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9.12.(금) 10시 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제9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 국가자살예방전략’을 비롯한 3개 안건*을 심의함
* ① 2025 국가자살예방전략, ② ’24년도 중앙부처 자살예방 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 결과, ③ ’24년도 시‧도 자살예방 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 결과
□ 이날 심의‧의결된 「2025 국가자살예방전략」은 자살 예방 정책의 중장기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시급히 추진해야 할 분야별 과제를 구체화하고자 수립됨
ㅇ 대책의 비전으로는 “모두가 모두를 지키는 사회, 생명보호가 일상이 되는 대한민국”을 제시함
ㅇ 목표로는 2024년 28.3명 수준인 자살률을 2029년 19.4명, 2034년 17.0명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5년 내에 자살자 수를 ‘1만 명 이하’로 감축하고, 10년 내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 오명을 극복하는 것을 의미함
□ 회의를 주재한 김민석 국무총리는 “대통령께서 자살 문제에 대한 해결 필요성을 제기하셨다는 사실만으로 유가족분들이 위로를 받았다는 말을 듣고 더욱 큰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다”라고 전하며, '오늘 발표된 정책이 차질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위원회뿐만 아니라 자살예방을 위한 범부처 추진본부를 설치하여 집중력을 갖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힘
□ 「2025 국가자살예방전략」 주요 내용
1. 자살률 감축 목표 : ’24년28.3명 → ’29년19.4명 → ’34년17.0명 이하
* (5년 내) 자살자 수 ‘1만명 이하’로 감축,
(10년 내) OECD 1위 오명 극복
2. 분야별 주요 과제 (총 5대 분야, 18개 추진 과제로 구성)
① (고위험군 집중 대응) △자살시도자 응급치료 및 위기 사례관리 강화*, 치료비‧심리검사 지원 확대**, △자살유족 원스톱 지원 전국 확대(12개→17개 시‧도) 등
* 응급실 내 생명사랑 위기대응센터 ’25년92개소 → ’26년98개소 확대,
** 치료비‧심리검사 지원 소득 기준 폐지(現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② (취약계층 지원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서민금융지원센터‧범죄피해자지원센터‧Wee센터 등 다양한 기관 간 협업 통해 고위험군 조기 발굴 및 지원
* 각 기관 상담과정에서 고위험군 발굴 → 자살예방센터 등으로 연계 및 서비스의뢰
③ (범부처 위기요인 선제 대응) 정서‧심리 위기를 유발하는 불법추심‧생활고‧실업‧범죄‧재난피해 등 다양한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각 부처 대응 강화
④ (지자체‧현장 대응체계 확립) 지자체별 ‘자살예방관’ 지정, 본청 내 자살예방 전담 조직·인력 보강* 및 자살예방센터 인력 확충(’25년2.6명 → ’26년5명)
* (보건소) ‘고위험자 위기 대응’ 정신건강 증진 업무 수행
(본청 조직·인력) 기타 예방적 활동, 보건-복지-고용 연계 사례관리 등 수행
⑤ (정책 기반 강화) ‘범정부 자살대책추진본부' 설치 통한 자살예방 거버넌스 강화, AI 기반 자살유발정보 모니터링‧차단*, 109콜센터 확대(2센터 개소) 등
* 인터넷,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자살 수단‧모집 등에 관한 유해 정보 탐지 → 신속한 차단‧삭제 처리
[출처] 자살위기 요인 선제적 대응 위해 전부처 및 지자체 총력 대응 추진 (2025.09.12.)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목차
Ⅰ. 추진 배경 1
Ⅱ. 현황 및 분석 2
Ⅲ. 그 간 주요 대책 및 향후 개선방향 6
Ⅳ. 비전 및 목표 10
Ⅴ. 세부 추진 과제 11
1. 고위험군 집중 대응 11
2. 취약계층 지원기관 간 연계 체계 구축 13
3. 범부처 위기요인 선제적 대응 15
4. 지자체현장 대응체계 확립 18
5. 생명 보호 정책 기반 확충 19
Ⅵ. 향후 주요 계획 2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