허 건수 35

〈표 12〉 한국 기후기술 코드 및 SW 코드별 특허 건수 36

〈표 13〉 한국 연도별 기후기술 특허 중 국가연구과제 특허 건수 37

〈표 14〉 한국 연도별 SW 관련 기후기술 특허 중 국가연구과제 특허 건수 38

〈표 15〉 미국 연도별 기후기술 특허 출원 수(2018년 이후) 39

〈표 16〉 미국 연도별 기후기술 특허 중 SW 관련 특허 건수 41

〈표 17〉 미국 기후기술 코드별 SW 코드 특허 건수 42

〈표 18〉 미국 기후기술 코드 및 SW 코드별 특허 건수 44

〈표 19〉 유럽 연도별 기후기술 특허 출원 수(2018년 이후) 45

〈표 20〉 유럽 연도별 기후기술 특허 중 SW 관련 특허 건수 47

〈표 21〉 유럽 기후기술 코드별 SW 코드 특허 건수 48

〈표 22〉 유럽 기후기술 코드 및 SW 코드별 특허 건수 49

〈표 23〉 글로벌 기후기술 유니콘 현황(2024년 1월 기준) 56

〈표 24〉 IPEF가 선정한 유망 기후기술 스타트업 중 국내 스타트업 10곳 60

[그림 1] 국제에너지기구가 전망한 데이터센터 글로벌 전력소모량 20

[그림 2] 한국, 미국, 유럽의 기후기술 및 SW 융합 특허 현황 50

[그림 3] 한국, 미국, 유럽의 연도별 SW 융합 기후기술 비율 51

[그림 4] 기후기술과 SW/IT 기술의 개발 관련 비교 54

[그림 5] 투자 단계별 국내 기후기술 기업 수 58

해시태그

#기후기술 # 디지털탄소중립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기후기술과 디지털 탄소중립 : SW 기술의 역할과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