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안 해양에서의 산소 손실(탈산소화·coastal marine oxygen loss)이 기후변화와 연안 오염으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해양 생물다양성과 수산업·양식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함
ㅇ 그러나 많은 APEC 회원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는 산소 농도 모니터링 체계와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과학적·정책적 대응에 어려움이 존재
ㅇ APEC 해양수산작업반(OFWG)은 산소 손실 문제 해결을 위한 모범 사례를 제시함
□ 연안 수산업과 양식업이 산소 손실에 특히 취약하며, 탈산소화는 어류와 패류의 생존·성장·번식에 심각한 영향을 줌
ㅇ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지표를 활용한 조기 경보 체계, 데이터 공유·표준화, 산소 임계점 기반 지표 개발이 필요
ㅇ APEC 회원국 간 공동 연구와 데이터 플랫폼 구축, 위험 평가, 정책 조정 및 규제 개선을 위한 로드맵이 포함됨
□ 보고서는 수산업과 양식업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 ▲환경 기준 강화 및 산소 모니터링 의무화, ▲입지 기반 위험 관리, ▲조기경보·위험 대응체계 구축, ▲지역 차원의 규제 조화와 협력 강화를 권고함
ㅇ APEC 회원국들이 과학 기반의 정책 수립과 공동 대응을 확대할 경우 식량 안보와 해양 생태계 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지속가능한 해양 관리의 핵심 전략이 될 것
ㅇ 그러나 많은 APEC 회원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는 산소 농도 모니터링 체계와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과학적·정책적 대응에 어려움이 존재
ㅇ APEC 해양수산작업반(OFWG)은 산소 손실 문제 해결을 위한 모범 사례를 제시함
□ 연안 수산업과 양식업이 산소 손실에 특히 취약하며, 탈산소화는 어류와 패류의 생존·성장·번식에 심각한 영향을 줌
ㅇ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지표를 활용한 조기 경보 체계, 데이터 공유·표준화, 산소 임계점 기반 지표 개발이 필요
ㅇ APEC 회원국 간 공동 연구와 데이터 플랫폼 구축, 위험 평가, 정책 조정 및 규제 개선을 위한 로드맵이 포함됨
□ 보고서는 수산업과 양식업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 ▲환경 기준 강화 및 산소 모니터링 의무화, ▲입지 기반 위험 관리, ▲조기경보·위험 대응체계 구축, ▲지역 차원의 규제 조화와 협력 강화를 권고함
ㅇ APEC 회원국들이 과학 기반의 정책 수립과 공동 대응을 확대할 경우 식량 안보와 해양 생태계 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지속가능한 해양 관리의 핵심 전략이 될 것
목차
1. Introduction 5
2. The relevance of fishery and aquaculture in the Pacific region 6
3. Theoretical synthesis 9
Deoxygenation in aquatic food-producing coastal zones 9
The role of aquaculture and fishery on coastal deoxygenation 10
Biological indicators: A key to monitoring and managing ocean deoxygenation 13
Why data matters: managing, controll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o track deoxygenation 14
4. Implications for policy and regulatory advances: strengthening fisheries and aquaculture in face of coastal oxygen loss 16
Regulatory differences between aquaculture and fisheries 16
Key areas for improvement 18
5. References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