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 퓨리서치센터가 세계 25개국 성인 약 2만8천 명을 대상으로 AI 인식 조사를 실시함
ㅇ 조사는 2025년 상반기에 진행되었으며, 일상 속 AI 활용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중심으로 구성됨
□ 한국의 응답 특징
ㅇ ‘기대보다 우려가 크다’는 응답 비율이 16%로 가장 낮음
ㅇ 기대 응답은 22%, 중립 응답은 61%로 나타남
ㅇ 기대 의견이 우려보다 많은 국가는 한국과 이스라엘뿐임
□ 주요국 비교
ㅇ 이스라엘은 기대 29%, 우려 21%로 한국과 유사한 양상임
ㅇ 인도·나이지리아·튀르키예 등은 우려가 기대보다 높지만 격차는 크지 않음
ㅇ 미국은 우려 50%, 기대 10%로 가장 비관적이며, 이탈리아·호주·브라질·그리스·캐나다도 우려가 기대보다 크게 높음
□ 전체 응답 경향
ㅇ 전체 25개국의 중간값은 우려 34%, 중립 42%, 기대 16%로 집계됨
ㅇ 여성, 고령층, 저학력층에서 우려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남
ㅇ 인터넷 사용 빈도와 AI 인식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ㅇ AI 관련 정보를 접한 비율은 젊은층에서 높고 고령층에서 낮음
ㅇ 특히 한국의 50세 이상 응답자 중 AI 관련 정보를 접한 비율은 6%로 가장 낮음
ㅇ AI 기술에 대한 인식은 국가별·세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규제 신뢰도와 정보 접근성에 따라 수용성도 달라짐
□ 규제 신뢰도
ㅇ AI 규제 주체에 대한 신뢰는 자국과 EU에 대해 높고, 미국과 중국에 대해 낮음
ㅇ 자국: 신뢰 55%, 불신 32%
ㅇ EU: 신뢰 53%, 불신 34%
ㅇ 미국: 신뢰 37%, 불신 48%
ㅇ 중국: 신뢰 27%, 불신 60%
[출처] 'AI 기대하나 우려하나' 25개국 조사…한국 가장 낙관적 (2025.10.16.) / 연합뉴스
목차
How People Around the World View AI 5
Trust in governments to regulate AI 6
Demographic differences in awareness, perceptions of AI 9
1. AI awareness around the world 11
2. Concern and excitement about AI 15
3. Trust in own country to regulate use of AI 18
4. Trust in the EU, U.S. and China to regulate use of AI 21
Trust in the EU to regulate use of AI 23
Trust in the U.S. to regulate use of AI 26
Trust in China to regulate use of AI 30
Appendix A: Classifying European political parties 33
Classifying parties as populist 33
Classifying parties as left, right or center 34
Appendix B: Political categorization 37
Acknowledgments 39
Methodology 40
About Pew Research Center’s Spring 2025 Global Attitudes Survey 40
The American Trends Panel survey Wave 166 methodology 41
The American Trends Panel survey Wave 173 methodology 47
Topline questionnaire 53
해시태그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